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석유공업은 전기절연유를 비롯해 기계유, 왁스 등 산업의 기초소재를 생산하고 공급하는 회사다. 2007년 전력용 변압기 식물성 전기절연유를 개발해 한국전력으로부터 우수 신제품 개발업체로 인정받았으며, 신제품 인증인 NEP도 획득했다. 제품 소개 • 전기절연유 : 고도의 정제기술을 적용해 초고압용(765KV) 제품의 생산 및 고압변압기의 소형화, 경량화를 선도한다. • 식물성전기절연유 : 생분해성이 우수하고 독성이 없는 환경친화적 제품으로 내열 및 난연 특성이 우수해 화재에 대한 안정성을 갖추고 있다. 이솔이 기자 (eltred@hellot.net)
리탈은 1961년에 설립되어 꾸준한 발전을 거듭해 세계 유수의 인클로저 제조업체로 성장했다. 첨단 컴퓨터 기술과 자동화의 도움을 받아 리탈은 기계 보호 및 설치 용량에서 최고의 성능을 발휘하는 다양한 인클로저와 액세서리를 제작하고 있다. 현재 일곱가지 전략 사업인 산업용 인클로저 시스템, 배전 시스템, 전자장치 설치 시스템, 시스템 냉각제어, IT 솔루션,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서비스 등의 기본 제품 라인에서 비롯한 13,000여가지의 제품을 세계 전역으로 공급하고 있으며, 매년 수백가지가 넘는 혁신적인 제품이 새로 추가되고 있다. 리탈은 전 세계에 60여개의 지사와 19개의 생산 시설 그리고 70개의 대리점과 150개의 배송 센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최적화된 현지 직접 접촉 방식으로 고객에게 최선의 서비스와 신속한 배송을 제공하고 있다. 김연주 기자 (npnted@hellot.net)
드론파이터 전용 비행 시뮬레이터는 언제 어디서나 즐길 수 있도록 실제 모델의 움직임 특성을 그대로 담았다. 초보자를 위한 비행 연습 메뉴는 물론 다양한 기능에 대한 설명, 비행 게임 등을 즐길 수 있다. 로그인 시스템을 탑재하여 온라인상에서 다른 유저들과 실력을 겨룰 수도 있다. 드론파이터와 조종기에 보이는 micro USB포트를 통해스마트 폰의 OS를 업그레이드 하듯이 제품의 펌웨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드론파이터 프로패키지는 드론파이터에서 개발한 모든 제품을 최적화한 패키지 형태로 드론파이터 기본 패키지, 드론파이터 급속멀티충전기, 드론파이터 HD Cam을 모두 포함한 가장 최적화된 구성품으로, 드론파이터 유저가 가장 많이 찾는 구성품이다. 드론파이터 파워패키지는 드론파이터 장시간 비행의 즐거움을 위한 구성품이다. 드론파이터 기본패키지, 드론파이터 급속멀티충전기와 3개의 D-Cell를 추가로 포함한 가장 최적화된 구성품이다. 드론파이터의 비행 시뮬레이터는 PC용 프로그램으로 실제로 비행하기 전 시뮬레이터의 사용을 권정한다. PC와 조종기를 USB 케이블로 간단히 연결하여 비행 연습, 펌웨어 업그레이드, 비행게임 등을 할 수 있다. 드론파이터 유저라면
마르포스는 1952년 설립되어 가공 부품의 완성치수, 형상치수, 가공품 표면 품질의 측정 관리를 위한 표준용 또는 주문 제작 방식의 산업용 측정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을 생산해왔다. 선반에 대해서는 터렛에 설치된 소재 검사 시스템으로부터 접촉과 비접촉식 기법을 갖춘 공구 마모 보상 및 파손 감지에 대한 솔루션까지, 그리고 기계상태 모니터링과 장비에 탑재되어 가공 후 전용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스테이션을 갖춘 치수 측정에 대하여 다양한 측정 및 검사 솔루션을 제공한다. 터닝 센터에 대한 솔루션 또한 적용 가능하다. 마르포스는 머시닝 센터와 밀링 머신에 대하여, 소재 검사를 위한 다양한 무선전송 기술을 지닌 시스템, 접촉식과 비접촉식 기법을 지닌 공구 측정 및 감지 시스템,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통하여 공구 및 기계 장치물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기계상태 모니터링과 스핀들에 장착되는 무선 측정 플러그을 사용하여 장비 내 치수 측정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또한 마르포스는 드릴링, 테핑머신, 보링머신, 샤프너, 기어커터, EDM 와 석제품용 기계, 유리제품용 기계, 목공품용 기계와 같은 어떤 종류의 공작기계에 대해서도 측정 및 검사 솔루션을 제공 할 수 있다. 트
스마트 팩토리 구축의 핵심 요소는 주어진 환경을 분석하여 자율적으로 움직이는 기계, 즉 스마트 머신이다. 그 모습은 제어 자동화와 디지털 식별이 결합된 IoT형 자동화로 구현된다. 아모레퍼시픽은 인더스트리 4.0이라는 제조 패러다임 시대에 산업혁명 3차와 4차의 과도기적 단계에 있다. K-smartfactory.org 세미나에서 아모레퍼시픽 신태홍 부장이 발표한 ‘지능화된 스마트머신’에 대한 강연 내용을 정리했다. ▲ 아모레퍼시픽 신태홍 부장 스마트 팩토리 하면 ICT, IoT, 빅데이터 등 다양한 혁신 툴을 얘기한다. 하지만 아모레퍼시픽은 그러한 툴을 가지고 어떻게 스마트 팩토리와 연계시킬까를 고민했다. 결국, 스마트 팩토리가 되기 위해서는 기계가 이들과 소통할 수 있는 디지털화와 지능화가 되어야 한다. 아모레퍼시픽에는 글로벌 생산기지가 크게 5개가 있다. 프랑스(향수), 상해(화장품), 진천(녹차), 대전(생활용품), 그리고 메인 공장인 오산(화장품)으로, 스마트 팩토리는 이들 위주로 진행되고 있다. 여기서는 기술적 요소보다는 아모레퍼시픽 사업장에 적용하여 시너지가 발생된 사례들 위주로 소개한다. 지능화된 스마트머신의 도래 인더스트리
네오피스는 2000년 창업 후 해외 기술력에 의존하던 보호계전기, 디지털 미터, 통신 중계 장치, 전력 감시 시스템을 개발, 국산화해 송변전·발전, 화공플랜트, 철강 및 전자 공장 등에 납품하고 있다. 최근에는 에너지 효율을 위한 Energy Management System(EMS)와 신재생에너지 및 분산전원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Energy Storage System(ESS)을 개발한 바 있다. 제품 소개 디지털 전력보호 감시제어장치(IED)인 PROMET Series는 주요 부하의 전력보호 감시 제어장치로서 상위 시스템과 Modbus(RS485)통신이 가능하다. 디지털 파워미터인 METi Series를 생산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 개발한 METi 2500S는 시스템과 TCP/IP 및 Modbus(RS485)통신이 가능한 제품이다. 또한 RTU, DCU 및 광변환 장치 등 통신 중계 장치를 개발해 생산하고 있으며, 자체 HMI S/W를 통한 전력 감시시 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신규 사업으로 차단기 인출 시 인명 보호를 위한 차단기 원격 입출입 장치 및 VI의 상태와 기계적 동작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휴대용 VI진공도 시험장치 및 차단
남성기업은 부스바 만능 가공기 제조업체다. 1986년 설립 이후 끊임없는 개발과 연구를 통해 부스바 가공기를 개발하고 매년 제품의 사양을 고객의 요구에 맞춰 업그레이드하고 있다. 판넬과 부스바를 동시에 작업하는 복합기계부터 휴대용 포터블 모델까지 생산하고 있다. 제품 소개 하나의 기계로 3가지의 작업(펀칭, 절곡, 컷팅)을 동시에 3명의 작업자가 할 수 있어 작업속도를 대폭 개선할 수 있다. 작업속도뿐 아니라, 획기적인 펀칭 시스템, 자동 절곡 시스템을 도입해 좀 더 빠르고 정확한 작업을 가능하게 해 준다. 이솔이 기자 (eltred@hellot.net)
국제전기는 1979년 첫 철도 변압기를 개발한 후, 철도차량 특수변압기 분야와 중전기기 분야에서 국내 시장 점유율을 점차 높이고 있다. 2014년 진광E&C를 인수하며 아세아E&T, 정원전기시스템, 국제전기 4개 회사가 합쳐졌다. 관련 회사 인수를 통해 특수 변압기뿐 아니라 개폐기, UPS, 인버터, 정류기, 충전기 등 전력전자 사업 부문을 강화하고 있다. 1984년 미국 EMERSON사와 기술도입 계약을 맺고 정부의 발전설비 전문 계열화 업체로 지정되면서 PS와 UL 마크를 획득했다. 1994년에는 기업 부설 연구소 설립을 기반으로 원자력 발전설비 ‘Q-Class’ 업체로 선정됐으며, 2009년에는 몰드변압기 생산설비를 마련하고 판매를 시작했다. 제품 소개 HEMU-430X용 주변압기는 4350kVA 동력분산형 고속열차 주변압기 국산화 기술 개발을 목표로 개발됐으며, 현재 시험운행 단계까지 완료됐다. PVR(주상 설치형 자동전압조정기)은 미국 Cooper Power System과 기술도입 계약을 맺고 국산 개발에 성공한 제품이다. 이 조정기는 선간 전압을 지정된 범위 내로 유지하며, 모터나 전구, 기계 등의 적절한 동작을
두산중공업은 산업의 기초 소재인 주단조부터 발전기자재, 해수담수화 설비 제작을 비롯해 플랜트를 건설하는 대표적인 EPC 전문 기업이다. 풍력 등 화석연료가 아닌 에너지원을 사용하는 발전시스템, 초전도발전기와 초초임계압 석탄화력발전소 등 발전효율을 극대화시키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해수담수화 플랜트를 공급하는 두산중공업은 전세계 다단증발법(MSF), 다중효용증발법 (MED) 및 역삼투압법(RO) 등 3대 해수담수화 기술을 모두 보유하고 있는 기업 중 하나이다. 또한 원자로, 증기발생기 등 원자력 주기기에 소요되는 대형 단조품과 원자력, 화력, 수력, 가스터빈 발전기에 소요되는 주요 주단조품을 공급하고 있다. 그 외에 도로, 고속철도, 교량, 단지 조성, 항만공사 등 토목 전 분야에 대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베트남 Noibai-Laocai 도로, 원주-강릉 철도 공사, 삼척 그린파워 등 국내외 다수의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김연주 기자 (npnted@hellot.net)
두산인프라코어는 건설기계, 공작기계, 엔진 및 각종 어태치먼트와 유틸리티 장비 등 모든 참여 사업분야에서 독보적 위상을 구축한 한국 최고의 기계기업이다.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인프라지원 산업분야 글로벌 선도기업으로 비상하고 있는 회사다. 건설기계 사업부문은 중대형 굴삭기와 휠로더에서 굴절식 덤프트럭 및 소형 건설기계까지 아우르는 라인업을 갖췄고 전 세계 각지에 생산, 판매 및 유통망을 확보했다. 두산인프라코어 굴삭기는 월등한 굴삭력, 높은 작업성능, 뛰어난 연비 그리고 간편한 제어성을 지녔다. 기계를 만드는 기계라고도 불리우는 공작기계는 1976년 사업 개시 이후 여러 산업 현장에서 막대한 수입 대체 효과를 창출하며 터닝센터, 머시닝센터, NC 보링, 스위스 턴 등이 있다.터닝센터는 파이프와 같이 둥근 부품을 가공하는 데 주로 사용되는 공작기계다. 또한, 엔진 제품에는 발전기용 디젤엔진, 산업용 디젤엔진, 차량용 디젤엔진 등이 있다. 김연주 기자 (npnted@hellot.net)
동화뉴텍은 40년 이상 축적된 최고 수준의 기술력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전 세계에 걸쳐 공기압축기를 공급해오고 있다. 동화뉴텍의 공기 압축기는 소형선박용 공기압축기로부터 대형 컨테이너선, ULCC, FPSO, DRILL SHIP 등 초대형 선박 및 특수선용 공기압축기를 개발해 실제 선박에서의 내구성 시험을 통해 그 품질을 인정 받았다. 스크류 공기 압축기의 NexKomp는 컴팩트한 설계로 설치 면적의 최소화 및 저소음 설계로 쾌적한 작업환경, 설치 및 조작이 간편하다. 저속 구동방식으로 효율상승 및 정숙성을 확보했고, 간결한 배관을 통해 컴프레서의 오일 누유 공기누기를 방지했다. 왕복 공기 압축기는 다양한 모델 변형으로 광범위한 용량을 갖춘 윤활시스템 및 냉각시스템이다. 쉽고 간편한 조립과 분해로 되어있으며 최적화된 설계로 콤팩트한 사이즈를 구현한다. 또한 모듈시스템으로 각 부품의 호환성을 극대화한다. 김연주 기자 (npnted@hellot.net)
제조업 분야에서 빅데이터는 설비 상태와 품질 결함 예측을 분석할 수 있으며, 부품의 최적 수리 시기와 교환 시기를 예측할 수 있다. 특히, 고난도 고장 진단과 예측 시스템에 빅데이터 분석기술을 많이 활용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쌓인 고장 진단 경험은 진단요원의 고객 대응 능력을 높일 수 있다. K-smartfactory.org 세미나에서 테라데이타 장동인 부사장이 발표한 ‘제조 분야 빅데이터 사례 및 제안’에 대한 강연 내용을 정리했다. ▲ 테라데이타 장동인 부사장 1999년 인터넷 열풍이 세상의 모든 비즈니스 모델을 바꿨다. 16년이 지난 오늘 소셜, 모바일,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와 3D 프린팅까지 6개의 통합된 기술이 다시 한 번 세상의 비즈니스 모델을 바꿀 것이다. 빅데이터가 가져온 변화들 지금까지는 기업 IT는 중앙서버에 데이터가 존재하고, 그리고 그 안에 전자정부, ERP, CRM, KM 등 공통적으로 기업 내에 있는 전자 시스템이 전부였다. 그런데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모바일 기기가 중심이 되면서부터 사람들이 PC, 가전 기기 등의 센서들을 쓰지 않게 됐다. 지금까지 IT기술이 산업현장에 서포터 역할로써 전반적인 흐
대원강업은 차량용 서스펜션 역할을 하는 각종 스프링과 시트제품을 개발, 생산하고 있다. 대원강업은 현재 중국, 미국, 인도, 폴란드, 러시아 등지에 해외 현지 생산법인을 설립하여 세계 전 지역을 아우르는 글로벌 생산체제를 구축했다. 현대·기아자동차를 위시하여 GM, 클라이슬러, 폭스바겐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와 함께 자동차의 품격을 높이고 있다. 특히 소재개발에서부터 제품의 설계, 생산, 설비, 기술제공에 이르기까지 일관생산시스템을 갖춘 세계 유일의 전문 엔지니어링 회사이다. 현가스프링은 주행 중 노면에서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최소화하고 기관의 떨림 등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좋게하고, 차량의 선회 시 균형을 유지해주는 역할을 하는 차량의 핵심부품으로 대원강업은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토션바 등의 제품을 생산한다. 정밀스프링은 자동차부품, 전자제품, 가종 산업기기, 토목건축물, 초정밀 IT부품에 이르기까지 일상생활 속에서 매우 다양한 형태의 스프링으로 광범위하게 적용되어 대원강업은 엔진밸브스프링, 엔진밸브코터 등의 제품을 생산한다. 자동차용 시트는 수많은 정밀 부품이 모여 조립되는 모듈화 제품으로 운전자를 비롯한 탑승자가 가장많이 느끼는 제품으로
2015 한국전자전과 함께 열리는 2015 국제반도체대전에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가 참가해 스마트시티·스마트파워·웨어러블 솔루션과 개발 에코시스템을 각종 시연과 함께 선보일 예정이다.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의 마르코 카시스 한국/일본 총괄 사장은 “스마트 솔루션을 올해 콘셉트로 잡았다. 각종 시연을 통해 참관객들에게 더욱 스마트해진 시티 라이프의 단면을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인터뷰 |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마르코 카시스 사장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는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전자제품의 구동을 돕는 반도체를 제공하는 글로벌 기업이다. 최근에는 차세대 모바일 및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스마트 드라이빙, 스마트 공장, 스마트 도시, 그리고 스마트 홈을 구현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Q:이번 전시의 주 콘셉트는 무엇인가 A:전시는 사물인터넷과 관련된 최첨단 제품, 솔루션 및 주력 제품을 시연하기 위해 ‘ST, 스마트 솔루션’을 콘셉트로 준비했습니다. 작년 전시에는 웨어러블, 헬스케어와 같이 생활 곳곳에서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사물인터넷 애플리케이션에 주력했다면, 올해
스마트 팩토리의 대표적인 키워드 중에서도 머신비전이 눈여겨봐야 할 점은 모듈 공정이나 자율분산 시스템, 설비 자체(공정 라인)가 언제 바뀔 수 있는지에 대한 대비, 그리고 클라우드, 사물인터넷, 스마트 센서 등의 키워드를 갖춘 스탠드얼론 시스템으로 모듈 공정이나 라인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머신비전 세미나에서 라온피플 김헌중 기술이사가 발표한 ‘스마트 솔루션과 플랫폼을 위한 고성능 스마트 비전 카메라’에 대한 강연 내용을 정리했다. ▲ 라온피플 김헌중 기술이사 머신비전은 사람의 눈이 아닌 이미지 센서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토대로 비전 알고리즘을 통해 여러 가지 검사를 한다. 검사를 하고 측정을 하고 불량을 검출하고, 로봇 가이드를 위한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바코드나 문자를 인식하는 등의 일을 수행한다. 머신비전 솔루션 시스템 구성에는 일반적인 머신 비전 카메라와 알고리즘을 구현하기 위한 PC 또는 부가적으로 프레임 그래버가 들어간다. 그리고 거기에 필요한 비전 소프트웨어, 알고리즘 소프트웨어 패키지가 추가된다. 또 이런 전체적인 구성을 하나로 묶어 놓은 스마트 카메라 형태로도 비전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기도 하며 실제로도 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