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모바일 바이오 인증 클라우드 API로 손쉽게 적용 가능 한국스마트인증(대표 문기봉)이 최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모바일 바이오인증 API 개발 프로젝트를 완료했다고 12일 밝혔다. 한국스마트인증은 자사가 보유한 통합 인증 플랫폼에 지문과 얼굴 인증을 기본 탑재하고 API를 개발함으로써 핀테크 기업이나 중소규모 기업이 자사의 서비스에 쉽게 바이오인증을 도입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국가 공인 인증기관인 KTNET(한국무역정보통신, 대표 한진현)과 업무제휴로 설립한 바이오인증센터에 인증 서버를 두고 운영할 계획이다. 한국스마트인증 황재호 과장은 “바이오인증을 자사 서비스에 구현하려면 인프라 구축 등 막대한 초기 투자와 유지보수 비용이 들지만, 이번에 개발한 바이오인증 API를 이용할 경우 SaaS(Software as a Service) 방식으로 초기 비용을 부담하지 않아도 되고 빠른 시간에 도입이 가능하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밝혔다. 최근 애플의 아이폰X 출시와 함께 안면 인식 기술에 기반한 얼굴 인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번에 한국스마트인증이 구축한 얼굴 인증은 스마트폰의
[첨단 헬로티] 애플이 하반기 출시할 아이폰8 잠금해제를 위해 3D 얼굴 인식 기술을 테스트 중이라는 보도가 다시 나왔다. 블룸버그통신은 3일(현지시간) 애플이 정면 3D 센서와 망막 스캐닝을 사용한 잠금해제 기술을 테스트하고 있다고 전했다. 애플이 테스트 중인 3D 얼굴 인식 기술의 특징은 속도와 정확도인 것으로 전해졌다. 사용자 인증에 수백 밀리 세컨드(밀리 세컨드는 1천분의 1초)도 걸리지 않는다고 한다. 보안 측면에서도 얼굴 인식은 보다 많은 데이터를 담고 있어, 현재 아이폰 인증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지문인식기반 터치 ID 기술보다 낫다는 평이다. 그런만큼 해킹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했다. 포춘에 따르면 애플은 1년이 넘게 터치 ID 기술을 제거하는 방법을 검토해온 것으로 전해진다.
[첨단 헬로티] 생체인식 솔루션 전문기업 크루셜텍(각자 대표 안건준, 김종빈)이 디스플레이 일체형 지문인식 솔루션(DFS; Display Fingerprint Solution) 관련 미국 특허를 취득했다고 15일 밝혔다. 크루셜텍에 따르면 이번 특허는 디스플레이 상의 지문인식 센서 감도를 기존 대비 현저하게 증가시키면서도 투과율 저하를 최소화하는 특수한 구동 방식에 대한 내용이다. 플렉시블 또는 커브드 모바일의 디자인 구현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여러 개의 픽셀 전극으로 이뤄진 DFS의 지문센싱 영역에서 각 픽셀에 1개씩 있는 TFT 스위치를 3개로 늘려 정전용량을 증폭시키면 기존 대비 정교한 지문이미지를 스캔할 수 있다. 하단 디스플레이의 발광부위를 가능한 한 가리지 않게 배치하여 투과율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크루셜텍 관계자는 “미국을 포함한 글로벌 특허 출원 및 취득을 통해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세계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며 “현재 글로벌 고객사들과 다수의 프로젝트 협의 중이며 특히, 스마트워치 스크린 전면 또는 스마트폰 화면 일부에 탑재되는 1차 제품은 올해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전
[첨단 헬로티] KB국민은행(은행장 윤종규/www.kbstar.com)은 15일, 금융거래 편의성 제고를 위해 손바닥정맥으로 본인인증하고 바이오 정보만을 통해 ATM거래와 창구거래, 대여금고 이용이 가능한 손쉬운뱅킹 서비스를 선보인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손바닥정맥 바이오인증(손쉬운뱅킹) 서비스는 은행 창구에서 손바닥 정맥정보를 등록하면 ATM과 창구에서 간편하게 예금거래를 할 수 있는 서비스로 오는 6월부터는 전자식 대여금고의 본인 확인수단으로도 활용된다. 고객들은 카드나 통장을 챙기는 번거로움 없이 은행을 이용할 수 있다. KB국민은행은 손바닥정맥인증 도입으로 스마트 기기에 익숙하지 않아 인터넷뱅킹 및 스마트폰뱅킹에 어려움을 겪었던 시니어고객 등 디지털 소외층도 은행 창구에서 정맥정보를 단 한 번만 등록하면 간편하게 은행거래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손바닥정맥은 손바닥 표피 아래 핏줄을 이용하는 방식이다. 사람마다 고유한 혈관 특성이 있어 위조가 어렵고, 정맥이 복잡하게 교차하므로 지문이나 홍채 대비 인증 정확도와 보안성이 높다고 KB국민은행은 강조했다. 이 서비스는 지난 달 28일부터 여의도영업부와 서여의도영업부 2개점에서 시범 운영 중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