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메르세데스·마이크로소프트 등 다국적 기업 대거 참여 인공지능·빅데이터·ESG 전략 등 지속가능한 성장 비전 공유 산업단지를 글로벌 혁신의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한 ‘산업단지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KICXUP Global 2025)’이 오는 9월 10일부터 12일까지 3일간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 1홀에서 열린다. 이번 행사는 한국산업단지공단과 신용보증기금이 공동 주최하고, 글로벌선도기업협회(GLCA)와 씨엔티테크가 주관한다. 슬로건은 ‘Connect&Co-Innovate : 글로벌 협업, 산업단지를 담다’로,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혁신 생태계 확장을 이끌겠다는 목표를 담았다. 행사의 핵심은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 밋업이다. AWS,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 한국 마이크로소프트 등 다국적 기업과 미국 드레이퍼하우스, 영국 심산벤처스 등 해외 전문 투자자가 참여해 총 126회의 비즈니스 밋업이 진행된다. 또한 네이버클라우드, 카카오모빌리티, LG전자, CJ ENM, 한국앤컴퍼니 등 40여 개 대·중견기업이 수요기업으로 나서며, 산업단지를 매개로 한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의 확대를 현실화한다. 행사와 병행해 열리는 글로벌 세미나에서는 인공지능 시대의 오픈이노
헬로티 이동재 기자 | DGIST 디지털제조혁신사업단(D-PIC)은 최근 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지원 및 혁신을 위한 17개 연구 과제를 기업 수요기술 조사를 통해 최종 선정했다. 향후 대구·경북 지역 기반의 기업들의 산업 기반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올해 1월, D-PIC사업단은 지역제조기업의 전통적인 생산 공정 혁신과 이를 위한 연구 및 첨단제조솔루션개발 지원을 핵심 목표로 운영을 시작했다. D-PIC사업단은 출범 이후 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의 수요기술 조사를 통해 17개 연구 과제를 선정했다. 이는 모두 DGIST가 직접 보유중이거나 혹은 지원 가능한 기술을 활용, 지역 기업의 기술 관련 수요에 맞춰 지원책을 수립·운영한 결과다. 해당 연구과제들은 크게 2가지 유형으로 구분돼 기업과의 협업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두 유형은 각각 ▲원천연구형 기업지원연구과제 ▲응용연구형 기업지원연구과제다. ‘원천연구형 기업지원연구과제’는 기업이 제품·공정 등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독창적이고 지속적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연구자 중심의 연구이고, ‘응용연구형 기업지원연구과제’는 기업이 예산과 인력 등 현실적인 한계로 인해 진행이 어려웠던 연구주제를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차세대 로봇기술 개발을 위한 혁신로봇센터가 설립된다.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은 지난 15일 로봇 의족과 의수, 의복형 웨어러블 로봇, 인간형 핸드 및 만능 그리퍼, 자율 주행 무인 트랙터 등 최신 연구 성과와 함께 차세대 로봇기술 개발을 위한 혁신로봇센터 설립을 발표했다. 기계연은 확보된 단위 원천 기술의 유기적 융합을 통해 미래로봇 사회에 반드시 필요한 국가적 차원의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플랫폼 마련과 함께 실용화 기반 확대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를 위해 기계연은 지난 4월 혁신로봇센터(센터장 박찬훈)를 설치했다. 혁신로봇센터는 로봇부품부터 협동로봇, 로봇지능, 물류로봇, 장애인용 로봇, 의료로봇, 필드로봇까지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수준 높은 연구진과 연구 성과를 하나의 싱크탱크에 담아 개발된 기술들이 유기적으로 융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이를 통해 사회적 약자를 위한 로봇 기술을 비롯하여 비대면 사회와 고령화사회를 위한 로봇기술, 리쇼어링을 위한 로봇기술 등 국가적 차원에서 필요한 미래 로봇 원천기술 확보를 위하여 연구개발 역량을 결집하고 체계적인 기술 개발 전략과 기술 로드맵을 수립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