[헬로티] 삼영기계가 모래를 적층하여 주조용 샌드 몰드를 생산할 수 있는 바인더젯(Binder Jet) 방식의 대형 샌드 3D프린터를 국내 최초로 출시한다. 삼영기계는 2014년 바인더젯 방식의 대형 샌드 3D프린터를 도입하여 자사의 주조 공정에 적용할 수 있는 ‘3D프린팅 하이브리드 몰드 주조 공정 기술’을 개발했다. 삼영기계는 한 발 더 나아가 바인더젯 방식 대형 샌드 3D프린터 개발에 성공한 것이다. ▲삼영기계의 바인더젯 방식 대형 샌드 3D프린터 ‘BR-S900’ 이번에 출시하는 대형 샌드 3D프린터 ‘BR-S900’은 모래에 바인더를 분사하여 적층하는 바인더젯 방식으로, 샌드 뿐만 아니라 세라믹 등 다양한 파우더 적층이 가능하여 응용 범위가 매우 넓다. 한 번에 3D프린팅이 가능한 빌드 사이즈는 900mm×520mm×450mm로, 산업용에 적합한 대형이고, 풀 잡 박스(full job box) 기준으로 최단 9시간 이내 출력이 가능하다. 외산 대비 빠른 속도뿐만 아니라 높은 해상도 또한 BR-S900의 강점이다. 특히, 삼영기계는 바인더 시스템의 국산화 개발을 통해
[첨단 헬로티] * [기술독립을 외치다]는 국내 소재·부품·장비 분야 기술 자립화를 위해 노력한 기업들을 발굴하는 ‘기술 강소기업 발굴 프로젝트’입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더 많은 기술 기반 기업들이 알려지고, 기술 자립에 조금이나마 힘이 보태지기를 바랍니다. ▲한국현 삼영기계 사장 2019년 상반기 일본의 화이트 국가 제외 조치에 따라 우리 산업의 기술 자립화에 대한 니즈가 높아지기 시작했다. 정부도 소재부품장비 육성화 정책을 서둘러 내놓으며 국산화 수준을 높이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비로소 묵묵히 기술 자립화에 노력했던 강소기업들이 빛을 발하기 시작했다. 철도, 선박, 내륙 발전소용 중속 엔진 분야에서 이미 기술력을 인정받았던 삼영기계 또한 ‘강소기업100’에 이름을 올리며 45년 간의 기술 자립화를 위한 노력을 들어볼 수 있게 됐다. Q. 최근 정부가 진행하는 ‘강소기업100’ 프로젝트에서 55개 기업 안에 이름을 올렸는데요. 늦었지만 축하드립니다. 삼영기계의 어떤 경쟁력이 인정받았다고 보는지요? A. 삼영기계는 1975년 설립 이후 지금까지 철도, 선박, 내륙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