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함수미 기자 | 국내 기술로 스마트 공장에 제공되는 3D 광학 센서와 솔루션을 개발, 제공하는 기업 넥센서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현미경 간섭계 센서, 변위&두께센서 모듈 등을 소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넥센서의 현미경 간섭계 센서는 정밀소자, 부품의 3D 높이, 형상 분석시 정밀한 측정을 위해 쓸 수 있는 모듈이다. 특히 Bumped wafer, PCB Bump, Display column space 등의 측정에 요긴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함께 전시된 변위&두께센서 모듈은 재질의 투명 여부와 관계 없이 두께 및 변위 측정용 모듈로, 검사 제품의 거칠기가 다른 상황에도 실시간 두께 및 변위 측정이 가능한 모델이란 장점을 지닌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uture of Digital New Deal)’라는 주제 하에 약 500개사 스마트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에드몬드옵틱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반도체 및 전자기기의 검사, 측정, 측량 용도로 설계된 다양한 텔레센트릭 렌즈를 선보여 눈길을 끌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에드몬드옵틱스의 테크스펙 Cobalt 텔레센트릭 렌즈는 낮은 f/#와 함께 높은 광처리량량을 제공하며 0.015° 미만의 텔레센트리시티(telecentricity)와 0.013%의 낮은 왜곡으로 이미지 스티칭에 적합하다. 대각선 길이가 17.6mm인 센서 포맷을 갖췄으며 이는 Sony IMX304 1.1” 센서를 비롯해 Sony IMX183 등의 유사한 포맷을 가진 센서와 호환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지닌다. 이 밖에 우수한 콘트라스트 성능으로 이미지 품질을 극대화, 측정 정확도를 높이며 인라인 버전은 인라인 조명 포트를 회전/재배치할 수 있어 머신비전 설계 시 극대화된 유연성을 제공한다는 장점도 있다. 함께 소개된 테크스펙 TitanTL™ 텔레센트릭 렌즈는 넓은 시야가 요구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동일기연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공장 자동화의 필수품인 비전검사용 스마트카메라 이노아이(inns-eye smart T series)를 전시해 이목을 끌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전시된 동일기연의 이노아이는 고성능 프로세서 탑재로 비전 검사 속도를 자사의 기존 제품 대비 10배 상승시켰으며, PC 없이도 비전 검사가 가능한 스마트 카메라란 장점이 있다. 외산 비전 시스템 1대 가격으로 멀티비전 검사가 가능해 가격 경쟁력도 갖췄다고 볼 수 있으며, 최대 24개 검사 도구로 별도 개발 없이 다양한 비전 검사도 할 수 있어 효율성이 높다. 함께 소개된 정전기 관리 솔루션도 눈길을 끌었다. 정전기는 제조라인에서 수율 문제를 일으키곤 하는데, 동일기연은 정전기 센서를 포함한 정전기 제거 장치를 다양하게 보유하고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utu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다트비젼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머신비전에 사용되는 바슬러 카메라와 스펙심 카메라 등 현재 취급중인 제품을 폭넓게 소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다트비젼은 영상처리 전문 기업으로, 1997년 설립 이후 머신비전 업계 관련 컴포넌트를 대기업 및 중소기업, 공공기관, 연구소, 대학 등에 공급해오고 있다. 국내 반도체 및 LCD, PCB, LED 등 대표적인 IT 산업을 비롯해 국방, 과학, 의학, 교통 등 영상처리 솔루션이 필요한 각종 분야에 걸쳐 글로벌 시장에서 검증된 제품들을 수입, 개발하고 생산 현장에 공급하는 것이다. 스펙심(SPECIM) 카메라는 플라스틱 검사, 식품 검사 등에 적합한 초분광 카메라로, 빛의 파장을 이용한 물질분석 및 색상분석 등의 기능을 갖췄다. 함께 전시된 독일의 바슬러(BASLER) 제품으로는 영역스캔 카메라(area scan camera), 라인스캔 카메라(line scan camera)가 있다. 바슬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엘브이에스(LVS)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광범위한 종류의 다양한 형태를 갖춘 조명을 전시해 눈길을 끌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엘브이에스는 조명 및 조명 컨트롤러 제작 기업으로, 다양한 고객의 요구에 대응하며 사용자 주문 제품을 출시해왔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Custom-Made Service(주문제작 서비스)’를 위한 제반적 시스템을 갖추게 되었다. 직사광-원형조명, 직사광 원형-Low Angle 조명, 직사광 바조명, 면발광 원형조명, 면발광-원형 사각형 Low Angle 조명, 돔형 무영조명, 면발광-플랫조명, 돔 형태의 다이렉트 조명, 면발광-동축조명 등 다양한 용도에 사용될 수 있는 맞춤형 조명을 보유하고 있다. 용도를 간단히 살펴보면 직사광-원형조명은 고밀도의 광량을 통한 확실한 검사를 가능하게 해주며, 직사광 바조명은 고밀도의 컴팩트한 조명, 돔형 무영조명은 곡면 상태의 광택 물체 검사 등에 적합하다. 한편 첨단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머신비전용 광학 렌즈 제조 기업 에스피오(SPO Inc.)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다양한 텔레센트릭 렌즈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에스피오는 4M급부터 47M급 까지의 고해상도 카메라에 적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텔레센트릭 렌즈 모델을 광범위하게 갖추고 있으며, 주로 머신비전 검사를 위한 장비에 폭넓게 쓰이고 있다. 이 밖에도 제너럴 렌즈, 라인스캔 렌즈, 줌 렌즈 등 비텔레센트릭 렌즈 또한 폭넓게 보유하고 있다. 에스피오는 다양한 렌즈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밖에 고객 요구 사양에 따라 커스터마이징 또한 가능하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uture of Digital New Deal)’라는 주제 하에 약 50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참가하여 1,800개 부스에서 최신 스마트 제조 기술을 선보이고 있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LED 조명과 머신비전 토탈 솔루션 전문 기업 엠비젼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1)’에서 다양한 LED 조명과 함께 다양한 종류의 비전카메라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엠비젼의 머신비전용 LED 조명으로는 사각 돔 조명, 대면적 다채널 복합 조명 등이 있다. 사각 돔 조명은 반사가 심한 물체에 균일하고 부드러운 빛을 조사하기 위한 사각 형태의 돔 조명으로, 피라미드 형태이기 때문에 원형 돔 조명에 비해 컴팩트하며 설치와 탈거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지닌다. 대면적 다채널 복합 조명은 서로 다른 조사각도를 갖는 10채널 이상의 돔 조명과 동축 조명으로 구성된 복합 조명으로, 각 채널은 85% 이상의 균일도를 확보하고 있으며 개별 제어도 가능하다. 이와 함께 엠비젼이 취급하는 크레비스(CREVIS) 사의 편광카메라도 소개되었다. 이는 빛 반사 및 대비가 개선된 제품이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노비텍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3D형상 및 3D데이터를 빠르고 손쉽게 획득하게끔 하는 스윙3D(Swing 3D)로 눈길을 끌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노비텍의 스윙3D(Swing 3D)는 높은 정밀도를 제공하는 고속 3D 센서뿐 아니라 로테이팅 라인 레이저(rotating line laser)를 갖춰 고정된 센서에서 스캔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지닌다. 이 밖에도 Z축으로 긴 측정 범위를 제공하여 큰 사이즈의 물체 스캔이 가능하고, 탄소 섬유 재질의 바디로 온도 변화와 하중에 따른 오차 영향을 최소화했으며, GenIcam 호환 API 지원으로 손쉬운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함께 전시된 g-Nova3D 카메라는 초고속 3D 검사에 최적화 된 레이저 트라이앵귤레이션(laser triangulation) 방식의 3D 카메라로, 초당 최대 32,160 profile까지 획득 가능하며 듀얼 레이저라인 검출 기능으로 정확한 3D 정밀도
헬로티 함수미 기자 | 금산엠엔이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케이블 엔트리 시스템, 캠스위치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금산엠엔이가 이번에 선보인 케이블 엔트리 시스템은 icotek의 제품이다. ’아이디어가 세상을 바꾼다’ 라는 모토를 갖고 1995년부터 케이블 관리 솔루션을 개발 공급하고 있는 icotek은 독일 Eschach에 본사가 있으며 세계 60여개 국가에 판매망을 구축 하고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또한 금산엠엔이는 Kraus & Naimer사의 Cam Switch를 선보였다. Kraus & Naimer사의 Cam Switch는 10년 역사와 경험을 바탕으로한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전세계 시장에 널리 판매하고 있다. 금산엠엔이는 전세계 유수 기업과의 협력 관계를 통해 Cam Switch, Pressure & Temperature Switch, Heavy Duty Relay, Terminal Block, Push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엠티에스이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스마트 엑추에이터와 티엠로봇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엠티에스이가 이번에 선보인 스마트 엑추에이터는 공압 Cylinder 대비, Co2 배출량이 70% 격감되며, 소비전력도 70% 절감효과가 있는 제품이다. 유공압 시스템 등과 같은 힘이 필요한 경우에도 대체할 수 있는 고추력용 Actuator도 가능하다. 또한 중간정지에 의한 장비 안전성 확보 및 다점 위치결정이 가능하며 반복 위치정도의 정밀도가 높고(±20μm) 다양한 MOTOR(Servo, Step, BLDC)의 취부로 속도변동 등 가감속 구현이 용이하며 다축의 동기 운전도 가능하다. 엠티에스이의 TM Robot은 인간과 기계의 협업에 높은 호환성과 유연성을 제공하는 고성능 생산 도구다. 작업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많은 인력이 필요한 기존 산업용 로봇에 비해 TM Robot은 이런 번거로움없이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에버넷전자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전원공급장치, 인버터, 컨버터, 파워서플라이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에버넷전자가 이번에 선보인 장치는 ▲민웰 전원공급장치(SMPS) LRS Series ▲민웰 딘레일 전원공급장치(SMPS) NDR Series ▲민웰 의료용 전원공급장치(SMPS) NMP Series다. 이 제품들은 AC/DC 전원공급장치, DC/DC 컨버터, DC-AC 인버터로써 산업, 의료, 조명, 통신,보안, 철도용 전원공급장치, 파워서플라이로 활용할 수 있다. 에버넷전자는 민웰사와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국내 전 산업분야로 인웰 SMPS를 공급하고 있다. 또한 창고 6동을 운영하며 민웰 SMPS 국내 최다 수량의 재고를 보유했다. SMPS를 다뤄온 십여년간의 노하우로 최단 납기, 최상의 서비스, 최적의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지테크시스템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산업용 PC, 컨트롤러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지테크시스템이 이번에 선보인 산업용 PC 'FLX06R01’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 전지 등 모든 자동화 산업 장비에 사용될 수 있다. FLX06R01는 ▲공간 효율성 확보하는 소형화 PC ▲NVMe M.2 Slot이 내장돼 Data 고속 처리 ▲전면 2.5" SSD Rack 2개 지원해 여유 용량 확보 ▲다수 I/O 및 PCI Card Slot 지원을 통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구현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MMC(Multi Module Controller)는 ▲6개 모듈을 1개의 컨트롤러에 내장해 공간 효율성 확보 ▲EtherCAT & POE 지원을 통해 네트워크 안정성과 효울성 증가 ▲안정적인 전원 설계로 과전압/과전류 보호 ▲모듈 별 핫 스왑 기능 지원으로 쉬운 유지 보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지테크시스템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남동스마트모빌리티MC(미니클러스터) 소속 4개 업체(한일프라튜, PKFC, 나오테크, 세인아이엔디)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1)’에 모여 각기 다른 분야의 생산제품을 소개해 이목을 끌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한일프라튜는 플라스틱 튜브, 스틸 튜브의 성형가공 전문회사로 자동차의 연료라인, 브레이크라인용 튜브와 진공펌프의 냉각용 튜브를 생산한다. PKFC는 CT정밀가공 기술을 바탕으로 전기자동차의 핵심부품을 생산하며 차별화된 기술의 멀티포밍(MULTI FORMING), 프레스(PRESS), 스프링(SPRING) 부품을 자동차, 전기전자, 핸드폰, 가전 등 각 분야에 공급하고 있다. 나오테크는 특수 기능성도료의 제조 및 판매 기업이며 와이퍼 블레이드, 특수 페인트 및 차량용 제품은 고객 요청에 따라서도 제작한다. 세인아이엔디는 자동차, 전자, 통신 부품 생산에 필요한 각종 워셔 제품을 생산 및 보급해오고 있는 기업이다. 먼저 한일프라튜는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티앤엠오토메이션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GTH·LGF 엑추에이터와 주문형 스테이지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티앤엠오토메이션이 이번에 선보인 GTH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가 베이스에 일체화된 Built-in 구조이며 볼스크류를 사용해 고속, 고정밀, 고하중, 컴팩트한 밀폐형 타입 엑추에이터다. 반도체, 디스플레이등의 크린룸 장비나 이차전지 , 바이오 의료기기에 사용시 장비의 성능향상 및 원가 절감이 가능한 제품이다. LGF는 Built-in 구조의 엑추이에터로 리니어모터를 사용해 높은 위치결정정도와 고속으로 주행이 가능하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 2차전지, 바이오 등의 생산 및 검사장비에 사용시 장비의 성능향상 및 차별화가 가능하다. 주문형 스테이지는 티앤엠오토메이션의 핵심역량인 설계, 가공, 조립, 품질 검사에 대한 다년간의 경험과 노하우를 기반으로 고객이 요청하는 각종 특주 스테이지를 전문적으로 제작 및 공급한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휴비즈아이씨티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1)’에서 공장 설비 구성과 유사한 가상의 3D 설비를 형상화, 움직임은 관련 데이터 연동으로 구현해내는 인탑스 CPS 시스템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휴비즈아이씨티의 인탑스 CPS 시스템은 특히 작업자가 직접 불량품을 등록함으로써 생산된 불량품 정보 데이터를 보관하며, 생산 이력 관리를 통해 불량품 발생시 이력 추적을 통한 원인 분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 밖에 모바일 전용 정비 이력, 알람 관리 앱이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특히 설비 관련 문제 발생시 알람 기능과 함께 조치 사항을 입력함으로써 작업자가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며 대응할 수 있게끔 한다. 생산과정의 핵심이 되는 센서 데이터는 날짜별 수집 및 차트로 표현되며, 생산 정보 또한 시각화되어 편의성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