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량, 전력 효율, SATA 최대 다 갖춰” 웨스턴디지털이 국내에서 ‘WD 블루(Blue) 3D낸드(NAND) SATA SSD’ 와 ‘샌디스크 울트라(Ultra) 3D SSD’를 출시했다. 이번에 출시된 제품들은 64단 3D 낸드 기술을 기반으로 한 ‘일반 소비자용’ SSD이다. 초호황 메모리 시장에 던져진 클라이언트용 SSD, 새로운 점은 무엇일까? 웨스턴디지털의 신제품은 2D 낸드의 물리적 한계에서부터 시작됐다. 집 하나를 짓는다고 생각해 보자. 집 하나에 방을 여러 개 만들기 위해서는 한 층을 계속 쪼개야 한다. 그렇게 되면 방의 크기는 계속 줄어 들고 사람이 잘 수 없을 정도의 크기까지 다다르게 될 것이다. 2D 낸드의 한계점이 바로 이 점이다. 2D 낸드는 셀 간격이 지나치게 좁아지면서 셀 사이의 간섭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그로써 낸드 다이(die) 사이즈의 지속적인 축소가 불가능해진다. 밀도도 한계다. 방 안에 침대를 몇 개 쌓을 수 있느냐를 생각해보면 쉬운데, 아무래도 한 방에 쌓을 수 있는 침대의 개수는 한정되어 있다. 2D 낸드도 마찬가지로 15nm가 밀도
전자 설계 자동화(EDA) 소프트웨어 분야의 선도업체인 멘토, 지멘스 비즈니스가 지난 8월 31일 잠실 롯데호텔에서 열린 지멘스 월든 C 라인스(Walden C. Rhines) 회장 방한 인터뷰를 진행했다. 그는 멘토, 지멘스 비즈니스가 앞으로 IC 설계, 자동차 및 에뮬레이션 시장 공략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지멘스 월든 C 라인스(Walden E. Rhines) 회장 한국 멘토가 개최한 국내 대표적인 EDA 분야 기술 행사인 ‘Mentor Forum 2017’에 참석하기 위해 방한한 월든 C 라인스 회장은 전세계 반도체 시장 동향에 대해 “최근 반도체 산업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구조적 변화는 규모를 키우기 위한 통합이 아니라 전문화를 위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최근 인수와 매각을 이용해 전문화를 도모한 기업들은 대개 영업이익률이 증가했지만 증가율이 그리 빠르지는 않았다”라고 말하고, “실제로 반도체 업계의 인수는 재무 레버리지(financial leverage) 즉, 영업이익 개선을 위한 것이지 규모의 경제를 위해 추진되는 것이 아닌 것이다. 이에 반도체 산업은 소수의 대기업들로 통합되지는
산업 전문 미디어 그룹인 (주)첨단은 한국금형기술사회와 공동으로 금형기술전문가(PE) 교육과정을 10월21일 전격 개설했다. 제조산업은 물론 관련 R&D 기관에서 30여명의 전문인력이 참가한 이번 제1기 PE 교육과정은 지난 21일부터 2018년 1월13일까지, 12주 동안 매주 토요일마다 6시간씩 총 72시간으로 진행되며,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스마트 금형을 구현하기 위한 핵심 금형기술로 프로그램을 구성했다. 첨단은 한국금형기술사회와 공동으로 금형기술전문가 교육과정을 지난 21일 개설했다. 사진은 1기생 교육 장면. 교육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사출금형 (구조, 설계, 공정관리, 트러블대책, 최신동향), 3D프린터 등(6회, 18시간) ▲금형제작, 치공구, 금형재료, 재료시험, 열처리 등(6회, 18시간) ▲프레스금형 (구조, 설계, 공정관리, 트러블대책, 최신동향), 소성가공 등 (6회, 18시간) ▲정밀측정, CAD/CAM/CAE, 산업응용, 스마트팩토리,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도면관리 등(6회, 18시간)이다. (주)첨단의 이준원 대표는 “이번 금형기술전문가 교육과정은 월간 금형기술 발행사인 첨단과 금형기술사회가 직접 주관하
3대 기술 확보해야 다양한 AI 서비스 상용화의 승자 국내에서 AI 기술력 경쟁이 시작되었지만, 서비스로 보면 AI 스피커 시장이 달아오를 전망이다. 이미 상용화한 통신기업에 이어 인터넷기업들도 곧 상용화를 예정하고 있다. 이들 모두는 특히 홈 미디어 서비스에서의 활용을 고민하고 있다. AI 비서 서비스가 스마트폰에서는 그다지 성공적이지 못한 데 비해 아마존의 알렉사를 필두로 댁내 AI 비서 서비스의 가능성이 스피커 시장에서 엿보이기 때문이다. 들어가면서 본고에서는 지난 호에 이어 인공지능(AI) 스피커 시장에 대해 국내 중심으로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필자는 2017년 들어 앞의 기고문들에서 수차례 AI에 대해 언급하였고, 지난 호에서는 이용자가 AI 스피커를 선택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면서 미디어산업과 깊게 연관됨을 언급하였다. 본고는 국내 기업 동향에 집중하고자 한다.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의 분석에 의하면, 국내 AI는 글로벌 Top AI 국가인 미국 대비 2.4년의 기술 격차를 가지고 있다. 특허를 기준으로 할 경우 미국이 약 3,000건의 AI 관련해서 출원되는 것에 비해 국내의 경우 약 300건에 그치고 있다고 한다. 한편, 국내 인터넷 및 통신기
[첨단 헬로티] 분석 솔루션 기업 한국테라데이타는 오늘, 인공지능(AI) 기술에 대한 인식 조사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의하면 오늘날, 기업의 무려 80 %가 AI에 투자하고 있으며, 비즈니스 리더 3명 중 1명은 경쟁사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향후 36개월간 더 많은 투자를 해야 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기업들은 AI 도입 시에 상당한 장벽을 예상하고 있으며, AI 도입을 효율화 및 조율할 수 있는 최고 AI 책임자(CAIO)에게 새로운 C레벨 지위를 부여하여 이 과제에 대한 전략을 모색할 것으로 밝히고 있다. 이 같은 결과는 IT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밴슨 본(Vanson Bourne)이 전세계 260 개의 대규모 조직을 대상으로 실시한 서베이를 토대로 하고 있다. 테라데이타의 자회사인 씽크빅(ThinkBig)의 아티프 쿠레이시(Atif Kureishy) 부사장은 "이번 보고서에서 나타난 중요한 트렌드가 있다. 오늘날 기업들은 AI를 전략적인 우선순위로 삼아 각 산업 분야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다. 그러나 AI 기술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고 ROI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기업들이 핵심 전략을 수정하여 AI가 데이터 센
[첨단 헬로티] Videojet은 광범위한 레이저 기술 포트폴리오 덕분에 주어진 제약 재질에 적합한 레이저 기술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품질 추적성 코드 인쇄가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주요 제약 OEM과의 오랜 관계는 마킹기 통합 세부 사항을 바르게 처리하고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도록 보장한다. 문제점 포장 기술자들은 둥근 HDPE 병에 우수한 품질 추적성 코드를 직접 인쇄하는 방법을 점점 더 모색하고 있다. CO2 레이저를 이용하는 기존 방법은 인쇄 선명도가 낮아 비전 시스템으로는 자동 검증이 어렵기 때문에 불충분하다. HDPE를 위한 영구적인 마킹 솔루션 찾기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병은 여전히 제약 제품에서, 특히 재질의 유연성이 투여에 도움을 주는 액체 용액을 위한 주요 포장 솔루션이다. 또한 거의 모든 HDPE 병에 라벨이 부착되고 있지만 더 쉽게 추적할 수 있도록 병 자체에 인쇄하는 방법을 찾는 포장 기술자도 많다. 라벨이 아닌 병 바닥에 추적성 코드를 인쇄하면 병의 방향을 맞추거나 더 비싼 360도 비전 솔루션을 배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다운스트림 기계 비전 판독이 간소화된다. 하지만 HDPE에 코
[첨단 헬로티] 재고 파악의 대폭적인 간소화 가능해져 거대한 창고관리를 위한 RFID 스캔 드론이 개발됐다. 위치 추정의 오차는 약 19cm 정도로 정확성도 보장되어 있어, 이를 통해 기존 재고관리시스템과 연계를 통해 재고 파악의 대폭적인 간소화가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미국 MIT는 최근 창고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RFID 태그를 읽고 그 정보를 시스템에 보내거나 태그의 소재를 특정하는 드론을 공개했다. 거대한 창고를 가지고 있는 기업은 연간 수십억 달러의 수입 감소에 직면하고 있으며,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었다. 특히, 세계 최대의 Walmart을 비롯한 소매는 창고가 너무 거대하게 수작업으로 재고를 모두 검사하려고하면 한 점포 당에서 3개월 이상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Web과 실제 매장 모두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크로스 채널 판매도 일반화되어 있기 때문에, 재고를 즉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경우 바로 판매 기회를 상실해 매출 감소 혹은 기업 이미지 훼손으로 이어진다. Walmart의 경우, 이러한 문제로 인한 수익 감소는 2013년도에 30억 달러에 이른다고 한다. MIT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형 무인 항공기를 개발했다.
[첨단 헬로티] Release 4 표준화, 시장 적용 확대 및 최신 기술 트렌드가 반영될 것으로 예측돼 IoT/M2M 시장에 파편화된 플랫폼을 표준 플랫폼으로 대체하여 제품과 서비스 간의 호환성을 제고하기 위해 2012년 9월 표준 단체를 설립하고 표준 규격 개발을 시작했다. oneM2M Release 3 표준은 기존 연동, 시맨틱, 보안 등의 기능을 향상하고, oneM2M시장 확대를 위한 개발자 가이드, Product Profile을 추가 개발 중에 있다. oneM2M 표준화 현황 IoT/M2M 시장에 파편화된 플랫폼을 표준 플랫폼으로 대체하여 제품과 서비스 간의 호환성을 제고하기 위해 2012년 9월 표준 단체를 설립하고 표준 규격 개발을 시작했다. 2015년 1월 Minimum Deployeable Solution을 모토로 Release 1 규격을 공개하여 다양한 IoT 서비스에서 필요한 공통 기능을 oneM2M 플랫폼의 RESTful API로 지원했다. 2016년 7월 다양한 IoT 기술과의 연동성을 강조하여 Release 2 규격을 공개하여 OCF, AllJoyn, LwM2M, 3GPP Rel-13 등의 기술과의 연동성을 제공하고 가전 기기에 대한
[첨단 헬로티] Vision Systems Design이 선정한 Bronze, Silver, Gold 및 Platinum…국내 기업으로 수아랩(플래티넘)과 뷰웍스(골드) 수상 머신비전 전문매체인 ‘Vision Systems Design’은 매년 머신비전 및 이미지 처리 업계에서 발견되는 혁신적인 기술, 제품 및 시스템을 대상으로 Innovators Awards 프로그램을 개최해하고 있다. 올해로 세 번째를 맞이하는 이번 어워드는 지난 4월 3일 Automate 전시회에서 진행됐으며, 제품, 기술, 응용 또는 연구 개발 분야에서 우수성을 입증한 기업 또는 조직에 대해 Bronze, Silver, Gold 및 Platinum 순으로 상을 수여했다. 심사위원단은 머신비전 공급업체가 제출한 내용을 바탕으로 혁신과 사용자에 대한 영향, 새로운 기술, 향상된 생산성 등을 평가했다. 2017 Innovators Awards: Bronze 1. Acroname(www.acroname.com) USBHub3 +. USBHub3 +는 제조 및 개발 환경에 최적화 된 8포트 프로그래머블 USB 3.0 허브이며, 시장에서 최초로 프로그램 가능한
[첨단 헬로티] 인공지능 강화 시스템, 지능형 앱ㆍ분석, 지능형 사물, 디지털 트윈, 에지 컴퓨팅, 대화형 플랫폼, 몰입 경험, 블록체인, 이벤트 기반 모델, 리스크 및 신뢰 평가(CARTA). 이 키워드들은 최근 가트너가 발표한 '10대 전략 기술 트렌드'로, 미래 비즈니스에 빠져서는 안될 기술들이다. 신흥 국가에서는 폭넓은 영향력과 활용 사례를 보이거나, 급성장세로 인해 향후 5년 내 정점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가트너 부사장 겸 펠로우인 데이비드 설리(David Cearley)는 “2018년 10대 전략 기술 트렌드는 지능형 디지털 메시(Intelligent Digital Mesh)와 관련돼 있다. 지능형 디지털 메시는 미래 디지털 비즈니스와 생태계를 위한 기초”라며 “IT 리더는 자사 혁신 전략이나 이들 기술로 인해 기반을 잃을 위험성 등을 수립할 때 기술 동향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선 첫 세 가지 전략 기술 트렌드는 향후 5년간 인공지능과 머신 러닝의 시장 침투법, 기술 업체들이 자웅을 겨루게 될 장을 제시한다. 다음 네 가지 트렌드는 디지털과 물리적 세계를 조화시켜, 더욱 향상된 몰입
OLED를 잇는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관심 집중 최근 LCD의 범용화, 가격변동성 확대, 공급과잉 우려 등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OLED가 급부상하고 있다. 또한 기존 디스플레이 대비 전력효율, 플렉시블 구현, 고해상도, 장수명 등의 측면에서 강점을 가진 Micro LED 디스플레이가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지에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ICT R&D기획 및 분석지원사업(ICT 동향분석 및 정책지원)의 연구결과인 ‘차세대 디스플레이, Micro LED 디스플레이 개발 동향’ 자료를 토대로 Micro LED 디스플레이에 대한 기술 개념과 시장 현황 등을 살펴보았다. 현재 디스플레이 시장은 LCD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OLED가 이를 대체해 가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을 비롯한 중소형 제품 시장에서는 이러한 대체 속도가 빠르게 전개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인 IHS에 따르면, 휴대전화 중 AMOLED 탑재 비중은 2010년 2.7%, 2015년 13.1%, 2016년 20.1%로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 IHS Markit은 2019년이 되면 중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AMOLED 시장(346억 달러)이
[첨단 헬로티] CA 테크놀로지스 조사 결과 오늘날 디지털 이코노미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이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을 위한 핵심 요소로 나타났다. CA는 최근 한국을 포함한 아태 지역 7개국 IT 및 비즈니스 리더 575명을 대상으로 기업의 소프트웨어 전략과 ‘모던 소프트웨어 팩토리’가 비즈니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조사에 응한 한국 기업은 소프트웨어 개발이 ▲기존 시장에서의 성장 및 확장 촉진(94%) ▲더욱 향상된 고객 경험 제공(92%) ▲기업 및 브랜드의 리포지셔닝(90%) ▲새로운 시장에 진입하기 위한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 개발(89%)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87%) 등 핵심 비즈니스 성과를 달성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답했다. 또 이들 기업은 비즈니스를 개선하는 데 있어 ▲보안을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의 일부로 통합(92%) ▲일관적이고 예측 가능한 앱 개발 방식 창출(90%) ▲더 나은 고객 인사이트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성능 및 대응성 개선(87%) ▲소프트웨어의 지속적인 배포(87%) 등 소프트웨어 관련 우선순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런 비즈니스 요구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IT 및 비즈니스 역량
8월 ICT 수출 174.9억 달러로 역대 최고 수출액 경신 산업통상자원부가 올해 8월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액이 174.9억 달러, 수입액이 86.0억 달러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ICT 수출 집계이래 역대 최고 수출액이다. 올해 2월 이후 7개월 연속 월간 최대 수출 실적을 경신 중이다. 가장 효자종목은 역시 반도체였다. 59.8%나 되는 성장률을 보인 반도체는 총 893억 달러를 기록했다. 메모리반도체의 공급가가 계속해서 증가함을 비롯해 파운드리 등 시스템 반도체가 전체적으로 호조를 보이면서 월간 최대 수출액을 달성한 것으로 보인다. 디스플레이 또한 수출액이 10개월 연속 증가 중이다. 디스플레이 8월 수출액은 28억 달러. 컴퓨터 및 주변기기도 SSD가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지속적으로 두 자릿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수출액이 가장 높은 나라는 중국이다. 중국으로의 수출액은 91억 달러고 20.6% 상승한 수치이다. 중국에 이어 베트남이 22.4억 달러, 미국이 17.7억 달러, 유럽연합(EU)이 8.6억 달러로 주요 국가로의 수출액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이다. 수입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을 중심으로 13.3% 증가했으며, ICT 수지는
JEC 그룹, 프랑스 기업 중 최초로 서울에서 산업 전시회 주최 제10회 JEC 아시아 국제복합소재 전시회가 11월 1일부터 3일까지 코엑시 전시장에서 개최된다. 자동차, 우주항공, 전자, 스포츠 및 레저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는 전세계 복합소재 기업을 한 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전시회와 분야별 전문 기술 컨퍼런스가 동시 개최되어 비즈니스와 전문 지식을 얻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또한 제12회 국제탄소페스티발도 동시에 개최되어 더욱 풍성한 행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JEC 아시아 전시회는 11월 1일부터 3일까지 코엑스 전시장에서 엔드유저 산업 전체를 위한 모든 복합재료 솔루션을 선보인다. JEC 그룹은 복합재료의 세계적인 선두주자로서 아시아에서 지속적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싱가포르에서 2008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복합재료 전시회인 제1회 JEC 아시아를 개최한 이래 2016년 싱가포르에 지사를 개설했다. 현재 JEC는 엔드유저 시장과의 연결 전략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제10회 JEC 아시아 전시회의 개최지를 서울로 옮겼다. 아시아 복합재료 시장의 급성장 복합재료는 경량, 강도, 절연, 내부식성, 디자인 및
CNC 밀링, 선반 등 120대의 장비와 기술서비스 지원 0.001mm 단위의 정밀도를 겨루는 대회에서 선수들이 본인의 기량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공작기계의 품질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를 선발하는 기능경기대회를 후원하기 위해 화천이 발 벗고 나섰다. 공작기계 전문 제조기업인 화천기업이 우수 기능인력을 육성하고 국가 기술발전에 기여하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제52회 전국 기능경기대회’에 120대의 장비와 서비스를 지원했다. 지난 9월 4일부터 11일까지 8일 동안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와 어음기능경기장 등 7개 경기장에서 진행된 제52회 전국 기능경기대회에는 50개 직종, 17개 시·도 대표선수 1900여명이 참가했으며, 직종별 입상자에게는 금상 1,200만원, 은상 800만원, 동상 400만원의 상금과 함께 국제기능올림픽대회 국가대표 선발전에 참가할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된다. 또한 해당분야 국가기술자격 산업기사 실기시험이 면제되며, 삼성전자, 현대중공업, 화천그룹 등 공식후원사의 취업이 보장되는 만큼 관련 기능인에게는 수능시험에 준하는 매우 중요한 대회라고 할 수 있다. 화천그룹은 지난 2010년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