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기연구원(KERI·원장 박경엽 www.keri.re.kr)이 지난 11월 17일부터 19일까지 사흘간 서울 코엑스(B홀)에서 개최된 ‘2016 대한민국 산업기술 R&D대전’에 참가했다. 이번 전시회에서 한국전기연구원은 발화 위험 없이 전기자동차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불연성 리튬이차전지 기술’과 치과 질환의 신속한 진료 및 치료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치과용 마이크로 내시경’, 그리고 고속에서도 손실이 적고 효율이 높은 전동추진 기술인 ‘초고속 전동발전기 및 제어기’를 포함한 총 13건의 연구성과 및 전기기술 응용 체험 전시물을 대거 선보였다. 대표 연구 성과물 중 하나인 ‘불연성 리튬이차전지 기술’은 리튬이차전지의 가연성 유기전해액을 불연성 고체전해질로 대체하여 안전성을 대폭 향상한 기술이다. 전기자동차와 같은 전력저장 분야에 적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의료·군사·우주항공 분야에서도 다양하게 활용 가능한 기술이다. ‘치과용 마이크로 내시경’은 일반 치과용 카메라로 접근이 어
급속 1915기·완속 1만 9579기까지 확대 정부가 내년 전기차 충전기를 현재의 2배 수준까지 확충한다 전기차 충전인프라 부족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다. 환경부는 현재 전국에 설치된 급속충전기 750기와 완속충전기 9,258기를 2017년 6월까지 각각 1,915기, 19,579기로 조속히 확대·구축한다. 환경부는 내년 6월까지 급속충전기 1,915기, 완속충전기 1만9,579기로 늘려 충전인프라 부족문제를 개선할 계획이라고 최근 밝혔다. 현재 환경부는 급속충전기 491기를 설치·운영 중이며, 2016년 추가경정 예산에 반영된 180기는 내년 2월까지, 2017년 정부예산에 반영된 250기는 내년 6월까지 설치할 계획이다. ▲ 그림 1.급속충전시설 설치 현황 지도 또한, 전기차 구매자에게 개인용 완속충전기 설치비로 최대 4백만원을 지원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8,385기의 완속충전기가 설치됐다. 한국전력공사 등 민간에서도 배터리를 30분 이내 직접 충전하는 방식인 급속충전기 259기, 전기자동차의 탑재형 충전기(OBC, On Board Charger)를 통해 축전지를 충전하는 완속충전기 873기를 설치&middo
한국전력은 지난 11월 2일부터 4일까지 3일간,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전 세계 전력분야 기업과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인 BIXPO 2016(Bitgaram International Exposition of Electric Power Technology, 빛가람 국제 전력기술 엑스포)를 열었다. 주요 프로그램으로 신기술 전시회, 국제컨퍼런스, CTO 포럼, 국제발명대전, 동반성장박람회 등 동시 개최됐다. 올해 2회째를 맞은 BIXPO 2016은 ‘클린 에너지, 그린 파워(Clean Energy, Green Power)’의 슬로건 아래 지난 11월 2일부터 4일까지 사흘간,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됐다. 이번 행사에는 전 세계 43개국에서 2,400여명의 전력·에너지 분야 기업 및 전문가가 참가하고 520개의 기업·단체의 전시부스가 운영됐다. 행사 첫날에만 15,000여명이 관람하는 등 지난해 관람객 3만명을 뛰어넘는 총 5만 2천여명의 관람객이 행사장을 찾아 전력 분야의 현재와 미래의 모습을 관람하고 체험하는 기회를 가졌다. 올해 BIXPO 2016은 지난해 BIXPO 2015보다 훨씬 더 많은 성과를
LED 조명을 이용한 가시광 통신, 라이파이 특허 출원 지속 손안의 인터넷, 스마트폰 이용자 4천만 시대인 요즘, 도서관이나 카페 등의 공공장소에서 인터넷 접속을 위해 와이파이(Wi-Fi)부터 찾는 것은 일상이 되었다. 하지만 접속자가 몰리면 속도는 답답하고 해킹 문제도 불안하다. 이러한 와이파이의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 LED 조명으로 인터넷을 제공하는 기술, 이른바 라이파이(Li-Fi)에 대한 기술 출원이 꾸준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허청에 따르면, LED 조명에서 나오는 가시광(눈에 보이는 빛)에 데이터를 담아 보내는 근거리 무선 통신 라이파이 기술의 출원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기술 출원은 2004년 2건, 2005년 4건, 2006년 11건으로 서서히 증가하다가, 2009년 40건, 2010년 67건까지 급증한 뒤, 매년 30건 이상 꾸준하게 출원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빛(Light)’과 ‘와이파이(Wi-Fi)’의 합성어인 라이파이는 사람의 눈이 인지하지 못할 만큼 빠른 속도로 LED 조명을 켜고 끄는 것을 반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로, 지난해까지의 국내 특허 출원 동향을
▲ 2016 기상기후 빅데이터 포럼 [사진=기상청] [헬로티] 기상청은 기상기후 빅데이터 융합서비스 성과를 공유하고 새로운 가치 창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29일 ‘2016 기상기후 빅데이터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미래 융합기술인 인공지능, 모사현실 등을 활용한 기상정책 발전 방향이 중점적으로 논의됐다. 먼저 기상청은 올해 기상기후 빅데이터 융합서비스 성과로 △기상기후 빅데이터 플랫폼의 민간 개방 △융합서비스의 활용 성과 △날씨 빅데이터 콘테스트 추진 성과를 발표했다. 이어진 초청 강연에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안창원 책임연구원이 ‘우리 사회 미래를 탐색하는 마법의 구슬, 모사현실’이라는 주제로 데이터 과학기반의 유능한 기상행정 구현에 대해 발표했다. 한편, 패널토의 시간에는 ‘미래 융합기술과 기상정책’이라는 주제로 토론이 진행됐다. 토론에서는 ‘개인 맞춤형 기상콘텐츠’와 더불어 비즈니스까지 연계되는 기상정보 생태계 조성, 인공지능에 기반한 기상과 산업의 다양한 융합모델의 필요성 등의 의견이 제시됐다. 고윤화 기상청장은 “미래 지능정보기술은 날씨 분야에
실리콘랩스는 개발자가 애플 홈키트(Apple HomeKit)용 액세서리를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게 해주는 블루투스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출시했다. 애플 홈키트를 지원하는 실리콘랩스의 블루투스 솔루션은 애플의 사전 테스트를 마쳤다. 이 솔루션은 개발자가 제품 출시 기간을 단축하고 엔지니어링 노력을 줄일 수 있게 해주며, 최종 제품 제조사가 자신들의 홈키트용 액세서리를 출시할 때 위험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해준다. 깔끔하고 사용하기 쉬운 API를 가진 라이브러리로 지원되는 이 블루투스 4.2 호환 소프트웨어는 애플의 사전 테스트 및 인증을 마친 것으로, 액세서리 개발자가 제품 출시를 가속할 수 있도록 위험 부담이 적은 솔루션을 제공한다. 실리콘랩스는 다양한 포트폴리오의 무선 게코(Wireless Gecko) SoC와 모듈 제품군, 사용하기 쉬운 심플리시티 스튜디오(Simplicity Studio™) 개발 툴, 블루투스 개발자 스튜디오(Bluetooth Developer Studio)용 플러그인, 예제 액세서리 애플리케이션 및 소스 코드, 소스 코드가 지원되는 iOS 앱, 광범위한 문서와 기술 지원을 통해 애플 홈키트 개발 프로젝트를 지원한다. 애플
▲한국에너지공단이 LED 조명기기를 교체한 사진이다 한국에너지공단(이사장 강남훈)은 「탄소중립 프로그램」 사업성과인 탄소상쇄금을 활용해 올 한해 동안 LED 조명기기를 교체하고 고효율 보일러 설치를 지원하는 등 에너지복지를 실현했다. 에너지공단은 올해 탄소중립형행사 가이드라인을 시범 적용하기 위해 충청남도, 대전시와 업무협약을 맺고 제97회 전국체육대회 및 2016 대전사이언스 페스티벌을 탄소중립형행사로 개최했으며, 지난 10월에는 대전광역시, 삼성카드, 메리츠화재 등과 함께 아파트 개별세대의 고효율 LED 조명 교체를 지원하는 「Happy LED Dream」시범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에너지공단은 이같은 탄소중립 프로그램으로 조성된 탄소중립 상쇄금을 활용해 사회적 경제조직을 대상으로 LED와 고효율 보일러로 교체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지원대상은 전국 각지에 걸쳐 사회적 기업(예비, 인증 포함) 78개, 마을기업 6개, 사회적 협동조합 5개, 자활기업 3개 총 92개이며, 지원금액은 총 1억 8천여만원 규모이다. 사회복지법인 에덴하우스는 올해 탄소중립 상쇄사업으로 고효율 보일러 및 LED 조명기기를 설치한 대표적인 기업으로, 에덴하우스는 이번 상쇄사업으로
파워엔텍은 국내 내진설계 기준(수평 FRA 3.0g, 수직 FRA 1.5g의 내진 성능)을 만족시키는 내진가대와 편심 유발 진동으로부터 기기를 보호하고 내진 및 면진 성능을 갖춘 수직 면진장치, 그리고 2차원 면진장치 및 리히터 지진규모 7.0의 강진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3차원 면진시스템(수평 FRA 6.0g, 수직 FRA 3.0g의 내진 성능) 등을 공급하고 있다. 파워엔텍의 3방향 내진스토퍼는 기존 내진스토퍼와 달리 스프링이나 고무와 같은 방진재와 병행하여 설치하거나 또는 방진스프링 내부에 접촉식으로 설치되므로, 방진장치 외부에 내진스토퍼를 설치하기 위한 추가 설치 공간이 필요 없어 경제적이다. 방진장치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내진스토퍼의 크기가 비대해져 비경제적이며 실제 지진 시 방진대가 파손되는 사례도 많으므로, 3방향 내진스토퍼를 방진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내진 성능을 확보하는 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파인파이어는 일본과 한국에서 20년 가까이 축적한 소방 방재 노하우를 토대로 2013년에 설립됐으며 열에 의한 화재를 감지하는 열감지기, 연기에 의한 화재를 감지하는 연기감지기, 가스 누출 여부를 감지하는 가스감지기로 구성된 인공지능형 화재감지 시스템을 공급하고 있다. 파인파이어의 지능형 불꽃감지기는 불꽃에서 발생하는 파장만 0.5초 이내에 감지함으로써 초기 화재 및 폭발 상황 정보를 음성 경보로 알림과 동시에 통신콘솔(중계기 겸 속보기)에 전달한다. 이 불꽃감지기에는 자외선 펄스 감지 방식의 센서가 채택되어 전등과 같은 빛이나 불의 움직임(동영상 등)을 화재로 인식하는 비화재보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지능형 화재감지기는 열, 연기에 의한 초기 화재 및 가스(LPG, LNG, CO) 등의 누출 상황을 0.5초 이내에 즉각 감지하여 음성경보를 발령함과 동시에 통신 콘솔에 리얼타임으로 전달한다. 사진은 지능형 화재감지기이다.
Company Info. 서울시 가산동에 위치한 로킷은 3D 프린팅 관련 인프라를 조성해 고객들이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실현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또한 로킷은 국내 데스크톱 3D 프린터의 선두주자로서 국내 시장을 견인하고 있다. 로킷의 인비보(INVIVO)는 바이오 연구 환경이 갖춰진 프린터 내부에서 경조직용 스캐폴드와 연조직용 바이오 잉크를 3D 프린팅하여 3차원 세포 구조체를 만들 수 있는 바이오 3D 프린터이다. 이후 배양된 세포 구조체(스캐폴드)는 조직으로 분화돼 간, 신장, 두개골, 턱뼈, 피부 등의 인체조직 이식을 위한 조직공학연구에 활용될 수 있으며, 조직공학 연구자에게 새로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별도로 판매되는 Medical Grade PLGA, PLLA, PCL, PLA와 같은 재료를 초정밀 노즐로 3차원 정밀 출력할 수 있는 동시에 콜라겐, 젤라틴, 실크 섬유, 히알루론산 등의 하이드로젤 바이오 잉크를 디스펜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로킷의 스텔스(Stealth) 3D 프린터는 3종 복합소재와 복합컬러를 구현하는 FFF 3D 프린터이다. 이 제품은 다양한 컬러의 일반 소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 서포터 소재 등 복수의 재료를 한 노
Company Info. 2011년에 설립된 인코어테크놀로지는 아날로그/디지털 신호처리 회로 개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융복합 모듈 개발, 검사 및 시험 분야의 각종 시스템 개발, 외산 수입 제품 유통 및 판매 등을 실행하고 있다. 제품과 서비스에서 안전성과 신뢰성을 최우선으로 하는 인코어테크놀로지는 지난해 한국수력원자력 중앙연구원 전자부품 특성 시험장비 1식을 공급했으며, 한울 및 한빛 제3발전소 노심보호연산기 DAS I/O 오류검출 장비를 공급하는 등 다양한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인코어테크놀로지에서는 PCB 고장진단 및 분석 솔루션, 비전 검사 및 이미징 솔루션, 케이블 검사 종합 솔루션 등을 취급하고 있다. PCB 고장진단 및 분석 솔루션 중 보드마스터 8000 플러스(BoardMaster 8000 PLUS) 모델은 PCB 고장 진단을 위한 진단 시스템으로서 다양한 시험 장비를 포함해 광범위한 PCB 고장 검출 능력을 제공한다. 하나의 통합된 소프트웨어로 작동되며, 다양한 고성능 시험 및 측정기기들로 구성된 유니버설 진단 시스템인 이 기기에는 PC가 내장되어 있고 외부 모니터를 연결해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모델을 사용하면 PCB에 조립된
Company Info. 1993년에 ‘태성엔지니어링’으로 시작한 이오디지텍은 USB, CAN, RS232 등의 통신 제어 기술과 BLDC 제어 기술, 컬러 LCD 제어(TFT, MONO 등), 터치 패드, 포장 제어(배터리, 너트, 정제 알약 등) 기술 등을 보유하고 있으며 종합기상관측용 전장제어기, 소대형 코팅기 & 제본기 전장제어기, 접지기 & 봉함기 전장제어기, 컬러 인쇄기 및 흑백 이미지 프린터 전장 제어기 등을 제공하고 있다. 이오디지텍은 20년 이상 쌓은 기술 노하우를 바탕으로 다양한 제품과 기술을 고객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면 군사 실전교육용 장비, 학교 교육용 실험실습 장비, 여권발급기, ID 카드 발급기 등의 컬러 카드 프린터, 국가 민원서류 발급기, 유무인 자동인증 발급기(KIOSK), 신문포장기, 약포장기 등이다. 이러한 제품들은 한화, 삼성전자 등에 공급되며 현장에서 인정받고 있다. 이오디지텍의 다양한 제품들 중 MPID-T90(JX-90T) 모델은 인쇄 및 절단 기능이 있는 약포장기로서, 투약구가 90포이고 포장 속도가 뛰어나다(조제양에 따라 최대 90포/분까지 가능하다). 이 제품은 자동
Company Info. 2005년에 설립된 빛컨은 쉽고 재밌고 편리한 개발 장비와 서비스, 기술 자료 등을 제공하고 공유하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계속해서 연구개발을 실시하고 있다. 빛컨은 일체형 PLC, 조립형 개발 보드, 교육용 실험 장치, 사물인터넷(IoT)용 보드, 무선통신 모듈 등을 제공하고 있다. 빛컨에서 판매하고 있는 다양한 제품들 중 일체형 PLC인 SP-8A 모델은 스마트폰에 연결되는 초소형 단자대 타입으로 스마트폰과의 연동이 용이하며, 기존의 PLC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제품은 실시간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가능한 특수 기능이 다양하게 탑재되어 있으며 A/D, D/A 기능이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다. 또한 블루투스 통신 확장 보드의 경우, 블루투스를 활용해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모듈이며, 이 보드에 사용되는 블루투스 모듈은 Firmtech사의 FB155BC 모델이다. 이 제품을 사용하면 산업 현장에서 PLC의 상태를 표시하고 설정해 주는 터치패널을 대신해 스마트폰으로 PLC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패널 구매 및 유지비용, 설치비용 등 PLC 설계 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통신
Company Info. 1987년 대천유압기계제작소로 시작된 신진유압기계는 유압 전문 제조업체로서 1990년대에 전동 유압 펌프, 유압 펀칭기 등의 개발에 성공했으며 지금까지 고객의 니즈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신진유압기계의 솔타입 배터리 펌프는 펌프가 넘어져도 오일이 유출되지 않으며 초경량, 소형으로 휴대가 간편하다. 그리고 가방끈이 부착되어 있어 메고 다닐 수 있으며, 밀폐형이므로 우천 시 및 사용 위치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분진 및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는다). 이 배터리 펌프는 본체 케이스가 알루미늄으로 되어 있어 견고하고, 핸드 펌프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됐다. 또한 유압 바이스는 유압으로 작업할 물건을 꽉 조여 주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힘으로 억지로 조이는 것이 아니므로 근골격에 의한 위험 요소를 해소한다. 그리고 릴리프 밸브로 제품별 조임 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그뿐 아니라 신진유압기계의 유압 렌치 중 센터홀(Center Hole) 타입은 래칫 어셈블리를 개량해 플랜지관 등의 볼트와 너트 간격이 좁은 곳에서도 체결할 수 있도록 초박형으로 설계됨에 따라 석유 굴삭 및 공작기계, 볼트가 너트 위로 돌출
Company Info. 와이어 및 파이프 밴딩기 전문 업체인 나이스맥은 1995년에 설립된 이래 2010년 백만불 수출의 탑을 수상했으며 중소기업청으로부터 수출유망 중소기업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또한 미국, 일본, 독일의 전시회에 참가하면서 글로벌 시장으로 활발히 진출하고 있다. 항공, 로봇, 자동차 등 보다 정밀함을 요구하는 차세대 밴딩기를 개발하고 있는 나이스맥은 와이어 밴딩기, 파이프 밴딩기, 스프링 포밍기, 양두 밀링기 등 다양한 제품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 중 와이어 밴딩기 3D-R70 모델은 1.2kw 1000rpm급 출력의 서보모터를 채택해 고속 운전에 적합하며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치구를 부착시켜 2D, 3D 등 다양한 형태로 제품을 가공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갖고 있다. 또한 피딩 롤러부와 밴딩부 사이의 거리가 짧아 와이어 피딩정밀도가 높으며, 밴딩부의 선회각도 변경으로 와이어 밴딩 범위가 넓다. 3D-R100 모델의 경우, 6kw 1,500 rpm급 출력의 서보모터가 채택됐으며 와이어 최대 직경은 연선 10mm, 강선 6.0mm의 굵은 규격까지 고하중 가공이 가능하다. 그리고 최대 2.5t까지 적재 가능한 언코일러를 제공하므로 장시간 무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