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자동화와 로봇 기술의 발전이 가속화되면서 정밀 센서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특히 힘·토크 센서는 로봇이 외부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로, 이에 대한 기술 경쟁이 치열하다. 에이딘로보틱스는 정전 용량 기반의 힘·토크 센서를 개발하여 더욱 정밀한 로봇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력을 갖춘 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에이딘로보틱스는 2019년 성균관대학교에서 스핀오프하여 설립된 이후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이어왔다. 현재 경기도 안양시에 본사와 연구소, 생산시설을 두고 있으며, 총 36명의 직원 중 9명이 핵심 엔지니어로 활동하고 있다. 단순한 센서 제조를 넘어, 힘·토크 센서를 활용한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며 산업 전반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제품군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이 회사의 대표 제품은 초소형 6축 힘·토크 센서와 협동 로봇용 손목형 센서로, 전 세계에서 가장 작은 수준의 센서를 제공한다. 또한 협동 로봇 및 산업용 로봇의 관절에 삽입할 수 있는 초박형 관절 토크 센서를 개발 중이며, 정밀 제어가 요구되는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할 수 있도록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에이딘로보틱스는 센서 기술을 활용한 모듈 사업도 강화하고 있다. 스마트 그
스마트공장 구축·고도화에 3,600억 원 투입 올해 5,000개 보급·고도화 집중 추진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올해 스마트공장 구축과 고도화에 3,663억 원을 지원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2년 스마트제조혁신 지원사업’을 발표했다.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정책은 이번 정부가 국정과제로 추진 중인 중점 정책으로 스마트공장 구축기업은 평균적으로 생산성 28.5% 증가, 품질 42.5% 향상, 원가 15.5% 감소 등 경쟁력이 높아졌다. 이는 기업당 매출 7.4% 향상을 비롯해 고용 2.6명 증가, 산업재해 6.2% 감소 등 기업 성장과 좋은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성과에 힘입어 중기부는 지난해 누적 2만5,000개의 스마트공장이 보급됐으며, 올해는 민·관이 협력해 5,000개 이상의 스마트공장을 추가 보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주요 사업은 △일반형 단독 스마트공장, △특화형 단독 스마트공장, △디지털협력지구(클러스터), △제조데이터 활용 지원, △스마트공장 시험대(테스트베드), △수준 확인·컨설팅 등 6개 분야로 구성된다. 수준별 스마트공장 구축 = 2,530억 원 중기부는 2022년까지 3만개 스마트공장 보급을 목표로, 올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생산 현장의 로봇 자동화는 스마트 팩토리의 첫 단계이다.” 온로봇코리아 최민석 지사장은 스마트 팩토리는 자동화가 기본이라며 현재 사람이 하고 있는 작업을 협동로봇과 협업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최소 비용을 들여서 자동화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렇게 해서 무인화가 완성되고 생산 최적화가 구현되면 MES와 ERP 시스템 구축으로 스마트 팩토리를 구현해볼 수 있다는 것이다. 최근 온로봇은 모니터링용 솔루션인 ‘웹리틱스(WebLytics)’를 출시하며 소프트웨어 시장에도 뛰어들었다. 최민석 지사장은 “2022년에도 협업애플리케이션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지속적으로 출시할 예정”이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투 트랙(Two-Track)으로 협업 응용 분야를 위한 원스톱 샵(One Stop Shop)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2022년 협업애플리케이션 시장 이슈와 온로봇코리아의 영업 전략을 최민석 지사장에게 들어봤다. Q. 협업애플리케이션 시장 이슈와 전망은. A. 2021년 큰 화두 중의 하나는 주 52시간 근무제 확대 적용에 따라 중소기업뿐만 아니라 50인 이하 사업장까지도 적용을 받아야 된다는 거였다. 2022년에는 이 법 시행 의무화
헬로티 임근난 기자 | 협업 애플리케이션용 툴 제조 전문기업 온로봇이 생산성 향상과 다운타임 최소화를 위해 구축된 생산 모니터링, 진단 및 데이터 분석 솔루션인 ‘웹리틱스(WebLytics)’를 출시했다. 이를 통해 온로봇은 소프트웨어 시장에 첫 발을 내딛게 됐다. 웹리틱스는 여러 협업 애플리케이션들의 성능을 실시간으로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로봇과 툴 모두의 장비 데이터를 수집한 후 데이터를 이해하기 쉽게 시각화된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정보로 전환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온로봇 CEO인 엔리코 크로그 이베르센은 “웹리틱스의 출시는 우리뿐만 아니라, 우리 고객과 글로벌 통합업체 네트워크에 있는 기업들 모두에게 중요한 의미가 있다”며, “웹리틱스는 주요 로봇 브랜드 전체를 대상으로 협업 애플리케이션에 실시간으로 애플리케이션 중심 데이터를 제공하는 최초의 소프트웨어 솔루션이자, 당사의 첫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로봇 소프트웨어 시장 진출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또한 “이를 통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모든 측면에서 협업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원 스톱 샵(One Stop Shop)을 제공하겠다는 당사 비전을 완성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웹리틱스를 이용함으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주강로보테크는 한국산업대전에서 내년 출시 예정인 JVGE-50 그리퍼를 선보여 관람객의 눈길을 끌었다. 주강로보테크는 30여년간의 축적된 제조기술을 바탕으로 전동 구동기기 및 로봇을 활용한 모듈 제품을 제작하면서 국내외 다양한 자동화 생산 공정에 제품과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미리 선보인 JVGE-50 Vacuum Gripper는 진공 이젝터, 에어·파괴 밸브, 압력센서, 패드, 진공 필터, 진공 파기, 유량·압력조절 밸프가 일체화된 유닛 제품이다. 최대 53L/min의 우수한 흡입력을 자랑하며, 산업용 로봇 외 다수 로봇(UR, CRX등)과 대응 가능하다. 또한 원하는 에어 포트 선택 사용이 가능하다. 파기 시 유량, 압력 조절이 가능하며, 진공필터 장착 및 분해가 쉬우며 오염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낙하방지 밸프로 흡착 패드 간 영향을 주지 않으며, 다양한 워크물 파지가 가능하도록 유닛 장착 및 조절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주강로보테크는 Electric Gripper JEG 시리즈도 선보였다. JEGG는 콤팩트하며 다양한 스트로크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리니어가이드(무순환)를 사용한 고정밀 평행 개폐방식을
헬로티 김진희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아주대학교 한승용․강대식․고제성 교수 연구팀이 사람 손 형상을 닮은 초소형 소프트 로봇(그리퍼)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돼지 혈관이나 달팽이 알처럼 조심스럽게 다뤄야 하는 대상을 부드럽게 잡고 맥박이나 심장박동 같은 실시간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다섯 손가락 형상의 초소형 로봇을 개발한 것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개인기초연구(신진연구) 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된 본 연구 성과는 로봇 분야 세계최고 권위 학술지인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로보틱스(Science Robotics)에 10월 14일 4시(한국시간) 게재되었다. 기존 그리퍼는 단순히 대상을 잡기 위한 용도로서 주로 단단한 물질로 만들어져 부드러운 대상을 잡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대상으로부터 신호를 받을 수 있는 센서를 함께 구현하려면 부피가 커져 작은 대상을 잡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단단함과 부드러움을 조절할 수 있는 소재인 형상기억폴리머를 채택하여 피부의 성질과 비슷한 기계적 특성을 구현하고, 아주 얇은 은나노선과 레이저 공정을 활용하여 센서의 크기를 줄여 로봇의 크기를 길이 5mm 이하로 줄이는 데 성공했다. 그리퍼에 탑재된 센서는 잡고 있는 대상
헬로티 임근난 기자 | 로봇 시스템은 설치 변경 및 전환 배치가 쉽고 적은 비용으로도 구축하기에 용이하다. 또한, 빠른 ROI가 가능하고 다품종 소량생산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중소기업에 적합하다. 특히, 협동로봇과 협동 애플리케이션은 협소한 공간에서도 구축이 가능하고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제품을 적재할 수 있어 생산 공정의 자동화뿐만 아니라 물류 자동화에도 적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로봇 시스템의 성공적인 도입을 위한 고려사항으로는 어떤 게 있는지, 지난 9월 8일 열린 ‘4차 산업혁명과 로보틱스 컨퍼런스 2021’에서 온로봇 코리아 최민석 대표가 제시한 성공 팁을 정리했다. 최근 시장 환경이 중소기업의 공장자동화 또는 스마트공장 도입 욕구를 가속화하고 있다. 지난 7월 1일부터 50인 이하 사업장까지 주 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된 가운데, 고령화 사회로 진입에 따른 인구 구조 변화는 생산 가능인구의 감소를 가져와 인건비 상승과 인력 부족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으며, 3D업종에 일했던 외국인 근로자마저 더 이상 어려운 일을 하지 않으려고 하고 있다. 더구나 코로나 팬데믹은 외국인 근로자의 인력 수급을 더욱 어렵게 했다. 결국 자동화나 로봇 시스템을 고려하지 않던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인아텍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에서 산업용 자율주행로봇, 자율이송로봇, 협동로봇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인아텍이 이번에 선보인 산업용 자율주행로봇(MiR)은 위험하거나 반복적인 운송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직원들의 근무 환겨을 개선하고 생산성을 높여준다. 또한 유니버설로봇의 협동로봇을 통해 전 세계제조업체들의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생산성을 높이며 제품 품질을 향상시키는 자동화 로봇을 전시했다. 협동로봇은 광범위한 생산 작업을 위한 비용 효율적이고 유연하며 안전한 자동화 솔루션이다. 또한 온로봇의 그리퍼를 선보이며, 산업 자동화에 관심이 많은 고객사를 위한 최첨단 그리핑 및 센싱 기술을 전시했다. 온로봇을 통한 조립, 픽&플레이스, 머신텐딩, 테스트와 같은 협업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모든 타입의 센싱 시스템을 볼 수 있다. 인아텍은 반도체·디스플레이·공장자동화 장비 제조,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제공, 반도체
헬로티 임근난 기자 | 픽잇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1)에 참가해 노후화된 빌렛 피더 장비를 로봇으로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혁신적인 그리퍼 ‘빌렛 피커(Billet Picker)’를 선보였다. 빌렛 피커는 픽잇코리아의 Pickit 3D 비전 시스템 및 빌렛 핸들링 로봇 애플리케이션용에 소프트웨어가 통합된 로봇 팔 앤드툴이다. 이 그리퍼 툴은 일반적인 직선형이나 구부러진 툴에 비해 피킹이 가능한 부품을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을 최대화한다. 이는 툴팁이 한 개(직선형 도구)나 두 개(기울어지거나 특수형)의 고정된 위치 대신 -45~+45도 사이의 범주 내에서 그 어떠한 위치에서도 작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필요한 로봇 작업영역과 로봇 셀이 차지하는 작업 공간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을 주며, 추가적인 비용을 들이지 않고 각 로봇 언어로 프로그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빌렛이 위로 올라갈 때 가로막고 있는 부품이나 빈의 벽으로부터 회전하면서 멀어지게 하는 툴팁으로 차단된 부품이나 빈의 벽에 가까이 있는 부품을 집는데 도움이 된다. 픽잇의 빌렛 피커는 기본 픽잇 소프트웨어와 미리 구성된 빌렛 전용 비전 엔진과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온로봇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온로봇 전동 그리퍼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온로봇은 로봇 앞단의 툴을 제조하는 전문 회사다. 협업 응용분야를 위한 완전한 플러그 앤 프로듀스 EoAT(end-of-arm tooling)를 제공한다. 온로봇의 모든 제품이 별도 에어라인 필요 없이 전기만으로 구동된다. 그립 시 너비, 포스 값과 그립 여/부를 리턴해 줄 수 있다. 온로봇의 대표 제품은 ▲2핑거, 3핑거 그리퍼 ▲컴프레셔가 내장된 전동식 진공그리퍼 ▲표면 연마나 폴리싱을 위한 샌더 ▲2.5D 비전 (2D+Depth) 등이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uture of Digital New Deal)’라는 주제 하에 약 50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참가하여 1,800개 부스에서 최신 스마트 제조 기술을
헬로티 조상록 기자 | 협동로봇 시장이 급부상하면서 이와 함께 그리퍼 시장도 규모를 키우기 시작했다. 하지만 지금은 반대 양상이다. 그리퍼 시장이 협동로봇 시장을 성장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다양한 그리퍼는 다양한 작업 환경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슈말츠는 그리퍼 시장에서 독창적이다. 오랜 기간 진공 방식을 발전시켜왔기 때문이다. 물론 지금은 진공 방식뿐만 아니라 그리핑 방식, 클램핑 방식, 복합 방식 등 다양한 형태의 그리퍼를 마련해놓고 있다. 이번 인터뷰(슈말츠코리아 정만석 대표)에서는 진공 그리퍼 기술이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와 성장하고 있는 그리퍼 시장에서의 슈말츠 전략을 담았다. Q. 먼저 슈말츠라는 기업에 대해 설명 부탁 드립니다. A. 슈말츠는 진공 자동화와 핸들링 시스템 분야의 선도기업입니다. 전세계 물류, 자동차, 전자, 로보틱스, 목공 등의 모든 산업분야에서 슈말츠의 다양한 제품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진공패드와 진공발생기와 같은 개별 구성품에서부터 CNC머신 그리핑 & 클램핑 솔루션까지 광범위한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슈말츠의 스마트 솔루션은 제조 생산과 물류 과정을 좀 더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만드
이송현 에디터, 마이로봇솔루션 | 벌써 찾아온 로봇vs로봇, 오늘로 벌써 3회째이다. 지난 회에는 로봇팔로 부품을 ‘직접 집어서’ 날라주는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로봇을 비교했다. 모바일매니퓰레이터는 로봇팔(ARM)도 있고 다리(AMR)도 있는 이송로봇으로 완전 무인화의 첫걸음을 열었던 로봇이었다. 오늘 소개할 로봇은 그보다 좀 더 진화된 형태이다. ‘3D비전’이 로봇의 눈이 되어 아무리 여러 가지 물건들이 뒤죽박죽 섞여있어도 정확하게 집어서 옮길 수 있다. 3D 비전 기술이 로봇자동화 공정에 등장하기 전에는 로봇이 쉽게 일할 수 있는 작업 조건을 맞추기 위해 주변 기기와 사전작업이 꼭 필요했다. 하지만 이제는 제품이 정렬되어있지 않아도, 다른 종류의 제품이 섞여 있더라도 로봇이 직접 구분하고 작업할 수 있다. 중간에 제품이 변경되더라도 걱정 없이! 3D 비전으로 물체를 인식하고 무작위의 물체를 집는 로봇자동화 적용사례를 살펴보겠다. 1. 현대 HS210E와 Pickit 3D를 활용한 차체 프레임 빈피킹 먼저 현대로보틱스의 솔루션은 현대 HS210E와 Pickit 3D를 활용한 차체 프레임 빈피킹 공정이다. 다양한 형태를 가진 차체 프레임을 정확히 피킹할 수 있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슈말츠는 진공 기술 글로벌 공급업체이다. 현재 독일 본사와 19개의 지사를 포함, 전 세계 60개국 이상의 세일즈 파트너가 있으며, 약 1,500명에 달하는 직원들이 다양한 제조 산업에 특화된 진공부품과 솔루션을 판매하고 있다. 최근엔 로봇에 바로 장착이 가능한 그리퍼 세트와 굴곡진 표면의 정교한 포지셔닝을 위한 진공 기계식 클램프도 출시했다. 이들 제품은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1’에서 만나볼 수 있다. 슈말츠 코리아 명동진 차장은 “산업별 진공 솔루션 데모를 통해 진공 기술에 대한 이해와 고객 접근성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명동진 차장을 만나 앞으로 계획을 들어봤다. Q. 주력사업과 경쟁력은. A. 슈말츠는 진공을 이용한 자동화와 인체공학적 핸들링 시스템 부문의 세계적인 선도기업이다. 2005년 국내에 소개된 이후 매년 수준 높은 진공 기술과 새로운 솔루션을 선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광범위한 제품군과 포괄적인 서비스로 전자, 자동차, 포장 등 전 제조 및 물류 공정에서 사용되고 있다. Q. 2019년 오토메이션월드 참가, 그해 비즈니스 성과는 어떠했나. A. 슈말츠는 매년 오토메이션월드에 참가하여 계속 발전해가는 기술을
헬로티 조상록 기자 |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산업현장 제조혁신에 필요한 로봇 핵심기술들을 개발하고 ‘연구자창업, 롱텀(Long-term) 기술협력, 보급사업’이라는 3가지 방식으로 상용화 성과를 냈다. 생기원 로봇응용연구부문에서는 개발된 기술들이 상용화의 고비에서 사장되지 않도록, 연구자창업을 지원하거나 기술이전 기업과 장기간 협력해 후속제품 개발을 이어가고 있다. 또한 영세 기업들의 공정 자동화를 돕기 위해 로봇 활용 표준공정모델 보급사업도 직접 추진 중이다. 한국생산기술원(이하 생기원, 원장 이낙규)은 지난 22일 안산 생기원 융합기술연구소에서 로봇응용연구부문에서 개발한 로봇 핵심기술을 상용화로 이은 성과사례 3선을 소개하는 융합기술연구소 연구현장 브리핑을 진행했다. 생기원 박상덕 박사는 제조로봇의 구동모터를 고속·고정밀로 제어해주는 핵심부품 ‘서보드라이브(Servo-Drive)’를 개발하고 이를 주력제품으로 판매하는 ‘㈜웰콘시스템즈’를 창업해 상용화를 이뤘다. 서보드라이브는 로봇 구동모터의 힘과 속도, 위치를 제어해주는 전력장치를 말한다. 생기원 박상덕 박사와 로봇응용연구부문 연구자들은 2000년대 초반 서비스로봇 연구 당시 필요했던 서보드라이브를 자체
[헬로티] 하비스탕스는 협동로봇의 종류와 목적물 형상에 따라 고객별 맞춤화해 제작가능한 협동로봇 그리퍼를 출시했다고 지난 2일 밝혔다. ‘맞춤형 협동로봇 그리퍼’는 최적 설계와 3D프린팅을 이용해 다양한 형상으로 디자인이 가능하며, 목적물에 따라 다양한 소재로 제작할 수 있다. 하비스탕스는 이전에도 신발 제조 공정자동화를 위한 협동로봇의 EOAT(End Of Arm Tooling)를 복합소재 및 DfAM을 통해 경량화, 일체화해 제작 지원한 사례가 있다. 하비스탕스는 지난해 한국신발피혁연구원과 함께 맞춤 경량 로봇 스프레이 그리퍼, 최적 설계 로봇 베큠 그리퍼를 제작한 이후 그리퍼 설계와 성능을 지속 업그레이드해왔다. 이번 ‘맞춤형 협동로봇 그리퍼’는 다양한 혁신 기술을 접목해 선보인 제품이다. 기존 알루미늄 그리퍼 대비 무게를 약 60% 줄이고 제작 시간을 72% 단축시켰으며 기존 타사 그리퍼 대비 1/5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다. 맞춤형 설계로 협동로봇의 종류에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고 목적물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비스탕스는 최석 설계를 생성하기 위해 nTopology의 Topology Optimization 기법을 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