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체 탐방/나노플렉스] EPD 개발에 주력...니치마켓 겨냥한 블루오션 국내에서 유일하게 EPD를 활용한 제품을 자체 개발 및 생산하는 나노플렉스(NanoFlex, www.nanoflex.co.kr, 김명종 대표)는 2013년 2월 경기도 평택시 모곡동에 공장을 세우고 EPD를 활용한 모듈 및 제품의 생산을 본격화했다. 이제까지 페이지 전환 시간이 약 1초 소요되는 약 200ms의 화면 반응 속도는 e-북 리더의 취약점으로 지적돼 왔다. 나노플렉스는 낮은 실용성과 흑백의 디스플레이만을 보여 준다는 약점을 극복한 제품군을 스스로 개척한 좋은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여기서는 나노플렉스 제품을 소개하기에 앞서 EPD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살펴본다. EPD란 무엇인가? 먼저 EPD(Electrophoretic Display)는 LCD나 다른 디지털 스크린과 달리 실제 종이에 잉크로 쓴 것 같은 모습으로 배경 조명이 필요하지 않다. 현재 가장 인기 있는 전자종이는 E-ink의 EPD 기술로, 투명한 액체 위에 떠 있는 흰색과 검정색의 입자들을 움직여 이미지를 만든다. EPD의 특징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Flexible : Segment type에 한정
// fndled3.c #include #include /* FND */ #define BUS_FND_COM_SEL*((unsigned char *)0x1008) // COM select #define BUS_FND_WR_DATA*((unsigned char *)0x1004) // write data void delay (int d){ int i; for (i=0; i } // convert ascii code to FND font index unsigned char ascii_to_fnd_font(unsigned char character) { unsigned char font_index;// FND font index if(character == 0xFF) { // FND font index - 8 and dot point font_index = 0x12; } else if(character == 0x2E) { font_index = 0x11;// FND font index - dot point } else if(character == 0x2D) { font_index = 0x10;// FND font index - dash } else if((chara
마이크로콘트롤러(이하 MCU)로 LED를 제어하는 것은 제어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실무에서는 소스 코드(source code)가 상당히 긴 편이므로 기본적인 코드를 많이 숙지하면 응용에 도움이 된다. 그래서 LED 제어로 기본 응용을 파악하고, 노하우를 잘 익히면 LED 제어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LED 제어에는 기본적으로 DDR(Data Direction Register) 레지스터와 PORT 레지스터를 사용한다. DDR 레지스터는 Atmega128 MCU의 PORT 입출력을 결정하며, PORT 레지스터는 실제 데이터를 설정해 준다. DDR 레지스터와 PORT 레지스터의 리셋 후 초깃값은 0이다. 여기서는 Atmega128 MCU를 사용하여 LED를 제어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간단한 LED 제어 비교적 간단한 LED 제어에 대한 회로는 그림 1과 같다. 이 회로에서 PORT에 직접 LED가 연결되어 있으며, 스위치를 이용하여 선택적인 동작을 할 때는 Buffer IC(74HC244)를 사용할 수도 있다. LED는 Active Low 방식으로 구동된다. 회로를 구동하기 위하여 WinAVR2010의 Mfile에서 Makefile을 만든다. Mak
얇아지는 스피커(Ⅱ)-그래핀 소재 필름 스피커 그래핀 스피커는 유연성이 뛰어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바일 기기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투명도가 뛰어나 디스플레이 전면에서 음을 재생하며, 유리창 및 거울 전면에 부착할 수 있다. 때문에 모바일 IT 트렌드에 적합한 소재라고 할 수 있으며, 그래핀의 가볍고 강한 성질과 신축성 및 내마모성 등으로 인해 뛰어난 음질을 지닌다. 최근 미국 UC버클리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그래핀으로 만든 진동판을 사용한 이어폰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그래핀 이어폰은 두께 30nm, 넓이 7mm의 그래핀 시트를 사용해 진동판을 만들고, 이 그래핀 진동판을 두 개의 실리콘 전극 사이에 넣어 음파를 생성한다. 그림 1. 기존 PVDF 스피커 그림 2. 그래핀 스피커 그래핀의 우수한 기계적 성질은 표 1과 정리할 수 있다. 표 1. 그래핀의 기계적 성질 그래핀을 적용한 스피커는 크게는 정전(Electrostatic) 방식과 열음향(Thermoacoustic)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열음향 방식은 세부적으로 세 가지 정도로 분류돼 개발이 진행 중이다. 각각의 스피커 특성에 대하여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정전형 그래핀 스피커
AVR MCU 개발 시 유의해야 할 사항 마이크로컨트롤러(이하 MCU) 개발 시 하드웨어 또는 C 언어 프로그래밍 오류에 의해 장비가 원하는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는 MCU 개발 시 유의해야 할 점에 대해 살펴본다. 현재 AVR MCU가 많이 사용되므로 AVR 위주로 설명한다. 시뮬레이션과 회로 동작 일반적으로 전자회로를 개발할 때 양산하기 전에 회로를 미리 구성하여 회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파악한다. 그리고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사용하여 전자회로의 동작을 체크하기도 한다. 비교적 간단한 회로인 경우 시뮬레이션에서 잘 동작하면 실제로도 잘 동작한다. 그러나 회로가 복잡해질수록 시뮬레이션에서는 잘 동작했지만 실제로 회로를 꾸며보면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WinAVR Programmer's Notepad와 Codevision C의 특징과 비교 1. WinAVR WinAVR을 설치하면 자동으로 WinAVR Programmer’s Notepad가 깔린다. WinAVR에는 gcc 컴파일러를 구동할 수 있는 기능이 있으며 무료 프로그램치고는 사용하기 좋은 편이다. 단, gcc 컴파일러를 사용할 때는 소스 파일을 작성한 후, 작성
/////////////////////////////////////////////////////////////////////////////////////////////////////////////////// AVR Studio V4.19 // WinAVR 20050214 #include "main.h" #include "localmath.h" #ifdef ADC_BubbleSort_Enable #define SWAP(a, b) { dword t; t=a; a=b; b=t; } word BubbleSort(word *p, byte num){ byte i, j; long k=0; for(i=0; i<_AVERGE_NUMBER_-1; i++) { for(j=1; j<_AVERGE_NUMBER_-i; j++) { if(p[j-1] > p[j]) SWAP(p[j-1],p[j]); } } for(i=_AVERGE_NUMBER_/3; i < (_AVERGE_NUMBER_/3)*2; i++) k += p[i]; return k/(_AVERGE_NUMBER_/3); } #endif void Is_Rx(void){ while(g_RxTopCount
NTC Thermometer를 이용한 디지털 온도계 제작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에는 반도체를 이용하는 것과 두 금속의 접합부에서 발생하는 열기전력을 이용하는 것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에서도 써미스터(Themistor)는 가격이 낮고 높은 신뢰성을 지닌다. NTC Themistor NTC(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of Resistance) 써미스터는 대부분 사용 온도가 300℃ 미만으로 Co, Mn, Ni, Cu, Fe 등의 금속산화물을 두 종류 또는 그 이상 혼합한다. 소결성 향상을 위해 CuO를, 저항값 감소를 위해 F₂O₃나 Li₂O를, 저항값 증가를 위해 Cr₂O를 첨가한다. 또한 1200∼1400℃의 고온에서 소성한 소결체로, 안정된 Spinel 구조나 Rock Salt 구조를 갖게 함으로써 저항이 (-)의 온도계수를 갖는 Thermally Sensitive Resistor이다. 그림 1. 써미스터 종류별 특성 그림 2. 디스크형 그림 3. 터미널형 그림 4. 막대형 써미스터의 한 선을 +5V에 연결하고 직렬로 저항을 연결시킨 후 저항의 한 쪽은 0V로 향하게 한다. 써미스터와 직렬로 연결된
시스템 엔지니어링 (126) 요구 도메인 솔루션은 시스템, 제품, 하부체계 등 개체의 솔루션 영역이 기법, 기술, 비용 및 일정 제약사항과 리스크에 달려있다. 요구도메인 솔루션은 이하와 같은 사항으로 나타난다. · 어떤 능력과 성능 특성이 시스템, 제품, 용역으로부터 요구되는가 · 어떤 성능 수준을 기대하고 있는가. 그리고 얼마나 잘 수행하는가 · 요구사항에 근거하여 능력 이행을 위한 시스템 요소 수행책임이 있는가 · 그 능력은 언제 요구되는가 · 어떤 운용환경 상태와 상호작용 아래에서 수행되는가 · 사용자 운용요구를 충족하고 시스템과 임무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어떤 결과와 산출물을 기대하고 있는가 이 글은 앞서 SE 프로세스 모델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요구사항 도메인 솔루션을 기술토록 한다. 따라서 요구도메인 솔루션의 목적, 주요 요소, SE 프로세스 모델 업무 흐름 순서, 개발책임, 의존성, 개발방법, 도전 및 산출물을 다룬다. 1. 얻고자 하는 내용 · 요구 도메인 솔루션의 목적은 무엇인가 · 요구 도메인 솔루션의 주요 요소는 무엇인가 · 요구 도메인 솔루션과 SE 프로세스 모델의 연관성은 무엇인가 · 요구 도메인 솔루션과 운용, 거동 및 물
최근 스피커는 점점 얇아지고 있는 추세다. 그 중 압전 스피커는 압전 소자의 기계적 움직임을 진동판에 의해 음향적으로 변환시켜,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 부품이다. 압전 필름 스피커 교세라와 LG전자가 곡면 OLED TV용으로 세계에서 가장 얇은 두께 1mm의 스피커를 개발했다(그림 1). 스피커는 교세라가 독자적으로 개발했으며, LG와 공동으로 OLED TV에 탑재하기 위한 커스터마이즈 작업을 했다. 그림 1. 교세라와 LG전자의 압전 필름 스피커 교세라는 이와 함께 경량, 초박형 스피커를 개발했다. ‘스마트 Sonic 사운드’ 라고 불리는 이 제품은 특수필름과 결합된 압전 액추에이터를 사용하고, 교세라의 독자적인 세라믹 소재기술과 적층기술과의 접목으로 탄생한 기술이다. 대형, 중형, 소형 등 3 종류의 제품을 개발했으며, TV 이외에 태블릿 단말이나 스마트폰 등의 용도로도 판매 중이다. 그림 2는 교세라에서 개발한 압전용 필름 스피커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2. 압전용 필름 스피커 구조 압전 효과(Piezoelectric Effect)는 물체에 힘을 가하여 수축 및 팽창이 발생하는 순간에 전기 신호가 발생하는 것을 일컫는다
무선전력 전송 기술 상용화 눈앞…스마트폰·전기자동차 등 적용 자기유도·자기공명 등 관련 기술 시장 선점전서 치열한 경쟁 최근 전 세계적으로 각종 전자기기에 전선 없이도 편리하게 전원을 공급하거나 충전할 수 있는 무선전력 전송(Wireless Power Transfer)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무선전력 전송(WP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기술은 100여 년 전 니콜라 테슬라(Nikola Tesla)에 의해 시도된 이후 지속적으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최근 스마트폰 무선충전기와 전기자동차에 적용되면서 상용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선으로부터의 자유, 무선전력 전송 기술 시대 도래 그동안 무선전력 전송 기술은 무선 전동칫솔과 전기면도기, 무선 주전자 등 일부 산업에서 제한적으로 기술을 활용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 휴대폰 제조사 및 관련 부품업체를 비롯해 이동통신사들이 무선충전기 시장에 뛰어들면서 무선충전 기술의 상용화를 앞당기고 있다. 사용량이 급증한 스마트폰은 동영상과 인터넷 사용이 증가하면서 배터리의 급격한 소모로 인해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사용자 요구가 증가고
소프트웨어 교육, 무엇이 해법인가? 필자는 그 동안 소프트웨어 교육을 많이 받았고, 실제 실무 현장에서 연구 및 개발도 해 보았지만 아쉬운 점들이 있었다. 이 글은 필자가 소프트웨어 분야에 종사하면서 분석, 조사, 경험했던 일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소프트웨어 교육에 일익을 담당하고자 서술한 것이다. 초중고 학생들에게 적합한 내용이지만, 대학 및 일반인 대상의 소프트웨어 교육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소프트웨어 교육의 필요성 요즘 첨단 IT 제품이 활발히 개발되면서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하드웨어 분야는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소프트웨어 분야는 아직 풀어야 할 과제가 많다고 생각한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도 소프트웨어 교육의 필요성을 느껴 중학교 및 고등학교에서도 소프트웨어 교육을 강화시키려고 하고 있다. 교육 당국에서는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해 훌륭한 전문가들을 참여시켜 많은 논의를 거치고, 여러 가지 교육 방법들을 고려하여 거의 완벽한 지침이 확정된 후 일선 학교들에 교육시킬 에정이다. 이렇게 교육 당국이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선 실무자로서 겪은 좋은 제안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생각에, 필자가 평소 소프트웨어
모바일기기의 생활화로 플렉서블 일렉트로닉스가 향후 각광받는 기술로 대두되면서, 신축성이 있는(stretchable) 투명전극 소재의 발굴이 시급해졌다. 기존의 ITO를 기반으로 한 투명전극은 늘리거나 구부렸을 때 쉽게 부서지고 전기전도성을 잃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해 그래핀은 신축성이 매우 높은 물질이기 때문에 기존의 ITO보다 탁월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현재 투명전극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ITO는 인듐을 주원료로 하고 있어, 희토류 원료의 대외 의존성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는 사실도 주목할 만한 이유 중 하나이다. 원료비용 증가의 문제 외에도 ITO는 공정의 복잡함과 패턴 제작상의 어려움, 산과 염기에 취약함, 깨기지 쉬운 물성, 낮은 내마모성 등의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따라 그래핀으로 투명전극을 제작해 미래에 고갈될 수 있는 희토류 자원을 대체할 수 있는 소재를 현실화함으로써, 지구환경 보존에 일조하는 기술 개발이 많은 곳에서 진행 중이다. 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는 폴리머 액정 디스플레이로, 게임기 또는 투명디스플레이 후면에 배경을 차단․투과․
개방형 LBS 플랫폼 기술(Ⅳ) 실시간 이벤트 정보 처리 기술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다양한 센서들이 배치되어 대량의 정보를 수집한다. 수집된 데이터는 데이터 센터로 전송되어 처리되며, 처리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현재 상황을 인식하고 사용자의 요구 및 상황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정은 제공의 정확성 및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상황 변화에 실시간으로 반응해야 한다. 적합한 서비스를 적시에 제공하기 위해서는 센서에서 수집되는 대량의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처리되어야 하지만, 환경 변화에 따라 센싱 데이터의 양이 급격히 증가하면 한정된 컴퓨팅 자원만으로는 처리하기 어렵다. 이 경우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상대적으로 중요한 데이터를 먼저 처리해야 한다. 급변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발생하는 대량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해, 메인 메모리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가 이용된 시스템 구조의 저장 및 백업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기존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단일 DBMS를 이용하거나, 동일한 DBMS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했지만, 디스크 기반 DBMS의 사용으로 대량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당신이 시스템을 개발할 때, 사용자, 획득자, 시스템 개발자에게 대답해주어야 할 네 가지 기본 질문사항이 있다. 첫째, 우리가 시스템과 제품 및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 투자한다면, 그들의 조직 임무달성을 위해 사용자에게 무슨 유용성을 줄 수 있는가? 둘째, 시스템 유용성이 있다면, 사용자 임무 적용에 적합하고 쉽게 그들의 비즈니스 모델로 통합될 수 있는가? 셋째, 시스템이 유용하고 적합하다면, 임무수행 시 운용 가용한가? 넷째, 그 조직에 유용하고, 적용에 적합하며, 요청 시 주어진 임무 수행이 가용하다면, 성공적인 요구레벨에서의 임무수행과 임무목적 달성에 효과적인가? 궁극적으로 시스템과 제품 및 서비스를 시험하는 내용은 사용자 임무수행과 임무목적 수행에 관한 임무와 시스템 효과도이다. 주어진 임무환경 조건과 제약범위 내에서 수행 불가는 사용자, 그들의 조직 및 대중에게 운용, 재정 및 생존 위험을 가져다준다. 시스템 엔지니어에게 가장 큰 시스템 엔지니어링 적용 중의 하나는 운용 및 시스템 효과 목표를 개발자가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뜻있는 능력과 성능 요구사항으로 전환하는 데 있다. 도전해야 할 일은 시스템 엔지니어가 실무수행방법을 이해하기 위해 토픽에
개방형 LBS 플랫폼 기술(Ⅲ) 새로운 LBS 플랫폼과 기술 개발의 필요성 최근 스마트폰 보급 확대 및 이동통신 3사의 Wi-Fi AP 설치 확대 계획과 연계하여 이미 설치된 AP 및 신규 AP를 통합한 범국가적 Wi-Fi AP 위치 DB를 구축하고 국가 LBS 인프라로 활용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필요해졌다. 광대역 무선통신 위치 DB를 구축하기 위해 LBS 사업자가 전문 조사원을 이용, 실내 수집할 경우 막대한 구축비용이 필요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기반 자동 수집 기술이 필요하다. 자동화된 수집 기술을 통해 획득한 수집 데이터를 가공하여 Wi-Fi AP 위치를 생성하고, 이를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네트워크 지연 없이 Wi-Fi 기반으로 위치를 결정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LBS 시장은 모바일 인터넷 산업을 선도할 미래 성장 동력으로서 향후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스마트폰 활성화와 단말기 가격 하락, SNS와 연계된 소셜커머스, 포털의 시장 참여 등에 의해 빠른 시장 확대와 지속적이 성장이 기대된다. 한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IT 인프라를 갖추고 있으나, 이를 응용한 LBS 지원은 미비한 수준이라고 볼 수 있다. 다양한 유무선 통신 인프라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