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이동재 기자 | 지난 7월 우리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이 195억달러를 기록하며 역대급 실적을 달성했다. 수입 113.2억달러, 무역수지는 81.7억달러 흑자로 잠정 집계됐다. 산업부에 따르면 ICT 수출액(195억달러)은 전년 동월 대비 30.2% 증가하며, 작년 6월 이후 14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4개월 연속 두 자리 증가다. 수출액 규모는 역대 7월 수출액 중 1위에 해당된다. 주요 품목별로는 반도체가 110.5억달러로, 38.8% 증가했다. 지속적인 수요 증가와 단가 상승 등으로 메모리(71.4억달러, 43.8%↑)와 시스템(33.4억달러, 35.8%↑)이 동반 상승하며, 3개월 연속 100억달러대를 기록했다. 디스플레이는 20.9억달러로, 34.9% 증가했다. 모바일·TV 등의 수요 확대에 따른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의 수출 호조세로 11개월 연속 증가세를 구현했다. 휴대폰은 9.6억달러로 1.2% 소폭 증가했다. 하반기 프리미엄 스마트폰 출시 등으로 완제품·부분품 동시 확대되며, 증가세로 전환됐다. 컴퓨터‧주변기기는 15.5억달러를 기록하며 28.3% 증가했다. 컴퓨터(2.1억달러, 4.5%↑)와 주변기기(13.4억달러, 3
[헬로티] 2020년 5월 정보통신기술(이하 ‘ICT’) 수출 139.3억 달러, 수입 89.2억 달러, ICT 무역수지는 50.1억 달러 흑자로 잠정 집계된 가운데 수출액의 일등 공신은 ‘반도체’였다. □ 수출 ICT 수출액(139.3억불)은 전년 동월대비 2.6% 감소했으나, 수출 감소폭은 전월 대비 축소(‘20.4월△15.3% → 5월△2.6%)됐다. 주요 품목별로는 반도체(6.5%↑), 컴퓨터 및 주변기기(73%↑)가 증가했고 디스플레이(△21.1%)와 휴대폰(△21.5%) 품목이 감소했다. 주요 지역별로는 중국(홍콩포함, 2.1%↑), 미국(17.9%↑) 등 2개 국가에서 증가했고, 베트남(△10.4%), 유럽(△0.6%), 일본(△18.9%)은 감소세를 나타냈다. 반도체 반도체는 전년 동월대비 6.5% 증가한 81.5억 달러 수출을 기록했다. 인는 메모리(서버, PC 등) 및 시스템 반도체 수요 확대 효과로 인한 결과다. 메모리 반도체는 수요(서버, PC 등) 확대로 인해 증가 전환으로 수출액 57.8억 달러를 기록했고, 9.8%↑상승했다.
[첨단 헬로티] 2017년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은 1,976억 달러, 수입은 1,021억 달러, 수지는 956억 달러 흑자로 잠정 집계됐다. 수출은 2017년 2월부터 11개월 연속 월별 최고액을 기록하는 등 연간 1,900억 달러대 최초 달성 및 역대 연간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21.6% 증가한 수치로, 2010년 이후 7년 만에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가 단일 품목 최초 900억 달러 돌파, 디스플레이와 컴퓨터 및 주변기기 등 기술우위 품목을 중심으로 증가세를 기록했다. 메모리 반도체의 경우, 서버·스마트폰의 고사양 D램 및 낸드플래시 등 수요 확대로 역대 최고 수출액 기록했다. 시스템 반도체는 패키징 및 파운드리, 삼성전자, SK 하이닉스 등 IDM(통합제조) 업체 등의 물량 확대로 역대 최고 수출액을 기록했다. LCD패널은 국내 업체의 공정전환 및 경쟁심화 등으로 감소, OLED 패널은 TV·모바일 등 수요 확대로 증가세로 전환됐다. 컴퓨터 및 주변기기는 스토리지 시장 등에서 HDD엑서 SDD로 전환이 가속되면서, SSD를 중심으로 한 주변기기가 수출 증가세를 주도했다. 휴대폰은
[첨단 헬로티] 2017년 수출이 전년 대비 15.8% 증가한 5739억 달러를 기록, 1956년 무역통계 작성 이래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특히 반도체는 단일품목 사상 최초로 연간 수출액 900억 달러를 돌파하며 974억 4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1994년 우리나라 총 수출액인 960억 1천 달러를 넘는 기록이다. 수입은 17.7% 증가한 4781억 달러였으며, 무역수지는 958억 달러 흑자였다. 반도체는 메모리 수요 증가와 가격 상승세로 전년 대비 57.4% 증가했다. 석유제품·석유화학은 유가 상승에 따른 단가 상승, 신증설 설비 가동에 따른 생산 확대 등으로 각각 31.7%, 23.5% 늘었다. 선박은 2016년 기저효과와 10억 달러 이상 고가의 해양플랜트 수출 등으로 23.6% 증가했다. 철강은 단가 상승과 고부가 철강재의 수출 증가, 해양플랜트용 철 구조물 수출 확대 등으로 20% 늘었다. 일반기계는 주요국의 건설경기 회복과 신흥국 설비투자 확대로 10.2% 증가한 486억 6천만 달러였다. 이는 반도체에 이어 수출 2위 기록이다. 컴퓨터는 차세대저장장치(SSD) 수요 확대로 9.6% 증가했다. 디스플레이는 국내기업의 해외
[첨단 헬로티] 7월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19.5% 증가하며 488억 5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7개월 연속 두 자리 수 증가, 9개월 연속 증가한 것이다. 수입은 14.5% 늘어난 382억 달러, 무역수지는 106억 5천만 달러 흑자였다. 무역수지는 66개월 연속 흑자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품목별 수출 실적을 보면 13대 주력 품목 가운데 9개 품목이 증가했다. 반도체는 메모리 가격 안정세 유지, 대만 D램 공장 사고에 따른 단기 가격 상승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57.8% 늘어나며 10개월 연속 증가했다. 컴퓨터는 서버용 SSD를 중심으로 수요가 증가해 4개월 연속 늘었다. 디스플레이는 모바일 중심의 OLED 수요 확대와 LCD 패널가 안정으로 9개월 연속 증가했으나, 전월과 비교해 단가가 하락해 증가율은 다소 둔화됐다. 석유화학은 신증설 설비 가동에 따른 생산 확대 등으로, 철강은 철강재 단가 상승 영향으로 각각 증가했다. 선박은 해양플랜트 2척을 포함해 총 30척을 수출해 5개월 연속 늘었다. 이밖에 일반기계, 자동차, 석유제품도 소폭 상승했다. 반면 무선통신기기는 해외 현지생산 확대 등으로, 가전은 해외 생산 확대 및 글로벌 경쟁 심화 등으
한국금형공업협동조합이 국제 산업 분류 HSK Code를 기반으로 우리나라와 세계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는 세계 5대 금형 강국인 일본, 중국, 독일, 미국, 이탈리아의 금형 수출입 현황을 조사했다. 국제 유가 하락 및 세계 경제 불황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세계 5대 금형 강국의 수출은 모두 하락세를 보이며 힘든 시기를 보낸 가운데, 우리나라 금형 수출은 27억 9,811만 달러를 기록하며 3년 연속 세계 2위 자리를 유지했다. 최근 우리나라 금형산업은 세계 경제 둔화를 비롯해 환율 변동,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정책 등에 따라 세계 시장에서 불확실성이 더해져 금형 수출이 2년 연속 감속하며 수출 시장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그 동안 우리나라 금형산업의 성장을 이끌어온 수출이 2015년 대비해서도 4.4%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으며, 올해 상반기 금형 수출도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상승했지만 이는 지난해 상반기 극심한 수출 감소 여파에 따른 기저효과로 엄격한 의미의 수출 회복이라고 진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한국·중국·일본 금형 수출 강국 ‘굳건’ 세계 주요국 수출입 현황을 분석한 결과, 최대 금형 수출 국가는
[첨단 헬로티] 5월 수출이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13.4% 증가하며 5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17년 5월 수출입 동향 자료에 따르면 이달 수출은 450달러, 수입은 391달러, 무역수지 흑자는 59억 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수입은 전년 동월 대비 18.2% 증가한 실적이고, 무역수지 흑자는 64개월 연속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품목별 수출 실적을 살펴보면 반도체가 메모리 가격 안정세 지속과 스마트폰 고사양화 등으로 79억 9천만 달러라는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증가율도 63.3%로 가장 높았다. 디스플레이 역시 OLED 수요 확대, LCD 패널가 상승 등으로 6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철강은 수출 물량 증가와 단가 상승, 고부가 해양플랜트 철구조물 수출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36.5% 증가하며 2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했다. 석유제품은 수출단가 상승과 수출 물량 증가로, 석유화학은 생산능력 확대와 수출단가 상승으로 역시 각각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밖에 일반기계, 선박, 자동차, 컴퓨터 등도 증가했다. 반면, 무선통신기기와 가전, 차부품, 섬유는 감소했다. 무선통신기기의 경우
최근 우리나라 금형산업은 지속되는 내수경기 침체와 대기업의 생산기지 해외 이전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환율 변동,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정책 등에 따라 세계 시장에서 불확실성이 더해져 수출시장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실제로 그간 성장을 계속하며, 생산 10조 원 시대를 연 우리 금형산업은 최근 수출 실적이 감소하는 등 업계의 어려움이 통계 실적으로도 나타나고 있다. 세계 생산 5위, 수출 2위의 금형강국으로 도약한 우리 금형산업은 2014년 종업원 10인 이상 기업 기준으로 금형 생산이 8조7천억 원에 달하였으며, 수출은 32억 달러를 넘어서는 등 사상 최고의 실적을 거두었다. 2010년부터 2014년까지 한국의 금형 생산은 연평균 7.2%의 증가세를 유지했으며, 종업원 1인 이상 기업까지 더할 경우 금형 총 생산 규모는 약 11조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국가뿌리산업진흥센터 조사 결과, 국내 금형업체는 2015년 기준 종업원 1인 기업이 약 6,280여 개사로 조사됐으며, 종사자는 약 88,000명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품목별로는 플라스틱금형 생산이 3조6천억 원으로 42.1%의 비중을 보여 여전히 가장 많은 품목으
[헬로티] 2월 수출이 432억 달러를 기록,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20.2% 증가했다. 이 같은 증가율은 2012년 2월의 20.4% 이후 최대다. 수입 역시 23.3% 증가한 360억 달러였으며, 무역수지는 72억 달러 흑자로 61개월 연속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 품목별 수출 동향을 살펴보면 반도체는 스마트폰 탑재 용량 증가와 SSD 수요 증가로 월간 사상 최대 실적인 64억 달러를 기록했다. 석유화학은 수출 단가 상승과 신증설 설비 가동에 따른 생산 능력 확대로 전년 동기 대비 42.5% 증가해 2014년 10월 이후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석유제품 역시 수출 단가 상승 등으로 72.3% 증가해 전 품목 중 최대 증가율을 기록했다. 철강은 프로젝트성 철 구조물 수출 등으로 2014년 12월 이후 최대 실적을 보였고, 평판디스플레이는 OLED 수출 호조 지속 등으로 45개월 만에 4개월 연속 증가했다. 자동차는 유럽연합과 중남미, 러시아 등으로의 수출 증가로 2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자동차 부품 역시 일본, 중남미 등지로의 수출 호조로 2개월 연속 증가했다. 그러나 선박은 고부가가치 선박인 LNG운반선 등 21척을 수출했음에도 지난해 같은 달에
지난 4분기 소재·부품 수출이 2015년 1분기 이후 7분기 만에 2.0% 증가를 시현했으며, 수출, 수입, 무역수지 모두 플러스로 전환되고, 수출단가도 회복되는 추세를 보였다. 한편, 지난해 우리나라 소재·부품은 수출 2,519억 달러, 수입 1,525억 달러, 무역흑자 994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수출은 전년보다 4.8% 감소한 반면, 수출입 증감률은 11월 이후 회복세를 보이며 20개월 만에 2개월 연속 플러스 증가를 달성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16년 4분기 및 2016년 소재·부품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4분기 우리 소재·부품은 수출 663억 달러, 수입 397억 달러, 무역흑자 266억 달러를 기록하며, 수출입·무역수지가 모두 플러스로 전환했고 특히 소재 무역수지는 2016년 들어 4분기 연속 증가를 시현했다. 수출 증가분 중 수출단가 기여도도 2.5% 상승, 2014년 이후 2년만에 플러스로 전화됨에 따라 수출단가도 지속 회복되는 추세이다. 2016년 수출 전년대비 감소, 수출증감률은 2개월 연속 증가 2016년 우리 나라 소재·부품은 수출 2,519억 달러,
[헬로티] 올 1월 수출이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집계한 1월 수출입 동향 자료에 따르면 이달 수출은 403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11.2% 증가했다. 수입은 371억 달러로 18.6% 올라 무역수지는 32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무역수지는 60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품목별 수출 동향을 살펴보면 반도체는 스마트폰 탑재 용량 증가와 메모리 단가 상승으로 4개월 연속 증가해 월간 사상 최대 수출 실적으로 기록했다. 석유제품도 수출 단가 상승으로 2011년 11월 이후 50개월 만에 3개월 연속 증가했고, 석유화학 역시 수출 단가 상승 및 증설 설비 가동에 따른 생산능력 확대로 2014년 12월 이후 최대 수출 실적을 달성했다. 평판디스플레이는 OLED 수요 지속 증가 등으로 2013년 1월 이후 최대 증가율을 기록했고, 일반기계 수출 역시 중동과 아세안 지역으로의 상승세 등에 힘입어 3개월 연속 증가했다. 철강은 철강재 수출 단가 상승세 지속으로 3개월 연속, 컴퓨터는 SSD 중심의 수요 증가 등으로 9개월 연속 수출이 늘었다. 반면 선박과 가전, 무선통신기기, 자동차, 섬유 등 5개 품목은 수출이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Getty imagesBank [헬로티] 2016년 12월 수출이 451억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6.4% 증가했다. 이로써 수출은 두 달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다. 수입은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7.3% 증가한 381억 달러였고 무역수지는 70억 달러로 59개월 연속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 반도체, 컴퓨터 등 주력 품목의 수출은 지난해 8월 이후 4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고, 2014년 이후 2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특히, 반도체는 스마트폰 탑재 용량 증가에 따른 메모리 단가 상승으로 2013년 12월 이후 3년 만에 최대 증가율을 보였다. 컴퓨터 수출 역시 SSD 중심의 수요 증가 등으로 8개월 연속 증가했다. 반면 가전과 선박, 자동차, 자동차부품, 무선통신기기 등은 수출이 감소했다. 의약품, 화장품, 생활유아용품 등 유망 품목의 수출 증가세도 계속됐다. 의약품의 경우 바이오시밀러의 수출 본격화로 사상 최대의 수출 실적을 기록했고, 화장품도 주력 시장인 중국으로의 수출 증가세 유지 등으로 연중 증가세를 지속했다. 12월 수입은 2014년 9월 이후 27개월 만에 2개월 연속 증가했다. 특히 주력 산업의 선제적 투자 확대로 반도체와
ⓒGetty imagesBank [헬로티] 12월 20일로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이 발효 1주년을 맞았다. 지난 1년간 우리나라의 대중 수출은 이전 1년에 비해 10.9% 감소했다. 하지만 한중 FTA 혜택품목 수출은 4.0% 감소하는데 그쳐 FTA가 대중 수출의 버팀목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수출 물량을 보면 전년 대비 11.4% 증가했으며, 한국산 제품의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도 10.5%로 1위를 유지했다. 수산물과 소비재의 수출은 큰 폭으로 증가해 수산물의 경우 그 증가율이 24.9%에 달했고, 섬유제품 증가율도 17.1%였다. 농산물 수출 역시 2.8% 증가했다. FTA의 수출 활용률은 발효 초기 8.2%였으나 매월 꾸준히 상승해 올 11월에는 38.3%였다. 이는 한중 FTA와 교역 구조가 비슷한 아세안보다 빠른 것이다. 아세안은 5년차 활용률이 33.1%였다. 전자상거래를 통한 중국으로의 수출은 전년 대비 127% 증가한 1조2천억 원 규모였고, 수입은 1천90억원여서 전자상거래 무역수지 흑자 폭이 크게 증가했다. 올해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전년 대비 4.8% 감소했다. 특히 중국산 공산품 수입이 5.9% 감소한 것을 비롯해
ⓒGetty images Bank [헬로티] ‘우려가 현실로 이어졌다.’ 지난 10월 수출이 419억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3.2% 감소했다. 이는 조업일수 감소, 자동차 파업, 신형 스마트폰 모델 단종 등의 수출 차질 요인에도 전월 감소율 5.9%보다 줄어든 것이다. 수입은 348억 달러로 5.4% 감소했고, 이에 따른 무역수지는 72억 달러 흑자였다. 무역수지 흑자는 57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품목별 수출 증감률을 살펴보면 해양플랜트, LNG운반선 등 총 23척을 수출한 선박이 49.4% 증가했고, 컴퓨터 또한 교체수요 증가 등으로 7.1% 늘었다. 특히 컴퓨터 수출은 6개월 연속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10월 수출 실적 7억9천만 달러는 2012년 7월 이후 월간 사상 최대치다. 반도체도 스마트폰 신제품 출시에 따른 수요 증가와 단가 상승 등으로 1.7% 증가, 2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철강은 주요국 수입규제 영향에도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철강재 수출단가 상승으로 0.1% 감소하는데 그쳐 전월 대비 감소율이 축소됐다. 석유화학과 석유제품 역시 수출 단기 상승, 국제유가 상승 등으로 감소율이 전월에 비해 줄었다. 자
8월이 주요 업체 하계휴가에 따른 계절적 비수기임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평판 디스플레이, 석유화학 분야에서는 올해(1월∼8월 중) 최대 수출 실적을 기록했으며, 8개 주력 품목 수출이 증가하는 등 우리 수출 품목이 세계 시장에서 선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 이유는 유망소비재 수출 증가세 지속으로 수출 저변이 확대된 것을 꼽을 수 있다. 관세청 통관자료 및 무역통계(KITA)를 기초로 정부가 분석한 수출입 실적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에는 자동차 업계의 파업에 따라 9억 2천만 달러의 수출 차질이 빚어졌음에도 불구하고, 20개월 만에 월간 수출이 증가로 전환됐다. 올해 8월 수출은 전년 동기대비 2.6% 증가한 401억 달러로 20개월 만에, 수입은 0.1% 증가한 348억 달러로 23개월 만에 전년 동기대비 증가세로 전환됐다. 또한 무역수지는 53억 달러 흑자를 기록해 55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반도체, 컴퓨터, 석유화학 등의 분야에서는 수출 물량이 증가했지만, 자동차 업계의 파업, 휘발율 정제 마진 감소 등에 따른 자동차, 석유제품 수출 물량 감소로 총수출물량은 감소세를 나타냈다. 그리고 석유제품, 석유화학, 반도체, 평판 디스플레이 등의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