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저발코리아(주)는 레이저 기계를 제조하고 공급하는 업체이다. 주요 취급 품목은 레이저 마킹기, 레이저 용접기, 레이저 솔더링기, 레이저 커팅기 등으로 자동차, 전자 등 여러 산업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레이저발 관계자는 X, Y, Z축의 위치 선정을 통해 반자동 용접이 가능한 300W 금형수정 용접기를 강조했다. 또한 전국적인 A/S망으로 24시간 대응을 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기존 고객들과 주변에 지속적으로 찾아가는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전했다. 정리 : 추경미 기자 (ckm@hellot.net) 동영상 : 천병록 PD (hbs@hellot.net)
(주)디에스이는 플라스틱박스 전문 생산업체로, 수배전반 및 통신 등 각종 플랜트의 설비용 외함을 주로 공급하고 있다. 특히 대표적인 제품 '스마트 박스'는 국내 특허를 기반으로 한 이중잠금장치를 장착해 한 번에 열리지 않도록 잠금 기능을 강화한 게 특징이다. 또한, 디에스이는 "방수 기능에 있어 엄격한 품질검사로 IP67,68등급을 획득하였으며, 국제표준화기구(ISO)와 미국의 UL, 독일의 TUV 등으로부터 품질인증을 받은 제품들을 제공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리 : 추경미 기자 (ckm@hellot.net) 동영상 : 천병록 PD (hbs@hellot.net)
글로벌 AIDC 기업 지브라테크놀로지스는 100개 이상의 국가에 제품과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최근 모토로라의 엔터프라이즈 사업부 인수를 통해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더욱 확대했다. 지브라의 토털 솔루션은 IoT와 클라우드, 모빌리티 환경에서 요구하는 혁신적이고 신뢰성 있는 기술을 기반으로 고객의 비즈니스 성장 동력에 중추적 기반이 되고 있다. Q. 지브라 테크놀로지스에 대해 소개해달라. 지브라는 모바일 컴퓨터부터 스캐너, 프린터 등 관련 소프트웨어와 서비스까지 토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지브라의 솔루션들은 비즈니스의 물리적인 요소들을 디지털화하여, 기업이 운영을 단순화하는 데 데이터 스트리밍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하고, 모바일 업무 능력을 향상시킵니다. 엔드 투 엔드 모빌리티 솔루션을 제공하는 지브라는 고객 환경에서 엔터프라이즈급 솔루션들이 제공하는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기업의 운용과 관리를 혁신적으로 촉진시켜 줍니다. 지브라는 앞으로도 모빌리티 DNA 스위트와 함께 광범위한 모바일 컴퓨터 제품들을 제공하여, 비즈니스들의 신속한 모바일 솔루션 도입, 생산성 향상, 신속한 운영, 그리고 진정한 기업
(주)디쌤은 머신비전을 전문으로 하는 검사 시스템 사업을 큰 축으로 산업설비의 무인자동화 및 생산성 향상에 지원하고 있으며 반도체, 휴대폰, 자동차 및 식음료 등의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합한 검사장비 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환경 분야에서는 ECO 필터라는 독창적인 소재를 개발해 기존의 수질정화 방식을 탈피, 새로운 개념의 정화시스템을 개발했다. 이유형 대표는 “기술개발 및 신기술 육성에 대한 우수한 평가로 여러 기관의 인증을 받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리 : 추경미 기자 (ckm@hellot.net) 동영상 : 천병록 PD (hbs@hellot.net)
스마트 그리드는 소비자 권한 부여, 신재생 에너지 및 보다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 온실가스 배출 감소, 일자리 창출, 그리고 기술 발전을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데이터 보호는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스마트 미터링 기술의 득과 실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정보를 제공하는 한편 보안에 대한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 글에서는 스마트 미터링과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안전한 확산을 위한 방안을 알아본다. 전력 회사 전력망은 발전소를 통해 다수의 소비자에게 많은 양의 에너지를 공급하는데, 중앙 집중형 관리와 일방통행 전력 흐름 방식, 그리고 수동형 네트워크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력망(power grid)에 대한 오래된 인식 체계는 이제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있다. 오늘날의 에너지 네트워크는 보다 많은 선로와 회로 차단기, 변압기는 물론 전자장치와 정보 및 통신 프로토콜들로 구성된다. 부하 사용에 관한 정보는 스마트 미터기를 통해 통신 채널로 보내지며, 이곳에서 전력 회사의 발전 및 제어 센터로 전송된다. 전력망에 이러한 변화를 가져오는 주된 요인은 환경문제이다. 전 세계는 온실가스의 배출을 향후 5년 동안에 1990년도에 비해 20% 줄인다는 목
청솔화학환경은 수입 제품이 대부분인 국내 솔더 페이스트 시장에서 탄탄한 기술력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중국을 비롯한 해외 시장에서도 원천 기술과 가격 경쟁력을 통해 흔들림 없는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 11개의 해외 현지 공장을 설립하며 거침없는 행보를 보이고 있는 청솔화학환경의 신현필 대표에게 해외 진출 성공 전략과 SMT 시장의 향후 전망에 대해 들어봤다. Q. 청솔화학환경은. 1990년에 창업한 청솔화학환경은 솔더링 재료인 솔더 페이스트(Solder Paste), 에폭시 레진(Epoxy Resin), 각종 특수 플럭스(Flux)와 전처리 공정에 사용되는 케미컬, 후공정에 필요한 여러 가지 세정제 등을 제조, 판매하는 회사입니다. 25년 동안 솔더 페이스트 시장에만 집중해 자본금 300억원의 회사로 성장했으며, 지금은 연구 시설을 갖춘 본사와 함께 해외 11개 공장을 운영 중입니다. Q. 최근 국내외 솔더 페이스트 시장은 어떤가요. 솔더 페이스트는 접합부에 사용되므로, SMT 공정에서 발생하는 불량 원인 중 상당 부분을 차지합니다. 대량 생산되는 가전에서 불량이 발생하면, 대부분 페이스트가 원인이라고 결론짓기 때문에 품질 관리 면에서 상당한 리스크를 안고 있
ICT 기술력을 활용한 다양한 안전 대책들이 개발·적용됨에 따라 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디지털 포렌식 기법을 이용한 과학 수사, CCTV 관제 시스템의 지능형 영상 분석 기술을 이용한 범죄 예방, 빅 데이터 분석 기법을 이용한 재난 대응 등 ICT를 활용한 안전 대책 관련 전후방 글로벌 기술 시장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다양한 자연재해 및 재난, 사용자의 부주의나 안전의식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갖가지 인위적 재해로 인해 인적·사회적·경제적 피해가 계속되고 있다. 시민의 생활 및 주거 안전을 위해 ICT 기술력을 활용한 다양한 안전 대책들이 개발·적용되고 있다. 디지털 포렌식 기법을 이용한 과학 수사, CCTV 관제 시스템의 지능형 영상 분석 기술을 이용한 범죄 예방, 빅 데이터 분석 기법을 이용한 재난 대응 등 ICT를 활용한 안전 대책 관련 전후방 글로벌 기술 시장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일부 벤처 기업들이 보유한 ICT 기술력을 이용하여 공공기관 등의 업무에 적용되고 있는 수준이다. 특히 법 과학(Forensic Science) 기술의 핵심인
대곤코퍼레이션은 모션제어 및 머신비전 전문업체로, 공정자동화에 적합한 솔루션을 모듈화하여 엔지니어링 서비스와 함께 제공하고 있다. 주요 취급품목은 유공압유닛 등과 같은 모션컨트롤러와, 카메라·렌즈·ID리더기 등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머신비전시스템 등이다. 올해 초 '전동기 고정자 철심 자동 적층 장치'로 특허를 취득하는 등 기술개발연구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정리 : 추경미 기자(ckm@hellot.net) 동영상 : 천병록 PD (hbs@hellot.net)
한국하니웰 S&PS 사업부는 모빌리티 제품을 통한 생산성 혁신과 수익성 증대라는 시장 트렌드에 발맞춰 다양한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지원하는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최근 Sensing&Controls 사업부와의 통합을 통해 다양한 센서 기술을 접목한 사물인터넷 솔루션 제공에 역점을 두고 있다. Q. 최근 사업부명을 변경했다. 그 배경은. Honeywell Scanning&Mobility(HSM) 사업부는 보이스, 프린팅, 소프트웨어, 모빌리티, RFID, Global Tracking, 스캐닝 그리고 서비스 부분에서의 넓고 다양한 Workflow Performance Solution을 바탕으로,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 약 4,500명의 직원이 일하고 있는 HSM 팀은 약 3,000개의 회사를 파트너로 두고 있으며 최근 Sensing & Controls 사업부와 통합, Honeywell Sensing & Productivity Solutions(S&PS)로 변경됐습니다. 이는 향후 사물인터넷 (IoT) 관련하여 다양한 센서 기술을 접목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서입니다. 현재 110여개 국 약
Bluetooth 4.1, 4.2 기술은 ‘빠른 전송 속도’, ‘사물인터넷을 위한 연결성 강화’, ‘개인정보보호’의 3가지 측면에서 업데이트를 추진하며, 사물인터넷 세상의 중요한 통신 방식으로서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 이번 호에서는 블루투스 4.1 및 4.2의 기술 및 최신 동향에 대해 살펴보고 응용 방법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애플의 아이폰 4,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4.3 버전부터는 BLE(Bluetooth Low Energy)에 대한 지원을 하고 있어 쉽게 안드로이드와 아이폰에 호환되는 앱세서리 장치를 개발할 수 있게 됐다. BLE의 지원은 아이폰에서는 애플의 MFi(Made for iPhone) 규격을 준수하지 않고도 블루투스 기반의 장치를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 것이 가장 큰 이슈였다. 또한 코인 배터리 하나로 6개월 이상 갈 수 있는 장치들을 만들 수 있다는 점도 중요한 이슈였다. BLE 기술을 스마트폰과 연결하는 기술에서 벗어나 아이비콘과 같은 사물인터넷을 위한 기술로 발전했으며 BLE에서 사용하는 Blutooth 4.0 기술을 발전시켜 Blutooth 4.1, Bl
금산엠엔이는 산업용 스위치, 계전기 등 전기 분야 부품들을 수입해 국내업체들에 공급하고 있는 무역회사다. 주요 취급 품목으로는 캠 스위치(Cam Switches), 압력 스위치(Pressure Switches), 온도 스위치(Temperature Switches), 철도차량용 특수 계전기(Railway Specialized Relay), 단자판(terminal block), 푸시 버튼(Push Button) 등이 있다. 금산엠엔이의 한 관계자는 “미국, 독일, 오스트레일리아 등 전 세계 유수기업의 제품군을 공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리 : 추경미 기자 (ckm@hellot.net) 동영상 : 천병록 PD (hbs@hellot.net)
공신테크노소닉은 전자 장비 종합 상사로, 주요 유통 제품은 소니의 반도체, CIS와 IDULE의 머신비전 카메라 등이다. 특히 소니사의 한국 내 공식 특약점으로서 IT관련 국내 기업에 스토리지(storage), CCD, 모바일, AV 등에 필요한 각종 반도체와 화학 소재를 공급하고 있다. 한편, 공신테크노소닉의 한 관계자는 “최근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고해상도 카메라의 공급‧유통에 주력하고, 앞으로도 공급안정을 실현해 더욱 고객만족도를 향상시켜가겠다”고 전했다. 정리 : 추경미 기자 (ckm@hellot.net) 동영상 : 천병록 PD (hbs@hellot.net)
1. C++에서 참조자(Reference)의 개념 C, C++은 가장 많이 쓰는 언어 중 하나이다. C, C++에서 매개변수를 전달하는 방법에는 값에 의한 호출(call by value, pass by value)과 참조에 의한 호출(call by reference, pass by reference)이 있다. 여기서는 참조자를 이용하여 매개변수를 전달하는 방법을 파악해 본다. 참조자는 변수에 별도의 명칭(별명)을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 왜 참조자를 쓰는가? 프로그램이 하나의 함수로 되어있다면 각 기억공간마다 하나의 이름이면 충분하다. 그러나 하나의 기억공간을 두 개의 함수에서 공유한다면 함수별로 개별적인 이름을 사용하는 것이 처리속도도 빠르고 편리하기 때문이다. 2. 참조자 형식 형명칭 &참조자 = 변수; (예제) int &Hanla = mountain; 여기서 변수는 상수도 가능하며, 자료형은 서로 동일해야 한다. 만일 자료형이 서로 다르면 참조자의 주소가 변수의 주소와 다르게 설정되므로 프로그램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참조자가 선언되면 변수, 참조자 2개를 다 사용할 수 있다. 3. 참조자 예제 (예제 1) #include <
IP 기반 첨단 기술이 상용화되면서 기술 진화 속도만큼이나 빠르게 보안 공격도 지능화/다양화/조직화되어 가고 있다. 정보 해킹이나 개인정보 유출 등으로 인한 경제적·인적 피해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어 유무선 네트워크의 파이어월 시스템 구축이 새삼 주목받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파이어월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가장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방화벽과 개인정보보호 이슈,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국내 파이어월 시스템 기술개발 패턴과 제품개발 추세를 반영한 파이어월 기술개발 동향에 대해 설명한다. 개요 웹 3.0, HTML5, IPv6, 시맨틱웹 등 웹 접속 기술이 다양화되고 인터넷 개방성이 높아지면서 SNS, RSS 및 검색 시스템 등 편리한 서비스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웹 서비스가 늘어갈수록 악성 소프트웨어(malware), 애드웨어(adware) 등을 이용한 사이버 위협도 함께 증가하면서 특히 개인정보 침해 사건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아울러 IP 기반 첨단 기술이 상용화되면서 보안상의 취약점이 나타나고 있으며, 기술 진화 속도만큼이나 빠르게 보안 공격도 지능화/다양화/조직화되어 가고 있다. 국내외 주요 기관 및 기업의 주요 정보 해
플리어시스템은 자동화용 열화상 카메라를 주 품목으로 하며, 실화상 시스템, 상황 인식 및 감시 시스템 등을 개발‧공급하고 있는 업체이다. 플리어 제품은 60여 개 국가에서 산업 활동, 민간 및 정부 활동의 광범위한 영역에서 이용되고 있다. 그 분야로는 공정 제어, 전기 및 기계 설비 검사, 건물 진단, 보안 시스템, 선박 운항, 가스 이미징 등이 있다. 최근 출시된 제품으로는 휴대형 열화상 카메라 T1040이 있다. 정리 : 추경미 기자 (ckm@hellot.net) 동영상 : 천병록 PD (hbs@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