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12개 국립연구기관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손잡고 국가 연구개발(R&D) 100조원 시대에 걸맞는 기관혁신을 추진하기로 했다. 연구조직·인력운영 유연화, 자체 연구역량 강화, 기관 간 연계협력 활성화 등 과기정통부가 제시한 혁신방향에 따라 코로나19 백신개발지원 등 소관분야 공공연구 및 정책지원 기능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과기정통부 등 9개 중앙행정기관 및 각 중앙행정기관 소속 12개 국립연구기관은 이 같은 내용의 기관별 혁신 추진계획을 수립해 8일 발표했다. 과기정통부 등 11개 관계부처는 지난 2018년 7월 문재인 대통령이 주재한 제1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에서 확정된 국가R&D 혁신방안에 따라 국립연구기관, 전문생산기술연구소 등 정부출연연구기관 외 공공연구기관의 혁신을 추진 중에 있으며, 이번 추진계획은 기관별 혁신을 위한 세부 이행계획이다. 기관별 추진계획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연구 중심의 국립연구기관 운영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12개 국립연구기관은 향후 급변하는 연구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기관의 연구조직, 인력 운영의 유연성을 확보하는 한편, 대내외 환경변화를 반영해 대학, 출연연, 기업 등과
검찰청이 RFID 인프라를 활용해 기록물 보안을 강화하고, 기록의 보존부터 열람, 대출, 반납, 폐기에 이르는 전체 기록관리 업무에 대한 자동화를 구현함으로써 업무 프로세스를 혁신해 나가고 있다. 검찰청이 RFID 인프라를 활용해 기록물 보안을 강화하고, 기록의 보존부터 열람, 대출, 반납, 폐기에 이르는 전체 기록 관리 업무에 대한 자동화를 구현함으로써 업무 프로세스를 혁신해 나가고 있다. 검찰청은 2007년 RFID 기반 검찰청 기록관리시스템(이하 CATS)을 검찰 핵심 전략사업으로 선정해, 매년 지검 및 지청으로 확산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RFID 기반 CATS 시스템 확산·전환을 통해 기록 보존 업무 프로세스의 혁신 및 기록 관리 업무의 일관성을 확보해 나가고 있는 것이다. 2017년 기존 보존사무시스템의 폐지가 예정돼 있는 가운데, CATS 시스템은 전국에 있는 58개 청 중에 50개청(86%)에 구축 적용돼 있으며, 수사사건기록물 1,120만 건 중 1,043만 건(93%)에 RFID 태그가 부착 완료돼 있다. 검찰청은 RFID 도입 이전 기록관리 업무 프로세스 상에서 여러 불편 및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관계자에 따르면, 기록 보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