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좋은 모터 만들기 54년, 그 기술 기반으로 로봇도 잘 만드는 기업이 되겠다.” 하이젠모터 김재학 대표이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역점사업으로 지능형 모터 못지않게 로봇 개발을 강조했다. 3상유도 전동기와 서보드라이브, 서보모터를 동시 생산하며 모터의 국산화에 앞장서온 하이젠모터는 국내 최초 EtherCAT 인증 취득과 자동화 설비 제어 기술 개발에 이어, 지금은 사출기용 델타로봇, 6축 다관절 로봇 등을 생산하고 있다. 서보 시장과 마찬가지로 로봇 시장 역시 글로벌 플레이어들의 각축장이 되어버린 국내 시장에서 하이젠모터가 도전장을 내민 것이다. 글로벌 강자를 꿈꾸며 산업용 모터 분야 외길을 걸어온 김재학 대표를 만나, 그의 계획을 들어봤다. Q. 모터 분야 국내 제조 기술력을 평가한다면. 우리나라 산업용 모터 제조 기술력은 선진국과 비교하면 매우 열악하다고 생각한다. 국제 경쟁력은 떨어지고 국내의 수요는 한정되어 있어 설비투자가 어렵고 수요의 유지 정도 수준이다. 따라서 이제는 변신이 필요할 때라고 본다. 그러기 위해서는 일반 모터에서 드라이버 세트로의 고부가가치 영역으로 확대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이젠모터는 이러
40년 노하우의 전원 관리 및 에너지 효율 솔루션 기업인 델타일렉트로닉스의 한국 지사로 설립된 델타코리아는 전원, 디스플레이, 전자부품, 스위치 등의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최근에는 자사 브랜드의 UPS를 본격 출시하며 토털 UPS 솔루션 업체로의 도약에 나섰다. Q. 델타일렉트로닉스코리아는 어떤 업체인지요? 델타코리아는 대만에 본사를 둔 델타일렉트로닉스(Delta Electronics)의 한국 지사로 2004년에 설립됐으며 전원, 디스플레이, 전자부품, 스위치 등의 제품 공급에 주력해 왔습니다. UPS의 경우는 그동안 OEM 방식으로 타사 유명 회사의 제품을 공급해 왔고 2년 전부터 국내에서도 자사 브랜드를 단 UPS 제품을 본격 제공하고 있습니다. 작금의 UPS는 클라우드 컴퓨팅 등장으로 빅데이터 관련 금융, 통신, ICT 분야 등에서 데이터센터 관련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중소형 서버 시장 공략을 시작으로 중장기적으로 IDC 등의 대형 데이터센터에 단계적으로 영업을 전개해서 토털 UPS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입니다. Q. 2017 국제 전기전력 전시회 참가 목적은 무엇인지요? 대만에 본사를 둔 델타일렉트로닉스는 전원 관리 및 에너지 효율 솔루션
[첨단 헬로티] 센서와 머신비전 기술의 진화를 등에 업고 글로벌 제조 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숨 가쁘게 펼쳐지고 있다.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이 향하는 방향은 스마트 팩토리. IT와 센서, 머신비전 기술이 융합되는 가운데, 제조를 규정하는 DNA가 뿌리째 흔들리는 모습이다. IT와의 융합에 기반을 둔 스마트 팩토리 시장에서 헤게모니를 강화하려는 전통적인 자동화 솔루션 회사들의 움직임도 분주하다. 글로벌 센서 및 머신비전 기업 바우머도 스마트 팩토리를 통해 자동화 시장 지분 확대를 노리고 있다. 최근 한국을 찾은 카르스텐 휴스트 바우머 최고 마케팅 책임자(CMO)를 만나 산업 자동화 최신 트렌드와 스마트 팩토리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에 대해 들어보았다. ▲ 바우머그룹 카르스텐 휴스트 CMO Q. 최근 산업 자동화 시장의 진화를 견인하는 센서 및 머신비전 분야에서 혁신의 키워드는 무엇입니까. 센서의 경우 몇 가지로 정리할 수 있는데요. 우선적으로 정밀도를 들 수 있습니다. 바우머가 보유한 인덕티브 센서(Inductive Sensor)들 중 AlphaProx는 Factor1으로 모든 금속물을 최대 8mm까지 감지할 수 있습니다. Factor
[첨단 헬로티] “고객의 성공을 위해 다양한 소통 채널을 강화하겠다.” 29년 동안 자동화 공압 구동기기를 자체 개발하며 외곬 인생을 살아온 강인각 대표는 기업의 최고 가치를 고객 성공에 두었다. 실제로 이 회사의 모든 제품은 제조자 중심이 아닌 사용자 편리성을 우선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강 대표는 기본 기술에 충실하며 자동화 구동기기 명품 메이커가 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한다. 앞으로 그의 계획을 자세히 들어봤다. ▲ 주강로보테크 강인각 대표이사 Q. 좋은 공압 구동기기의 요건은 무엇인가. 주강로보테크는 제품 개발에 반복 재현성과 반복 정밀도를 높이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 자사 제품인 END EFECTOR 경우, 최종 구동 결과를 결정하며 반복 사용 시 반복 재현성을 향상한다. 반복 재현성은 단위 생산라인의 제품 생산 시 데이터 누적관리, 예측 가능한 대책수립 등에 결과적으로 상당한 영향을 차지한다. Q. 올해 핫 프로덕트는. 국내외 시장을 겨냥한 다관절 로봇용 툴체인저는 커넥터 기술 등을 자사 제품에 반영하여 A/S의 주원인이 되는 스위칭 결함 부분을 해소함으로써 품질 및 원가 경쟁력을 높였다. 최근에는 공장 자동화 및 서비스 분
[첨단 헬로티] “인력이 기업 경쟁력이다.” 중소기업연수원의 구재호 원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전문 인력이 충분히 양성되어야 대한민국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며, 재직자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구재호 원장 말에 따르면, 중소기업연수원 안산 본원에서만 매년 3만 명 정도가 연수교육을 받는다고 한다. 현재 이 연수원은 사물인터넷 분야 7개 과정과 스마트공장 관련 분야 32개 과정을 개설하여 운영 중이다. 지난해에는 민관합동 스마트공장 추진단으로부터 스마트공장 추진 의무교육 연수기관으로 선정됐으며, 올해는 고용노동부로부터 4차 산업혁명 선도 인력양성기관으로 선정되어 스마트공장 현장 엔지니어 인력양성에 힘쓰고 있다. 구재호 원장은 지금까지 중소기업 교육에 집중했다면, 앞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중소기업 인력양성의 메카로 활약하겠다고 말한다. 안산 중소기업연수원을 찾아 구 원장의 계획을 자세히 들었다. ▲ 중소기업연수원 구재호 원장 Q. 4차 산업혁명 시대, 왜 중소기업연수원이 나서야 한다고 보십니까. 우리나라 중소기업은 전체 기업의 99%, 고용의 88%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중소기업은 경제의 든든한 뿌리이며 일자리 창
올해 16년째 꾸준히 앞선 여과, 분리 기술을 시장에 제공하고 있는 영민F&S는 설립 초기부터 국내외 관련 분야 선도 기업들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고객들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데 전력을 다하고 있다. 영민F&S의 안현덕 대표이사는, 치열한 경쟁에서 우위를 선점하는 방법은 우수한 품질의 제품과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앞으로도 공격적인 투자와 기술 개발을 시행해 나갈 예정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 영민F&S 안현덕 대표이사 Q. 회사소개를 간단히 부탁드립니다. 2001년에 설립된 영민F&S (Filtration & Separation)는 2012년에 법인 전환됐습니다. 저희 영민F&S는 청정도 관리 전문 기업으로, 제품의 초기 고장을 감소시켜 품질 및 제품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청정제품 생산(Produce Clean Products) 시스템 구축, 종합 오염도 관리(Total Cleanliness Control) 컨설팅, 오염 관리에 필요한 제품(필터, 측정기기, 기타 제품) 판매 및 서비스 등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건설 중장비, 방위산업, 철강, 조선, 제지 등 국내외 다양한 산업군에
[첨단 헬로티] “스트라타시스는 전 세계적으로 2만여 고객을 보유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3D 프린팅의 앞선 기술력과 재료를 통해 다양한 성공 사례를 만들겠다.” 스트라타시스 다니엘 톰슨 한국지사장은 3D 프린팅 관련 한국 시장 공략에 자신감을 나타냈다. 그는 한국 고객들에게 제조 시장에서 스트라타시스 3D 프린팅 솔루션의 도입을 더욱 확대해 나가는 한편, 스트라타시스의 앞선 기술력과 재료를 통해, 하이엔드 프로토타이핑 시장을 계속해서 선도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한다. 오는 10월에 있는 한국기계전에서도 스트라타시스의 심화된 3D 프린팅 기술과 활용 방안에 대해 알릴 예정이라고 한다. 앞으로의 계획을 다니엘 톰슨 한국지사장에게 들었다. ▲ INTERVIEW_다니엘 톰슨 스트라타시스 한국지사장 Q. 4차 산업혁명 시대 지속성장을 위한 스트라타시스 코리아의 전략은 프로토타이핑(시제품 제작)은 현재 3D 프린팅이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주요 애플리케이션이지만, 수많은 활용 분야 중 하나에 불과하다. 스트라타시스는 프로토타이핑은 물론, 제조업 시장의 3D 프린팅 도입을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여러 당면 과제들이 있다
[첨단 헬로티] “20년 가공 기술을 ‘좋은 스핀들’ 만들기에 모두 쏟았다.” 삼우하이테크 심혁수 대표는 카플링, 다이케스팅 금형, 사출 금형, 멜라민 금형, 분무기 제작 등, 약 20년간 다양한 직장생활에서 터득한 가공 노하우를 스핀들 제작에 그대로 녹여냈다고 말한다. 심혁수 대표가 삼우하이테크로 업체를 변경하면서까지 스핀들 제작에 나선 것은 그 당시 국내 스핀들 제작기술의 미숙함이 자극제가 됐다는 것. 그래서일까. 삼우가 만든 스핀들은 정밀 바란싱을 통한 저진동 스핀들로 한 번 놀라고 수명이 길어서 두 번 놀란다고 한다. ‘스핀들은 기계의 심장’이라는 일념으로 튼튼한 스핀들 만들기에 여념이 없는 심혁수 대표를 만나 앞으로 계획을 들어봤다. ▲ INTERVIEW_심혁수 삼우하이테크 대표 Q. 기계장비에서 스핀들이 왜 중요한가 스핀들은 구동축의 양끝에 베어링을 장착해 고속회전이 가능하게 만들어진 구조로써 기계 장비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 부품이다. 삼우에서는 스핀들을 ‘기계의 심장’이라고 부른다. 기계의 중심부에 장착된다는 이유도 있겠지만, 밀링, 연마, 탭핑, 연삭, 조각
[첨단 헬로티] “비전센서는 4차 산업혁명을 구현하는 핵심 기술이며, 그 중심에 바우머의 전문성을 앞세워 글로벌 비전 시장을 선도하겠다.” 바우머 머신 비전 그룹 알버트 슈미트 사장은 지난 3월에 열린 오토메이션 월드에서 유연성·편리성·표준화를 담보한 스마트 비전센서 VeriSens 세대와 디지털 카메라 새로운 시리즈 VCX를 소개하며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바우머 역할을 강조했다. 바우머는 공장 및 공정 자동화 분야의 비전 및 센서 기술을 이끄는 글로벌 기업으로, 전 세계 19개국 38개 지사에서 2400명이 넘는 직원들이 더 나은 고객 서비스 제공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국에는 2011년에 지사를 설립, 현재 이성호 한국지사장을 필두로 본격적인 영업력 강화에 나섰다. 바우머 머신 비전 그룹의 사업 계획과 목표를 슈미트 사장을 만나 들었다. ▲ INTERVIEW_Baumer Machine Vision Group 알버트 슈미트 사장 Q. 글로벌 시장에서 비전 및 센서 솔루션 전망은 올해는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공장이 전 세계적으로 더욱 급물살을 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스마트비전 및 센서 시장은 지난해보다 두 배
[첨단 헬로티] 제조 현장을 움직이는 양대 축인 OT(Operation Technology)와 IT(information technology)는 그동안 따로따로 움직여왔지만 최근 들어 분위기가 확 바뀌었다. OT와 IT의 융합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각종 설비를 포함하는 OT에 IT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이 접목되면서 둘이 따로 따로 놀던 시절에는 경험할 수 없었던 비즈니스 최적화가 가능해졌다. 요즘 많이 회자되는 산업용 IoT, 스마트팩토리, 4차산업혁명이라는 키워드도 OT 환경에서 쏟아지는 데이터를 분석해 비즈니스를 최적화하는 것이 핵심으로 꼽힌다. 산업용 IoT는 몇년 후의 이슈가 아니다. 미국과 독일 등 선진국에선 이미 현실이 됐다. 관련 업계에선 한국 시장도 올해 기업들 사이에서 산업용 IoT 도입이 가시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김성진 GE디지털코리아 상무는 "지난해까지 국내 기업들은 기획과 플래닝에 초점을 맞췄다면 올해는 작게마나 실질적인 액션에 들어가는 시기가 될 것이다"면서 2017년이 한국 시장에서 산업용 IoT의 원년이 될 것임을 예고했다. 이미 다수 기업들이 그런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는 것이 김 상무 설명이다. IoT 시장은 그
[첨단 헬로티] 커넥티드카와 스마트팩토리 등으로 대표되는 OT(Operation Technology)영역이 성장에 목마른 전통의 정보 보호 업체들에게도 대형 변수로 부상했다. 어느 분야나 그렇듯이, 커넥티드카와 스마트팩토리 분야에서도 보안은 대중화로 가기 위한 중요한 키워드 중 하나로 통한다. OT영역이 정보보호 업체들에게 확실한 기회의 땅이 될지는 확실치 않다. 스마트폰이 나왔을때, 그리고 몇년전 사물인터넷(IoT)이 관심을 끌기 시작했을 때, 보안 업계엔 새로운 시장이 될거란 기대가 퍼졌지만 결과는 달랐다. 모바일과 IoT 환경에서도 보안의 전략적 가치는 높았지만 이 분야에서 돈을 번 전통의 정보보호 업체들은 드물었다. 네트워크 인프라나 PC에서 통했던 게임의 룰이 모바일과 IoT 환경에선 제대로 먹혀들지 않았다는 얘기가 많다. 커넥티드카나 스마트팩토리라고 해서 다를까? 뭔가 있어는 보이는데, 기존 정보보호 업체 입장에서 수익용 실행파일을 만드는 건 여전히 만만치 않아 보이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가운데 20년차 네트워크 보안 및 암호 솔루션 전문 업체 펜티시큐리티가 OT 보안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어 주목된다. OT를 향한 펜타시큐리티의 행보는 다
그동안 고가의 분석기를 사용하던 나노 분야 업체들에게 반가운 소식이 전해졌다. 바로 혼합 전자기장 분석 기술을 사용해 나노 자성 입자를 분석할 수 있는 분석기가 출시된 것. 이 제품은 휴대가 가능하고 기존 광학기기에 비해 저렴해 나노 기술을 활용하는 기업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측정 및 분석 분야의 강소기업으로서 ‘나노로 바꾸는 세상’을 선도하고 싶다는 스타트업 ‘맥솔루션’의 김태선 대표는 나노 산업을 미래 먹거리로 꼽았으며 그중에서도 나노 분석기의 중요성을 피력했다. ▲ 맥솔루션 김태선 대표이사 Q. 맥솔루션에 대해 간단히 소개해 주십시오. 지난해 창업한 맥솔루션은 대전에 위치한 스타트업 기업으로서 6명의 직원이 나노 자성 입자 분석기 연구개발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저희 맥솔루션에서는 혼합 전자기장 분석 기술(FMMD: Frequency Mixing Magnetic Detection)을 이용해 나노 자성 입자 분석기인 ‘맥레이(MagRay) 1000’을 개발했는데요. 나노 자성 입자를 정량, 정성 분석하는 데 최적인 FMMD 기술은 세계 각국의 나노 분야 및 신호계측
▲ 다나카 다케시 월드스마트에너지위크2017 행사 현장에서 개최 측인 리드재팬의 다나카 다케시 사무국장과 간단한 인터뷰를 진행했다. 인터뷰가 이루어지는 내내 다나카 다케시 사무국장은 한국 업체들의 기술력과 에너지 산업에 대한 관심이 행사를 알리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며 앞으로도 한국에서 많은 관심을 가져 주었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다음은 다나카 다케시 사무국장과의 미니 인터뷰 내용이다. Q. 최근 화력에너지는 환경오염 때문에 사실상 사장 산업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굳이 화력발전 엑스포를 개최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매년 월드 스마트 에너지 위크를 개최하면서 화력발전 전시도 개최되었으면 좋겠다는 관련 업체들의 요청이 많았습니다. 환경오염에 관한 우려가 있기 때문에 관련 업체들이 오염을 방지하는 기술과 장비를 보여주고 싶다는 희망이 컸던 거죠. 또한 많은 방문객들이 태양광에너지, 풍력에너지 등과 더불어 다양한 에너지 산업을 살펴보고 싶다고 하셨어요. 저희 리드재팬이 연간 180개나 되는 전시회를 개최 중인데, 저희 회사 규모면 화력발전 전시를 개최해도 성공적이겠다는 내부 회의 결과 화력발전 엑스포를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Q. 전시를 준비하면서 에너지 산업 트렌드
인우에너지는 아직 사업을 시작한 지는 3년밖에 안 된 업체이지만 다양한 제품군으로 일본 시장을 공략하고자 전시에 참여했다. 주 생산 품목은 태양광 인버터와 하이브리드 인버터, ESS이고 산업용이나 큰 부하에 사용할 수 있는 ESS 시스템을 위주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인우에너지의 허진 팀장에게 출시 기술에 대해 자세히 들어보았다. Q. 전시에 참여한 목적이 무엇인가요? 이 전시회가 일본뿐만 아니라 중국과 한국에서 많은 분들이 찾아오고 있잖아요. 그 분들에게 저희 제품을 소개하고 잠재적 구매자를 찾기 위해 이 전시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Q. 전시 중인 기술에 대해 소개해주세요. 가정용 PV 인버터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3KW 정도의 부하를 사용할 수 있는 태양광 인버터 기술이에요. 또 배터리 팩에 전기를 저장해서 비상시나 피크 시간 때에 사용할 수 있는 ESS 형태의 제품을 전시 중입니다. 저희 기업의 ESS 제품은 리튬 이온 배터리 팩을 사용하지만 납축전지도 사용할 수 있는 범용적인 제품이에요. 제품 자체에 UPS 기능도 가지고 있어서 비상 전원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태양광, 패널, 부하 그리드를 전부 한 곳에 물릴 수 있습니다. MPP
“과거의 작업 방식에 의한 고정관념을 깨고, 고객이 원하는 사항들을 최대한 반영해 획기적인 제품을 개발해 내는 것이 바로 혁신 아닐까요?” 우리 사회 전체가 변화의 급물살을 타고 있는 2017년 봄, 본지는 일등테크의 우광윤 대표를 만나 경기침체 속 잔뜩 움츠리고 있는 중공업 분야에서 면취 가공기 업체가 나아갈 방향과 기술 개발의 중요성에 대해 들어봤다. ▲ 일등테크 우광윤 대표이사 Q. 먼저 회사 소개를 간단히 부탁드립니다. 일등테크는 플레이트 용접 면취 및 파이프 관단 면취 가공기 제작 전문 업체로서 생산성 향상, 인건비 절약, 공기 단축, 경쟁력 강화 등 고객들의 니즈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면취 가공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저희 일등테크는 신속한 납기, 최고의 품질, 저렴한 가격이라는 슬로건 하에서 30년 가까이 축적된 기술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연구개발에 꾸준히 매진하고 있지요. Q. 면취기 전문 기업으로서 면취 가공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해 주신다면? 플레이트 개선기는 철판 용접의 필수 장비라고 할 수 있는데요. 우선, 용접 작업 시 각진 모서리를 깎아서 매끄럽게 만드는 면취 작업은 양면 부재의 용융점 온도가 일정하기 때문에,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