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이동재 기자 | 전경련이 신남방정책 4년의 경제적 성과와 향후 정책개선과제를 분석·발표했다. 신남방정책(동북아플러스 책임공동체 형성 신남방정책 추진)은 지난 2017년 7월 100대 국정과제 중 하나로 선정돼 올해 정책 실행 4년째를 맞이했다. 정부는 2018년 신남방정책특위 1차 회의에서 2020년 아세안 10개국과 연간 교역 2000억 달러, 연간 상호 인적교류 1500만명 달성을 정책목표로 정하고 ▲무역·투자 증진 제도적 기반 강화 ▲연계성 증진 아세안 인프라 개발 참여 등 5개 경제정책과제를 실행해 왔다. 그러나 2018년 미중 무역전쟁 이후 중국이 아세안 국가를 대상으로 수출을 확대하면서 우회 수출기지로 활용하고 대만이 탈중국 신남향정책을 전개하면서 한국의 입지는 축소됐다. 전경련은 지난해 코로나19가 발생치 않았다고 가정했을 때, 2020년 아세안 10개국과의 교역목표 달성률이 82.3%(1645억 달러)에 그쳤을 것으로 추산했다. 이처럼 2020년 한-신남방 교역이 정부 기대치(2000억 달러 상회)에 못 미친 것은 베트남을 제외한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 등 5개 국가와의 교역이 2018년을 정점으로 감소하고 있
[헬로티] 최근 10년 간 한국, 중국, 일본의 설비투자 동향에서 한국의 설비투자 증가율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그에 반해 해외직접투자 증가율은 가장 높았다. 전경련이 최근 10년 간 한국, 중국, 일본의 국내 설비투자와 해외직접투자 동향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국내 설비투자 연평균 증가율은 한국 2.5%, 중국 4.3%, 일본 3.9%로 한국의 설비투자 증가율이 가장 저조했다. 반면, 같은 기간 해외직접투자 연평균 증가율은 한국 7.1%, 중국 6.6%, 일본 5.2%로 한국이 가장 높았다. 전경련 측은 지난 10년 동안 한국의 설비투자 증가율이 중국, 일본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진했던 것을 “중국이 헬스케어․전자상거래 등 신성장분야 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일본이 기업 감세정책과 적극적 산업정책으로 민간 혁신투자가 활발했던 반면, 한국은 반도체 외 신성장동력에 대한 투자가 저조했던 결과”라고 분석했다. 2018년부터 미중 무역전쟁으로 촉발된 국내외 경기 악화, 일부 산업 구조조정 지연에 따른 비효율성 지속과 이에 따른 기업 투자여력 축소 등의 영향으로 한국의 설비투자 증가율이 2018년, 2019년 마이너스로 전환함에 따라 민간부문 투
오는 5월 30일 온라인 생방송으로 진행 예정 [첨단 헬로티] 제조특화 통합콘텐츠 마케팅 플랫폼 매뉴팩처링티비(MTV)가 오는 30일 '[긴급좌담회] 디지털 신냉전의 시작? 화웨이 사태 파급력과 앞으로 전망 생방송토크'를 진행한다. 디지털 신냉전 이라 일컫는 화웨이 사태가 글로벌 톱이슈를 선점하고 있으며, 하루에도 수십건의 뉴스가 쏟아지고 있는 상황들이 궁극적으로는 미중간의 무역전쟁 행보와도 무관치 않아 보인다. MTV는 30일(목) 오후 4시에 한국SW기술진흥협회 박준성 원장과 IT혁신연구소 박서기 소장 등 전문가를 초대해, 화웨이 사태의 원인과 글로벌 시장에 몰고올 파장, 우리 기업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 이번 긴급좌담회를 통해 전문가가 바라보는 화웨이 사태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통해 현업에서의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시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온라인 긴급좌담회에 참가를 원하면 토크아이티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등록을 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