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함수미 기자 | 인공지능 기술력을 인정받은 한국의 스타트업들이 누적 투자금 100억 원 이상을 유치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들 기업의 공통점은 ‘일상에 파고드는’ 실생활형 AI 서비스 기업이라는 점이다. 눈으로 보는 통화 앱 ‘비토(VITO)’의 리턴제로, 누적 투자금액 198억 유치 AI전화 비토 서비스를 운영중인 음성인식 기업 리턴제로는 지난 7월 KTB네트워크, 에이티넘인베이스트먼트, 하나벤처스, 컴퍼니케이파트너스, 엔젤투자자로부터 160억원의 시리즈B 투자를 유치하면서 누적 투자금 198억 원을 달성했다. 국내 음성인식 AI 업계의 혁신적인 스타트업으로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는 리턴제로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동기이자 카카오 초기 멤버 3명이 공동으로 창업했다. 까다로운 ‘한국어’를 파고 들어 통화 목소리의 정확도 높은 텍스트 전환을 이뤄낸 비토는, 최근 중국 시장까지 진출하는 등 사업 분야를 확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비토는 통화 업무가 많은 비즈니스맨은 물론, 일반인, 청각장애인 등의 일상 속으로 녹아들며 전에 없던 새로운 AI전화 라이프를 실현했다. 지난 달에는 사람의 음성을 넘어 ARS 소리까지 검출해내는 기술을 국내 최초로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삼성SDS가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형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as a Service)'을 주제로 성공 전략과 사례를 공유하는 'REAL(리얼) 2021' 행사를 8일부터 이틀 일정으로 개최했다. 올해 3회째로 온라인에서 진행된 REAL 2021 행사에 고객·업계 관계자를 비롯 참가자 8,000여 명이 사전 신청하면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T)에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이날 기조연설 발표자로 나선 강석립 IT혁신사업부장(부사장)은 기업이 DT에 실패하는 네 가지 요인을 제시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실천적인 성공 전략으로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형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소개했다. 또 삼성SDS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DT를 실현하는 다양한 방법론을 입체적으로 표현한 DT 큐브도 소개하며, 향후 플랫폼 수준으로 발전시키겠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세션에서는 직관·분석적 사고로 창의적 해결책을 찾는 디자인 씽킹 방법론을 적용해 일하는 방식을 혁신한 ABL생명 사례와 상품기획단계에서 3D기술로 만든 가상제품을 체험한 고객의 의견을 설계에 신속히 반영해 제작 효율을 높인 삼성전자 비스포크의 디지털 R&am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오는 9월 29일부터 이틀간 ‘지능형 자율이동로봇(AMR) 설계 세미나 2021’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AMR에 대한 관심과 수요는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일선 물류창고, 제조현장, 유통 등의 부문에서 무인운반차(AGV)가 여전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AMR은 지능형 자율성을 앞세워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판매량이 급격히 늘고 있다. 국제로봇연맹(IFR)에 따르면 현재 AMR 수요가 가장 많은 물류 분야에서 AMR의 단위 판매량은 2020~2023년 동안 연간 31%씩 증가할 전망이다. 같은 기간, 전 세계 공공 분야에서의 판매량도 연간 40%씩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AMR 시스템의 설계 및 개발은 매우 까다롭다. 안정적 이동을 위한 모터제어와 전원장치 설계를 비롯하여 위치, 환경, 사물 등을 인식하기 위한 복합적인 센서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마커, 마그넷 등을 활용하는 기존의 AGV와 달리, AMR에는 LiDAR, 카메라, GPS 등의 다양한 신호에 지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로봇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인공지능(AI)을 적용하는 방안이 현실화하고 있어 더욱 복잡하고 정밀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아비바(AVEVA)가 새로운 클라우드 기반 인력 개발 솔루션인 아비바 유니파이드 러닝(AVEVA Unified Learning)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아비바 유니파이드 러닝은 아비바의 클라우드 플랫폼인 아비바 커넥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아비바 포트폴리오의 일부다. 아비바의 프로세스 컴피턴시 트레이닝, 파이프라인 컴피턴시 트레이닝 등과 같이 체험 기반의 사용자 맞춤 교육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프로세스 운영자 교육을 위한 학습 콘텐츠 개발 파트너 오퍼레이션 엑설런스 그룹의 OEG 지식 라이브러리의 액세스도 제공해 초보자가 전문가로 거듭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아비바 유니파이드 러닝은 기업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비즈니스 환경에서 기술 향상에 주력하며 새로운 인력 유입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유일무이한 솔루션이다. 직원 대상 이러닝, 비디오 콘텐츠 및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 프로그램으로 더 짧은 시간 내에 더 나은 성과를 낼 수 있으며 단일 플랫폼 내의 체험 기반 교육을 통해 직원의 역량과 업무의 일관성을 강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산된 업무 현장에서 서로 다른 기술 숙련도를 가진 근로자의 학습 프로그램을 관리해야 하는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다쏘시스템은 한국세라믹기술원 및 경남창원스마트그린산단사업단과 국내 세라믹 산업 발전을 위한 3자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경남 및 창원국가산업단지 산업체 기술지원 생태계 구축, 가상공학플랫폼구축사업을 통한 시뮬레이션 인프라 구축, AI기반의 세라믹 플랫폼인 아이세라믹 제조혁신 플랫폼 사업 체계화가 주요 목적이다. 다쏘시스템을 비롯한 양 기관은 세라믹 소재와 공정의 디지털화뿐 아니라 신소재 개발을 위한 디지털 트윈 기술의 교류와 협력에 적극 나설 예정이다. 또한 아이세라믹 사업의 성공적 안착을 위해서도 긴밀히 협조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경남 및 창원국가산업단지 내 산업체의 CAE 및 제조지능화 기술지원과 더불어 스마트그린산단 공정혁신시뮬레이션센터 구축사업과 연계하고 신규사업 기획을 위한 협력도 함께 진행한다. 다쏘시스템은 한국세라믹기술원에 가상 환경하에서 제품의 성능, 신뢰성,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는 시뮬리아를 비롯해 원자단위 모델링을 통해 소재 특성 예측 및 분석이 가능한 바이오비아의 머티리얼 스튜디오, 3D 캐드 소프트웨어인 솔리드웍스를 지원한다. 특히 솔리드웍스 해석용 모델링에 대한 사용자 교육을 통해 국내 세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아비바(AVEVA)가 자사의 오퍼레이션 컨트롤(Operations Control) 솔루션을 단일의 구독형 모델로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아비바는 HMI 및 SCADA 등 기존의 산업용 소프트웨어 경험을 재정의해 모든 규모의 기업이 협업 업무 환경을 구축하고, 효과적으로 확장하며, 민첩성과 효율성을 위해 운영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산업용 사물인터넷(IIoT) 아키텍처 및 클라우드 기반 원격 엣지 관리부터 다중 사이트 감독 제어에 이르기까지, 아비바 오퍼레이션 컨트롤 소프트웨어는 사용자 중심의 아비바 플렉스 구독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된다. 엣지, 감독 및 엔터프라이즈 등 3가지 핵심 패키지로 구성될 예정이다. 해당 핵심 솔루션은 플랜트, 현장, 제어실 및 엔터프라이즈 팀이 정보를 추출하고 효과적으로 협업하며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데 필요한 모든 요건을 제공한다. 이와 동시에 아비바 생산관리시스템 및 아비바 인사이트 등과 같은 고급 인공지능(AI) 및 워크플로우 관리를 위한 기능도 추가적으로 구독할 수 있어, 기업 고객은 모든 아비바 오퍼레이션 컨트롤 소프트웨어를 원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아비바 오퍼레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파익스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PC기반 모션제어기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파익스가 이번에 선보인 PC기반 모션제어기 NMF는 파익스에서 개발한 디지털과 아날로그 신호 입력과 출력을 제어하는 제품이다. NMF는 이더넷(TCP/IP)기반으로 LAN 칩셋이 설치된 거의 모든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하다. NMC2E는 이더넷(TCP/IP)기반 펄스 제어형 모션제어기다. 이더넷 케이블 사용으로 장비 내부의 배선 정리가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플라잉 비전 카메라에 필요한 위치 트리거 기능 및 웨이퍼 매핑 센서 신호 입력에 의한 위치 데이터 저장 제어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제품 라인업에 따라 축 및 IO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이 NMC2E 제품에는 이더넷 허브 기능이 갖춰져 있어 대량의 AXIS 설치에 적합하다. 파익스 정만교 부장은 “코로나19로 전시회가 위축됐을까 걱정했었던 것은 사실이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바우머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산업용 카메라 VLXT 시리즈를와 센서, 엔코더 등을 소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바우머코리아가 이번에 선보인 산업용 카메라 VLXT 시리즈는 초고속 정밀도를 자랑하며, 10GigE 속도를 지원한다. 또한 바우머가 제공하는 Auto Focus 기능의 렌즈를 사용할 수 있는 것도 특징이다. 또한 초고속 정밀 검사 시스템에 적합한 최신의 Sony Pregius, Pregius S와 Gpixel 센서를 적용, 10 Gig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서 최대 65MP 해상도를 지원한다. VLXT 제품은 2D/3D측정에 적합한 반도체, PCB/FPCB 및 LCD/OLED의 검사에 적합해, 검사 장비를 개발 및 제조하는 업체에 적합하다. 바우머코리아의 홍동수 부장은 “2년여 만에 개최되는 만큼, 많은 기업과 관람객이 굉장히 기다렸던 전시회다. 새롭게 출시된 제품을 소개할 자리와 기회가 적었던 만큼,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만희기전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Safety 분야의 신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만희기전이 이번에 선보인 BALLUFF 사의 Safety over IO-Link는 IO-Link 마스터와 Safety Hub 연결로 자동화와 안전 기술의 통합산물이다. Light Curtain, EMO, Interlock 등 대부분의 안전장치가 연결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최대 PLe/SIL3 안전등급을 구현하며, 손쉬운 진단 및 디바이스 교체로 저비용 유지보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Safety Hub 사용으로 IP 어드레스가 필요하지 않다. 만희기전의 장근영 과장은 “코로나19로 오랜만에 열린 전시회였기에 기대감과 동시에 걱정도 많이 했다. 방문자 수도 현저히 줄어들었을까 걱정했지만, 생각보다 많은 방문객이 찾아주셔서 성공적인 전시회였다고 생각한다”라고 밝혔다. 또한 장근영 과장은 만희기전이 새롭게 주력할 Safety 관련 신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테크노핸즈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소형정밀모터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테크노핸즈코리아가 이번에 선보인 피에조모터(초음파모터)는 전원을 끈 상태에서는 마찰력에 의한 Holding force를 유지한다. 그렇기 때문에 전자 브레이크가 없는 경량·소형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다. 찰구동으로 제동력이 크기 때문에 정지 시 뛰어난 응답성을 발휘해 정밀한 위치 제어가 가능하며 코일이나 자석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전자적인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런 특징으로 의료, 레이저, 카메라 등 다양한 분야 및 환경에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초음파모터를 이용한 다 축 모듈이나 핀셋모듈 등 반도체나 레이저 장비 정밀공정에 사용되고 있다. ZTHETA 모듈(리니어 로타리 모터)은 Z축과 회전축을 일체형으로 한 액추에이터로 회전축은 BLDC를 채용 높은 Torque 구현한다. 정밀 광학식 Encoder를 부착해 높은 정밀도 구현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위트솔루션즈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케이블그랜드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위트솔루션즈가 이번에 선보인 제품은 AGRO사의 Progress 라인의 고방수 및 고진동 환경용 케이블 그랜드(Cable Gland)다. AGRO사의 Progress 라인의 고방수 및 고진동 환경용 케이블 그랜드(Cable Gland)이다. 그중에서도 보다 진동 환경에 강해 로보트, 철도, 엔진, 자동차, 풍력, 해양등에 사용이 되는 Overall Length Insulated 제품이다. M나사산 프리미엄 2-Piece 케이블 그랜드는 실링인서트(Sealing Insert) 부분이 일반적인 케이블그랜드의 실링인서트보다 두껍고 길이가 길어 케이블을 잡아주는 Strain Relief힘이 보다 강하며 실링인서트와 케이블그랜드의 몸체에 홈이 있어 진동이나 흔들림에 의해서 실링 인서트가 돌아가지 않는다. 가장 중요한 점은 Compression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리치맷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제어용모터를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리치맷코리아가 이번에 선보인 제어용모터는 HJA71 시리즈, HJA301 시리즈, 컬럼시리즈다. 리치맷코리아는 의료, 건축, 가구, 산업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 액추에이터를 제공하고 있는 기업이다. 수년 간의 기술 축적과 강력한 R&D 역량을 바탕으로 국내 및 세계적으로 유명한 지능형 제어 및 구동 시스템 전체 솔루션 서비스 제공업체다. 현재 북미, 유럽, 중동,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남미 등 40개 국가와 지역에 글로벌 시장을 가지고 있으며 빠른 성장을 유지 하고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uture of Digital New Deal)’라는 주제 하에 약 50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참가하여 1,800개 부스에서 최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에이치티씨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서보 및 산업용 커넥터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에이치티씨가 이번에 선보인 서보 및 산업용 커넥터는 고밀도화 되어 가는 IIoT, Smart Factory에 적합한 제품이다. 에이치디씨의 다이나믹 인서트는 극한 환경 대응 각형 커넥터 TE-HDC 산업 기기 분야에서 다이나믹 시리즈의 프레스 제조 F 크림프 컨택트의 적용을 가능하게 하는 모듈 형 인서트다. 신호 데이터 전송의 고밀도 실장을 실현하며, D-SUB, USB 에어 등 기존의 HDC 모듈과 유연한 조합이 가능한 제품이다. 마이크로 모터 커넥터 시리즈는 서보 모터의 I/O 인터페이스 용 소형 각형 플라스틱 커넥터다. IEC 방신 방수 등급은 IP67 준수한 등급이다. 또한 파워 브레이크를 하나의 커넥터로 통합해 모터 설계플랫폼 화를 추진할 수 있는 제품이다. 엔코더 보드와 모터 인터페이스 사이를 연결하는 높은 진동에 대비한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동양전기공업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딘레일 터미널블럭, PCB 터미널블럭, 인터페이스 모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동양전기공업이 이번에 선보인 Dinkle 그룹의 DIN 레일 터미널 블록은 푸시인 디자인, 스크류 디자인, 스터드 터미널 블럭, NEMA 터미널 블럭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요구에 적합한 제품군을 공급한다. Dinkle 터미널 블럭은 다양한 액세서리 와 마킹 시스템을 지원하여 최적의 완벽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또한 푸시인 설계, 스크류 및 스프링 타입 등 다양한 연결 기술을 갖춘 다양한 PCB 단자대도 선보였다. 이 제품들은 공정 자동화, 생산 자동화, 전력 자동화 등과 같은 다양한 산업용 어플리케이션에 전기 또는 신호 전달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로 적용되고 있다. Dinkle 단자대는 간편하고 안전한 배선, 통합형 광 파이프 (옵션)로 설계됐다. 이 디자인의 개념은 PCB의 연결 밀도를 높이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해원티앤디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로보트 케이블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해원티앤디가 이번에 선보인 로보트 케이블은 DYDEN 로보트 케이블이다. DYDEN의 카메라링크 케이블은 산업용CCD 카메라의 인터페이스 규격인 카메라 링크용 케이블이다. Base/Medium Configuration용에 고정배선용 케이블과 가동용 케이블인 PoCL에도 대용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해원티앤디는 FA 토탈솔루션 전문 업체로서, 고객 만족을 위한 제품과 환경을 만들어가고, 언제 어디서나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도록 최선을 다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uture of Digital New Deal)’라는 주제 하에 약 50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참가하여 1,800개 부스에서 최신 스마트 제조 기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