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이동재 기자 | 에너지 IT 기업 해줌이 GS에너지로부터 기술적·사업적 협력을 위한 전략적 투자를 유치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투자를 통해 GS에너지는 해줌의 2대 주주(지분율 36.5%) 지위를 확보하게 됐다. 양사는 전략적 투자를 계기로 에너지 플랫폼 사업과 가상발전소(VPP) 기술 개발 및 서비스 고도화를 가속화할 예정이다. 이번 투자를 통해 GS에너지 및 GS 그룹사에서 보유한 다양한 에너지 및 비에너지 자원과 해줌의 에너지 ICT 기술 및 플랫폼 개발 역량을 결합해 변화하는 에너지 시장을 선도해나가는데 많은 시너지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전략적 투자 유치를 계기로 해줌은 에너지 생산, 운영, 제어 등의 영역에서 AI를 이용한 최적화 기술을 활용해 에너지 플랫폼 및 가상발전소 운영자로서 지위를 굳건히 해나갈 계획이다. GS에너지 또한 GS그룹 내 에너지 사업을 주도하며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사업 기회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있다. GS에너지는 그린 발전 포트폴리오 확장을 위해 국내 대형 태양광 및 풍력 사업을 성장동력의 축으로 확보한다는 계획하에 200MW 규모의 당진 태양광 발전사업 등 다양한 사업 추진을 계획하고 있다. 특히 새로
[헬로티] 한국중부발전은 SK E&S와 손잡고 미국에서 에너지 저장장치(ESS) 기반의 가상발전소(VPP) 시장에 진출한다고 지난 16일 밝혔다. 중부발전은 이날 SK E&S와 미국 ESS 사업 공동수행을 위한 계약을 완료하고 본격적인 사업 운영을 시작했다. VPP는 정보통신(IT) 및 인공지능(AI) 기반의 자동제어기술을 이용해 다양한 분산 에너지 자원을 연결·제어함으로써 하나의 발전소처럼 운영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중부발전이 추진하는 사업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지역 내에 62MW/346MWh 규모의 ESS 분산전력시설을 구축, 전력 수요와 공급 특성을 AI 기반으로 분석 및 예측해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전력그룹사 중 미국에서 VPP 사업을 하는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중부발전에 따르면 로스앤젤레스는 캘리포니아에서 전력수요가 많고 송전 정체가 심한 지역 중 하나임에도 각종 민원과 규제 때문에 신규 발전원의 도입이 어려운 지역이다. 이러한 제약조건들로 인해 기존의 인프라로 전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꼽힌다. 사진. 박형구 중부발전 사장(왼쪽)과 유정준 SK E&S 사장이 이날 미국 ES
수요반응과 에너지 인텔리젼스 소트프웨어 분야 전문업체인 에너낙이 지난 23일, 수요반응 거래시장에 참여하는 서울그린캠퍼스협의회와 함께 가상발전소를 짓기 위한 준공식을 가졌다. 서울그린캠퍼스협의회는 저탄소와 지속 가능성을 핵심 기반으로 삼고 운영하는 서울 소재 대학들의 비영리 단체이다. ‘기후환경수도’ 서울을 만들기 위해 상호 협력하고 있다. 이번 준공식을 통해 서울그린캠퍼스협의회에 속한 대학 중 14개 대학이 에너낙과 함께 수요반응 거래시장에 총 5560kW를 등록했다. 서울시는 지자체 최초로 시 산하 17개 시설을 수요반응 거래시장에 등록해 총 5MW를 절약하고 있으며, 참여 수익 2억여원은 기후변화기금에 편입해 에너지 복지 사업으로 재투자 하고 있다. 서울시의 제안으로 서울그린캠퍼스협의회 소속 대학도 함께 에너지 절약에 동참하게 됐으며, 본 가상발전소 준공식 행사에는 서울특별시 박원순 시장과 가상발전소에 참여하는 16개 대학교 중 14개교의 총장, 전력거래소 유상희 이사장, 가상발전소 대행기관인 에너낙코리아의 제프리 르노드 아시아 지역 대표 등이 참석했다. 에너낙 제프리 사장은 “서울그린캠퍼스협의회 대학과 함께 에너지 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