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 보안 의식, 이제는 하드웨어로 옮겨져야 할 때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지난 10월 17일부터 19일까지 개최된 한국반도체대전(SEDEX)에 참가해 ST의 반도체 칩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IoT 솔루션을 선보였다. 전시된 제품들 중 가장 눈에 띈 것은 바로 STSAFE 시리즈. 최근 보안 솔루션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는 가운데, 높은 보안성을 자랑하는 ST의 STSAFE 제품 라인이 보안 문제의 해결사가 될 수 있지 않을까. ST 마케팅팀의 곽재현 부장을 만나 STSAFE에 대해 들어봤다. ▲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곽재현 부장 곽재현 부장은 먼저 STSAFE를 ‘하드웨어 기반 시큐리티 솔루션(Hardware based Security solution)’이라고 소개했다. ‘하드웨어’라는 표현을 쓴 이유는 보통의 보안 솔루션들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고 있는데 ST는 반도체 칩 기반으로 솔루션을 구현하기 때문이다. ST는 현재 IoT 분야 중 스마트 띵(Smart Things), 스마트 홈&시티(Smart Home&City), 스마트 인더스트리(Smart Industry)에 사업을 진
[첨단 헬로티] 공장에 ‘스마트’ 단어를 썼다는 것은 사람처럼 유기적인 구조로 보기 때문이다. 스마트 팩토리는 머리에서부터 발, 손끝까지 신경망으로 연결되고 신경망상으로 전달물질(데이터)이 흘러 모든 판단과 행동을 하는 사람처럼 유기적으로 운영된다. 스마트 팩토리의 성공 방안에 대해 포스코ICT 홍승민 그룹장이 ‘중소기업 CEO 대상 스마트공장 세미나’에서 발표한 강연 내용을 정리했다. ▲ 홍승민 포스코ICT 그룹장 스마트 팩토리는 유기적 구조 스마트 팩토리는 IoT, 3D 프린팅, 인공지능 VR, 빅데이터 등 요소기술을 기반으로 공장 안의 모든 요소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지능적으로 운영되는 공장을 말한다. 기존의 자동화 공장은 HMI를 통한 통합 제어로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 시간을 단축했다면, 스마트 팩토리는 CPS 기반의 가상 공장과 무인화된 자동생산 체계에서 문제점 및 원인을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스마트’를 해석하면 ‘똑똑하다’는 의미이다. 똑똑하다는 말은 주로 사람에게나 어울린다. 그것을 공장에 썼다는 것은 사람처럼 유기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마트
[첨단 헬로티] 4차 산업혁명은 초연결과 초지능의 시대이다. 인터넷은 모든 사물을 초연결하는 디지털 생태계로 발전하고 있으며, 모든 사물은 인공지능을 품고 점점 똑똑해지는 초지능 유기체로 변신 중이다. 그 핵심 기술의 하나인 IoT는 AI, 빅데이터 영역에서 발전하고 있는데, 특히 AI는 사람들이 상상하는 그 이상의 지능과 의식을 모방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IoT 기술을 중심으로 스마트공장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금오공과대학교 김동성 교수가 ‘중소기업 CEO 대상 스마트공장 세미나’에서 발표한 강연 내용을 정리했다. ▲ 김동성 금오공과대학교 교수 스마트 플랫폼은 PC 다음으로 중심 기계 미래 학자인 앨빈 토플러의 ‘제3의 물결’을 한 번쯤 들어봤을 것이다. 그 책에 이런 글귀가 있다. “변화의 물결이 문제가 아니다. 변화의 가속도에 적응하는 게 미래 사회 문제가 될 것이다.” 그 당시엔 이해를 못 했는데 요즘엔 정말 실감하고 있다. IoT를 하는 사람 입장에서 볼 때, IoT는 데이터를 생산해 내는 첫 번째 단추가 된다. 다시 말해 스마트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 주변의 수많은
[첨단 헬로티] 4차 산업혁명이나 스마트 팩토리에서 가장 중요한 키워드는 글로벌 밸류체인을 통합하는 것이다. 그리고 고객이 원하는 요구사항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이해할 필요가 생기면서 T자형의 수직과 수평적인 통합이 중요해졌다.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통한 제조공정 혁신 방안에 대해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조용주 수석연구원이 ‘중소기업 CEO 대상 스마트공장 세미나’에서 발표한 강연 내용을 정리했다. ▲ 조용주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은 CPS, IoT, 스마트 팩토리, 인터넷 서비스 등 4가지로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M2M (Machine-to-Machine)은 IoT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고, 스마트 프로덕트는 CPS의 하위 구성 요소이기 때문에 4차 산업혁명의 독립적인 기술로 고려하지 않았다. 빅데이터와 클라우드 기술의 경우도 4차 산업혁명 구현을 통해 생성되는 데이터를 활용하는 데이터 서비스 개념으로 간주되어 고려하지 않았다. 어쨌든 독일이 가장 먼저 스마트 팩토리와 4차 산업혁명을 주창하며 전략이나 로드맵을 세우고 있지만, 실제 제조현장을 혁신한 사례들은 많지 않으며 2025년이나 2030년까지 큰 그림
차별화된 기술력 다시 한 번 입증 산업용 냉동공조설비 컨트롤러 전문기업 두텍은 지난 10월 24일부터 27일까지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개최된 2017 한국기계전에 참가해 다양한 종류의 센서 기기와 컨트롤러 등을 선보이며 다시 한 번 차별화된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산업용 냉동공조설비 컨트롤러 전문기업 (주)두텍(www.dotech21.com)은 지난 10월 24일부터 27일까지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개최된 2017 한국기계전(KOMAF 2017)에 참가해 다양한 종류의 센서기기와 컨트롤러 등을 선보였다. 두텍이 이번에 출품할 제품은 ▲에어 컴프레서 에너지절감 제어장치 ▲디지털 압력 스위치 ▲공기열 히트펌프 컨트롤러 ▲고온 고습용 온습도 트랜스미터 ▲온도, 습도, 노점 트랜스미터 ▲공기압축기 컨트롤러 ▲터치모니터 연동시스템 등이다. 전시품은 관련 업체들로부터 품질을 인정받아온 컨트롤러 제품들과 온습도 트랜스미터 제품들로 두텍의 독자적인 기술력과 품질을 보여주는 모델들이다. 그중에서도 에어 컴프레서 에너지절감 제어장치 VSD+는 절약형 산업장비 시장에 본격 진출하여 독특한 아이템으로 시세를 확장해 나가고 있다. 주파수로 모터의 회전수를 미세 조절하는 인
국산화로 기초소재산업 선도하다 1984년에 설립, 올해로 창립 33주년을 맞는 특수 동합금 제품과 발전설비 부품 소재 개발 및 생산·정비 전문 기업 해강알로이. 해강알로이는 대기업, 정부 연구기관과 함께 특수 동합금 및 소재 국산화에 성공해 미국, 일본, 독일 등 선진국을 비롯해 30여개 국가에 수출하고 있다. 또한 한국수력원자력 및 발전 5개사에 정비적격업체 등록을 하고 발전설비 정비수리분야 사업도 수행한다. Q. 해강알로이는 어떤 회사인지요. 해강알로이는 1984년 설립됐으며, 당시만 해도 국내 부품·소재 산업은 대부분 외산에 의지하던 때였습니다. 설립 초기의 주요 생산품은 용접기 부품에 사용되는 용접용 전극재였습니다. 당시 국내 상황은 정부의 적극적인 경제개발계획에 의해 발전, 플랜트, 조선, 반도체, 중화학, 중전기, 자동차, 항공, 고속철도 등 산업 전반의 급격한 발전이 시작되던 시기였습니다. 그러나 이를 위해 필요한 부품·소재 대부분은 값비싼 외산에 의존하고 있었으며 국산화 및 품질 향상이 절실한 상황이었습니다. 이에 해강은 특수비철금속소재 국산화로 기초소재산업의 초석이 되자는 의지로 기술개발에 앞장 섰습니다.
산업용 계측기기 전문 업체 시설관리, 위험관리, 에너지관리 분야의 계측기기 전문 업체 테크온은 ENERGY PLUS 2017을 통해 신제품 3종을 선보였다. 내년 상반기 중에 테크온의 라인업 제품이 전부 출시될 예정이며, 이후 적극적인 공격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Q. 테크온은 어떤 회사이고 ENERGY PLUS 2017에 참가한 주요 목적은 무엇인지요. 테크온은 2014년에 설립한 회사로 시설관리, 위험관리, 에너지관리 분야의 계측기기를 전문으로 합니다. ENERGY PLUS 2017 전시회에 참가한 주요 목적은 아시다시피 테크온의 제품은 전기 분야 관련 전문 장비입니다. 따라서 전기 장비를 많이 접하는 사람들이 참가하는 전시회장에서 잠재고객을 발굴하기 위해서입니다. 물론 작년에도 참가했으며, 특히 이번 전시회에서는 변압기 진단기, 전력분석기 등 3종의 신제품을 출시하고 발표회를 갖습니다. 이번에 발표하는 신제품은 2016년에 중소기업청의 산업성장과제를 통해 개발해서 올해 11월 말에 과제가 끝나는데, 출시 시기에 맞춰 신제품 발표하게 돼 홍보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Q. 주력 제품과 특장점은 무엇입니까. 기존의 시설관리나 위험관리, 에너지관리 분야의 계
전기차 충전기 시장의 강자 중앙제어주식회사는 전력자동제어와 빌딩자동제어, 홈 네트워크 사업을 전문으로 하다가 최근 전기차 충전기 시장에서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향후 버스 충전기 사업에 주력하면서 리스 사업과 IoT 접목 분야로도 사업을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Q. 중앙제어주식회사에 대해 소개해주세요. 중앙제어주식회사는 1987년 설립됐으며 전력자동제어와 빌딩자동제어에서 출발, 홈 네트워크로 이행하여 거실 일괄 소등 스위치, 외부에서 웹 제어로 전등을 소등하는 스위치를 만들었습니다. 또 최근에는 대기전력 차단 스위치도 납품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크게 빌딩자동제어, 홈네트워크 사업부, 전기자동차 충전기 사업부의 3개 사업부로 구성되어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올해는 전기자동차 부분이 중심 역할을 하며 3개 사업부 중 60%를 차지할 정도로 약진하고 있습니다. 이 기세를 이어 내년에도 전기자동차 충전기를 주력 사업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Q. 전시회는 어떤 목적으로 참가하셨는지요. ENERGY PLUS에는 이전부터 참가를 하고 있습니다만, 올해는 특히 타사와 차별화 전략으로 버스를 타깃으로 한 전기버스 충전기를 들고 나왔습니다. 새로운 정부 과제로
A[첨단 헬로티] 지금부터 가정에서 심전계(ECG)를 만드는 방법을 보여주려 한다. 이 기계의 용도는 심장이 만들어내는 자연 상태의 전위를 증폭시키고 측정하여 기록하는 것이다. ECG는 병리학적 상태를 직관적으로 알려주고 심장 조절에 관한 많은 정보를 밝혀준다. 이 자가 심전계 (DIY ECG) 프로젝트는 노이즈 저감용 구성부품을 제거하여 회로를 단순화하며, LabVIEW로 데이터를 처리하여 이를 가능케 한다. 1단계, 부품 ▲ 아날로그 디스커버리2로 샘플링 속도, 수집 시간, 진폭을 나타내고 있다. 하드웨어 1) Analog Discovery 2 USB 오실로스코프 (Analog Discovery 2 USB Oscilloscope) 2) 2개의 OP482 Op Amp 3) 10개의 100 kΩ 저항 4) 7개의 10 kΩ 저항 5) 1 uF 전해 캐패시터(electrolytic capacitor) 6) 1 uF 자기 캐패시터(ceramic capacitor) (104M) 5) 6개의 다이오드 (50V 일반 용도 정류기 1N4001) 6) 브레드보드(Breadboard) (필자의 경우 Explorer 보드를 사용했다.) 7) DIN EC
[첨단 헬로티]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기계산업진흥회가 주관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산업전시회 ‘제21회 한국기계전’이 나흘간의 대장정을 마무리했다. 10월 24일부터 27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이번 전시회에는 5만7,000여명이 스마트 제조업의 기반이 되는 첨단기술들을 참관했다. 특히 이번 전시회에는 국내바이어 4만5,000명과 초청바이어 250명을 포함한 1,250여명의 해외바이어가 방문한 가운데 상담액 23억5,000만 달러, 계약액 2억2,000만 달러의 성과를 올렸다. ‘4차 산업혁명의 플랫폼’이라는 슬로건으로 개최된 이번 전시회는 금속가공 및 공작기계, FA·모션컨트롤, IT융합 디지털·스마트테크 등 분야별 5개 전문전시관과 중소기업단체표준관 등 8개관으로 구성되어 20개국에서 600개사가 총 2,400개 부스 규모로 열렸다. 이번 전시회는 두산중공업, 화천기계, 우진플라임, LS엠트론 등의 기업들이 대거 참가해 스마트공장자동화 설비를 비롯해 제조기술의 혁명이라 불리는 IoT(사물인터넷), AR(증강현실)/VR(가상현실), 무인항공기 드론, 산업용 및 서비스용 로봇 등 선
1979년에 설립된 유림싸이겐은 WESPA, FUNASAW, JULIA, FEMI, GEORGE, LENOX, SIMONDS, BEKAMAK, MEP 등 해외 파트너들과의 소통 및 협력을 통해 제품 성능을 꾸준히 개선하고 보완함으로써 효율성 증대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유림싸이겐은 한국기계전에 참가해 베카맥 톱기계, 멥 원형톱기계 등을 직접 전시하고 참관객들에게 소개했다. 유림싸이겐에서 공급하고 있는 멥(MEP) 원형 톱기계 코브라 532 NC 5.0은 자동/반자동 하드 메탈 팁쏘 원형톱기계(605kg)로, 알루미늄 또는 경금속 절단에 적합하며 좌우 45° 각도 절단이 가능하고, 헤드를 0°∼45° 기울여 비스듬히 절단할 수도 있다. 7인치 디스플레이와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시간 커팅 파라미터를 확인할 수 있으며, 어느 위치에서든 조작이 편리한 중앙 집중식 제어장치를 갖고 있다. 전시회에서 선보인 베카맥(BEKA-MAK) 톱기계 BMSY 440DGH 모델은 유압에 의한 톱날 텐션을 유지하며 인버터에 의한 톱날 선속도를 무단 조절할 수 있다. 이 톱기계는 자동이송 블레이드 가이드 암을 갖고 있다. 한국기계산업진흥회 주관으로
국토교통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시민 삶의 질을 높이는 미래 신성장동력인 스마트시티와 관련한 대규모 국제행사인 “제1회 월드 스마트시티 위크(World Smart City Week: WSCW)”를 지난 9월 4일부터 8일까지 킨텍스에서 개최했다. 국내외 도시 전문가, 유관기업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참여할 수 있는 다채로운 행사가 진행됐다. 전세계 스마트시티 솔루션 공유 ‘스마트시티 이노베이션 서밋 아시아’ 개최 국제행사로는 스마트시티 이노베이션 서밋 아시아(Smart City Innovation Summit Asia, 이하 스마트시티 서밋)과 글로벌 인프라 협력 컨퍼런스(Global Infra Cooperation Conference), 도시재생 컨퍼런스가 진행됐다. 특히 스마트시티 서밋에서는 국제기구(월드뱅크, UN Habit), 글로벌 기업(IBM, MS 등), 해외 석학, 국내외 도시 관계자 등이 행사에 참여했다. 서밋에 참가한 이들은 글로벌 스마트시티 전략을 비롯해 스마트 플랫폼, 인프라&모빌리티 등을 주제로 스마트시티 국제 동향과 우수 사례 등을 공유했다. 국내 유망 스마트시티 기업 다수 소개해 스마
노루기반(대표 조영천)은 노루페인트가 계열사로 있는 노루그룹의 자회사로 4년 전부터 농생명 사업을 진행 중인 기업이다. 농업, 스마트팜 환경과 관련된 신재생 에너지를 비즈니스 중이며 더 나아가 도심의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솔루션도 제공하고 있다. 노루기반의 농생명융합연구소 박정환 소장을 만났다. 그는 다년간 농생명 ICT와 스마트시티를 연구해온 전문가이다.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그는 스마트시티의 방향에 대해 설명했다. ▲ 노루기반 박정환 소장 스마트시티가 차세대 먹거리임이 분명하지만 핵심도시와 신도심을 중심으로 개발이 이뤄지거나 첨단 인프라 구축 위주의 사업성과 등 여러 한계점이 존재한다. 주류 산업 진입과 시장 안착을 위해서는 선결해야 할 과제들이 많은데 이를 해결할 방법은 무엇일까. 박 소장은 이에 대해 세 가지 방법을 제안했다. 우선 스마트시티 구축 프로젝트는 장기간 진행되어야 하는 특징을 갖기 때문에 안정적인 예산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스마트시티는 다년간의 구축과정과 운영과 데이터 수집 분석을 병행하면서 도시를 진화시키는 일련의 작업이 연속되는 장기 프로젝트이다. 우수사례 연구결과 오스트리아의 빈(Wien)의 ‘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IDC는 현재 전 세계 도시들의 최우선 과제가 ‘스마트시티(Smart City)’라고 확신한다. 스마트시티로의 여정에 실패한 도시는 자본 투자, 관광객, 지역 사람, 비즈니스 측면에서 경쟁력을 잃을 수밖에 없다. 뿐만 아니라 IoT(사물인터넷) 및 모든 산업 영역의 근간을 뒤흔드는 파괴적 기술(Disruptive Technologies)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잠재적인 기회마저 사라지게 된다는 것이다. Hitachi Insight Group이 발표한 세 가지 성공 사례를 통해 스마트시티가 도시와 그 구성원들에게 어떤 도움을 주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알아보자. Case 01 모레노밸리 경찰청 비디오 카메라와 무선 네트워크 기술의 재발견 범죄율 높은 지역의 철저 감시와 신속한 대응체제 마련 미국 캘리포니아의 모레노밸리 경찰청(Moreno Valley Police Department, 이하 MVPD)은 지난 2011년, 범죄 발생률이 특히 높은 83개 지역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를 목적으로 통합 영상 관리 솔루션 도입을 위한 제안요청서(RFP)를 공고했다. MVPD의 요구사항은 딱 두 가지였다. 83개 도시에서 발생하는 범죄
경제학자 리처드 볼드윈(Richard Baldwin)은 말했다. 20세기에 공장이 하던 역할을 21기에는 도시가 수행할 것이라고. 그의 말처럼 4차 산업혁명은 데이터 및 혁신적 아이디어가 집적되는 도시공간에서 발생할 것이며, 실제로 수 백 개가 넘는 스마트시티 플랫폼이 세계 곳곳에서 현재 진행 중이다. 공공 재원 한계 뛰어넘어 도시 문제 해결하는 스마트시티 플랫폼 스마트·녹색도시연구센터의 이재용 센터장은 지난 7월 진행된 국토연구원 정책세미나에서 스마트시티가 도시문제의 해결 수단이 된다고 주장했다. 30여년 후 전 세계 인구는 약 95억 명으로 증가하고 그 중 약 67%가 도시에 거주(2014년 UN 발표)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런데 현재 인프라 구축 기반으로 돌아가는 도시문제 해결 방식은 재원적 한계로 인해 어려움이 심화된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그로 인해 신흥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공공 재원의 한계를 발견해 도시 내 인프라 구축 확보가 불가능해져 투자대비 효율성이 높은 스마트시티 모델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기존의 도시문제 해결 방법과 스마트시티의 해결 방법을 비교해 보자. 기존 도시에서는 교통이 혼잡했을 시 도로를 확장하거나 신규 도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