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함수미 기자 | AVEVA(아비바)가 오는 10월 19일부터 21일까지 제1회 ‘아비바 PI 월드 디지털(AVEVA PI World Digital)’ 컨퍼런스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3일간 개최되는 이번 온라인 이벤트는 유수의 업계 리더 및 의사결정자들이 연사로 참여해 디지털 전환의 최신 소식과 AI, 클라우드, 디지털 트윈 및 IIoT에 직원 간 연결성 향상 및 지속가능한 성장과 가치 발견에 주는 영향을 소개할 예정이다. 또한, 아비바는 이번 행사에서 제품 로드맵을 공개하며 각 솔루션들이 추구하는 미래 모습을 제시할 계획이다. 본 행사는 19일 오전 11시 30분 아비바 CEO 피터 허웍과 OSI소프트 설립자 겸 명예회장 패트릭 케네디 박사의 환영사로 시작된다. 양 연사는 PI 시스템과 아비바의 솔루션 통합이 산업 전반의 라이프사이클에 걸쳐 다양한 데이터와 AI 기반 분석 기술을 결합하는 아비바의 고유 역량인 퍼포먼스 인텔리전스의 가능성을 열어주는 방법을 소개할 예정이다. 뒤이어 아비바의 운영 부문 EVP 롭 맥그리비와 정보 부문 EVP 로난 드 후지가 아비바의 신규 제품 로드맵 및 포트폴리오 업데이트 소식을 전할 예정이다. 이번 행사의 핵심 주제는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아트라스콥코는 10월 19일부터 22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되는 ‘2021 국제조선 및 해양산업전(이하 코마린)’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아트라스콥코는 이번 코마린 전시회에서 ‘Atlas Copco, A Total Green Solution Partner’라는 슬로건 아래, 압축공기 시스템에서부터 및 가스 컴프레셔, 렌탈 서비스까지 조선 및 해양 산업에 최적화한 토털 솔루션을 선보인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선박마다 다르게 요구되는 조건에 일대일 맞춤형 솔루션을 갖춘 스타팅 에어, 컨트롤 에어, 인스트루먼트 에어, 워킹 에어 등에 필요한 컴프레셔는 물론 가스 시스템, 가스 컴프레셔, 렌탈 서비스 제품들을 통합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주요 전시 제품으로는 워킹 에어에 필요한 급유식 스크류 컴프레셔 ‘MAS GA22FF’, 가스 시스템을 위한 PSA 방식의 질소 발생기 ‘MN 1000’, LNG 선박 공정을 위해 맞춤 설계된 BOG 가스 컴프레셔 ‘GZ 800 VSD’, 여러 대의 컴프레셔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중앙제어장치 ‘Optimizer 4.0’ 등이 내부 전시장에 소개된다. 외부 전시장에서는 언제 어디서든 공기, 전력, 질소 등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라온피플이 ODS, 22세기치과병원과 세계최초로 AI 덴탈 모델리스 투명교정 장치를 개발하고 임상에 성공했다. 라온피플 덴탈소재 전문기업 ODS와 3세대 AI 덴탈 개인 맞춤형 모델리스 투명교정 장치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모델리스 다이렉트 클리어 얼라이너’ 임상 성공 케이스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치아교정은 1세대 철사 부착식 교정장치에서 2세대 시트지방식의 투명교정장치, 그리고 치아 모델을 이용한 2.5세대 방식으로 발전되어 왔으나 여전히 치아적합도가 떨어지고 얼라이너 당 이동량이 많아 환자의 통증 및 불편함이 있었으며, 교정 기간이 길다는 단점이 제기돼 왔다. 이번에 라온피플과 ODS가 개발한 AI 모델리스 투명교정 장치는 환자 치열의 3차원 영상을 3D 스캐너로 얻고 AI 소프트웨어로 환자 상태에 맞춰 치아 모델을 직접 제작하지 않고도 여러 단계의 셋업 모델에 따른 얼라이너를 바로 3D 프린터로 출력해서 환자에게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토탈 덴탈교정 솔루션이다. 정밀한 얼라이너로 치료 및 교정 기간을 기존대비 절반 이하로 단축시켰으며, 정교하고 세밀해 환자의 통증스트레스 감소는 물론 친환경으로 비용절감 효과가 뛰어난 장점이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제주특별자치도와 함께 대용량 블록체인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고 빠른 속도로 분석이 가능한 핵심기술 개발에 나섰다고 밝혔다. 국내 연구진이 블록체인 기술 역량을 강화하고 산업 분야 활용을 높이기 위해 힘을 합쳤다. 국가연구기관에서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지역 사회 데이터로 실증하면서 안전하면서도 유용한 서비스를 만든다. 최근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블록체인 활용이 많아지면서 대규모, 대용량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이를 검색, 분석하는 활용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 블록체인 기술은 저장 확장성이나 분석 효율성이 떨어져 응용 분야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연구진은 블록체인 빅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고 빠르게 검색, 분석해 활용하는 기술을 개발해 데이터 저장 효율성을 높이고 고속 처리와 복합 분석이 가능하도록 연구를 진행 중이다. ETRI는 ‘데이터 주권 보장 블록체인 데이터 관리기술’ 전략 분야 연구를 주관하며 공동연구기관인 제주특별자치도는 실증 데이터를 확보하고 현장 적용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맡았다. 우선 ETRI는 블록체인 데이터를 저장할 때 단순히 보안에만 집중하는 것
헬로티 함수미 기자 | KT가 한국건강증진개발원과 서울 중구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사옥에서 ‘디지털 헬스케어 환경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지난 8일 밝혔다. 이번 MOU를 통해 양사는 ▲어르신 전용 ‘오늘건강’ 앱과 IoT 디바이스의 연동 지원 ▲건강관리를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 프로그램 공동 개발 및 확산 ▲어르신 대상 ‘오늘건강’ 앱 및 KT 케어로봇 사용법 교육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KT는 보유한 AI 기술과 로봇, IT 기술 역량을 한국건강증진원이 추진하는 건강증진 사업에 적용하고, 앞으로의 디지털 전환에 협력하기로 했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은 KT의 기술지원 및 교육 활동을 통해 기존에 추진하던 ‘AI•IoT 기반 어르신 건강관리 시범사업’과 ‘오늘건강’ 앱 서비스를 안정화시키고, 이를 전국 보건소들로 확산 및 안착시킨다는 계획이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의 ‘AI•IoT 기반 어르신 건강관리 시범사업’은 보건소에서 직접 가정방문을 통해 진행하던 기존의 건강관리 업무를 디지털 기반으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송재호 KT AI/DX융합사업부문장(부사장)은 “KT의 디지털 전환 역량을 활용해 한국건강증진개발원과의 협력을 잘 진행할 것”이라며, “이번 기회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윌로그가 SCM FAIR 2021에서 물류 이력 관리 솔루션을 선보였다. 윌로그는 생산지부터 소비자 단계까지 모든 물류 유통과정을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는 물류 이력 관리 솔루션이다. 윌로그 서비스는 ▲OTQ ▲QR Scan APP ▲Console 3가지로 구성됐다. OTQ는 One Time QR-code의 약자다. 데이터가 기록될 때마다 QR 코드가 OTP처럼 새롭게 출력돼 조직과 해킹으로부터 안전하게 지켜주는 데이터로거다. OTQ제품은 KC, CE, FCC, RoHS의 인증을 받았으며 데이터 기록 용량은 7500개다. -40~125℃의 온도를 견딜 수 있는 제품이다. 또한 윌로그의 스마트한 관제 소프트웨어(Console)를 통해 물류관리를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 소프트웨어는 문제 발생 시점을 명확하게 확인하는 맞춤 알람 설정과, 고객의 제품이동에 초점을 맞춰 현황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 보고서 2가지 특징이 있다. 윌로그는 의약품, 국제물류/3PL, 전자장비, 신선식품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윌로그 관계자는 “윌로그는 복잡했던 물류 과정을 편리하게 관리하고, 안전한 데이터 관리를 보장하는 물류계의 블랙
헬로티 함수미 기자 | MAERSK가 SCM FAIR 2021에 참여해 종합 물류서비스를 선보였다. MAERSK(이하 머스크)는 전 세계 300개 항구 운송서비스를 기반으로 공급망 관리와 물류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글로벌 기업이다. 머스크는 물류창고 및 유통, 공급망 솔루션과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물류서비스를 선보였다. 머스크의 트레이드렌즈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오픈형/중립형 공급망 플랫폼이다. 공급망 전반에 걸친 정보 공유 및 협업으로 무역 마찰을 줄이면서, 더 많은 글로벌 무역을 촉진하고 있다. 머스크는 글로벌 End-to-end 솔루션을 통해 고객의 공급망을 연결하고 단순화시킨다. 내륙 운송 서비스, 통관 대행 서비스, 해상 운송, 물류 창고 관리 및 유통을 비롯해 제품 운송 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이를 위한 공급망의 시작에서부터 끝까지 아우르는 ▲운송서비스 ▲공급망 및 물류 ▲금융 서비스 ▲디지털 솔루션 등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SCM FAIR 2021는 'Smart SCM for Your Business'를 주제로 개최된 SCM 분야 B2B 전문 산업전시회다. 제조기업, 유통·물류기업, 전자상거래 기업을 위한 정보와 비즈니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하나로TNS가 SCM FAIR 2021에 참여해 스마트물류 플랫폼과 드론배송 구축 현황을 소개했다. 하나로TNS는 첨단 물류시스템을 기반으로 ‘맞춤형 물류서비스’를 제공하는 종합물류기업이다. 국제물류, 운송, 창고보관, 전자상거래, 물류컨설팅 등의 물류사업 전 영역에 걸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하나로TNS는 통합물류플랫폼, 산단 스마트물류 구축사업 플랫폼, 드론 배송 사업 등을 전시했다. WINS 시스템은 스마트물류 시스템 및 풀필먼트 운영, 포워딩이 가능한 통합물류플랫폼이다. 국내뿐 아니라 세계 각 지역으로 연결되는 글로벌 물류 네트워크 환경에서 항공 해상 포워딩, 운송, 창고, 통관, 특송 등 모든 물류 비즈니스를 지원한다. 또한, 대화형 인공지능 플랫폼이 내장돼,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업무 자동화 서비스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하나로TNS는 경기반월시화단지 스마트물류 구축사업으로 진행하는 ‘스마트물류 플랫폼’도 선보였다. 하나로TNS, LG유플러스, 신세계건설, 보우시스템 4개사가 함께하는 ‘경기반월시화단지 스마트 물류플랫폼 구축 및 운영 사업’에서 하나로TNS는 물류플랫폼 통합 및 운영을 담당한다. 스마트
헬로티 함수미 기자 | 국내 최대 대규모 메타버스 이벤트 ‘메타콘 2021(Metacon 2021)’에서 카이스트 장영재 교수가 ‘디지털 트윈과 메타버스의 스마트팩토리 활용’에 대한 사례를 공유했다. 10월 6일부터 7일까지 진행되는 메타콘 2021은 메타버스 산업에 대한 아이디어와 인사이트를 살펴보고 메타버스 관계자가 바라보는 메타버스 산업의 전망과 미래 트렌드를 공유하는 행사다. 장영재 카이스트 산업 및 시스템 공학과 교수는 제조산업에서 메타버스와 디지털 트윈의 의미, 인공지능과 결합한 디지털 트윈 실증 사례를 소개했다. 장 교수는 제조 현장의 이슈를 불확실한 고객 주문 예측, 원자재·부자재 가격의 변동성, 기계고장 등 ‘불확실성’이라 정의했다. 이런 불확실한 상황에서 최적의 결정을 내리기 위해 ▲현실 파악 ▲가상 시나리오 상상 ▲분석 및 의사결정 등의 과정을 거쳐야 하고, 최적의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해 ‘디지털 트윈’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장 교수는 디지털 트윈의 상위 개념이 메타버스라고 덧붙였다. 학문적으로 정확하게 정의된 개념은 없지만, 정보공유를 VR·AR 등 제공하는 방식에 따라 나눌 수 있어서 디지털 트윈의 기술도 메타버스의 하위개념이라 볼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포스코와 쌍용C&E가 탄소배출 저감을 위해 제철부산물 사용확대 및 이를 활용한 친환경 시멘트 개발에 나선다. 포스코와 쌍용C&E는 ‘탄소배출 감축 및 ESG경영협력 MOU’를 체결했다. 이날 행사에는 지준현 쌍용C&E 전무와 김대업 포스코 열연선재마케팅실장 등이 참석했다. 양사는 이번 MOU를 통해 시멘트 생산공정에 제철 부산물인 수재슬래그 사용을 확대하기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고, 친환경 시멘트 개발 및 수요 기반도 넓힐 수 있는 방안을 협의한다. 이를 통해 양사는 시멘트 생산 시 발생하는 탄소 배출을 저감하고 나아가 철강 및 시멘트산업의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일반적으로 시멘트 1톤 생산 시 석회석의 열분해와 이를 위한 화석연료 사용으로 약 0.8톤의 탄소가 발생한다. 포스코가 공급하는 수재슬래그는 용광로에서 쇳물과 함께 배출되는 부산물을 모아 물을 이용해 급랭한 것으로 시멘트와 성분이 유사하다. 그동안 시멘트 업계는 수재슬래그 등 제철부산물을 첨가하면 그만큼 석회석 사용량이 줄어들어 원가절감과 함께 탄소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건설 비수기 등 계절적인 영향에 따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고령자를 이해하고 정서적으로 반응하면서 상황에 맞는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국내 연구진이 사람들의 일상 활동을 돕는 로봇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고령화, 개인화 사회문제 해결을 돕는 서비스를 실용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휴먼케어 로봇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로봇의 관점에서 사람을 인식하기 위한 데이터와 딥러닝에 필요한 인공지능 기술이 필요하다. 하지만 서비스 업체는 스스로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하기 어렵고 고령자에 특화된 연구에 적합한 데이터와 관련 기술도 부족한 실정이었다. ETRI는 ▲고령자 일상 행동 인식하는 기술 ▲얼굴 특징, 의상 스타일 등 고령자 외형특징 인식 기술 ▲고령자 소지품 인식 기술 ▲고령자와 상호작용 행위를 로봇이 스스로 생성하는 기술 ▲고령자에 특화된 음성인식 기술 등 총 13개의 로봇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했다. 본 기술들을 활용하면 고령자를 위한 다양한 로봇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해진 시간에 약을 드셨는지 확인하거나 함께 운동하면서 자세를 교정하고 리모컨 같은 물건을 어디에 두었는지 위치를 알려드
헬로티 함수미 기자 | SK텔레콤은 자사의 AI 플랫폼 ‘누구(NUGU)’의 월간 활성 이용자 수가 지난 9월 1천만 명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SKT는 9월 1일부터 30일까지 한 달간 T전화 x 누구, TMAP x 누구, B tv x 누구, 누구 스피커 등 다양한 ‘누구’ 플랫폼의 사용자 현황을 확인한 결과, 약 1천22만여 명의 고객들이 누구를 한 번 이상 사용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전했다. SKT는 2016년 AI 스피커 ‘누구’를 선보인 이후 TMAP·B tv·키즈폰·T전화 등 다양한 분야로 사용영역을 확장해왔다. 또한 2018년에는 AI 서비스를 간편하게 개발할 수 있는 오픈 플랫폼 '누구 디벨로퍼스'를 공개했고, 2019년에는 ‘누구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를 외부에 공개해 다양한 니즈를 가진 제조업체 및 개발자들이 보다 손쉽게 자신의 서비스와 상품에 ‘누구’를 적용할 수 있도록 했다. SKT는 이런 고객 접점 확장을 통해 ‘누구’를 단순한 AI 서비스가 아닌 AI 플랫폼으로 발전시켜왔으며, 궁극적으로는 고객의 생활 속 모든 순간에 ‘누구’가 함께하는 ‘누구 에브리웨어(NUGU everywhere)’를 지향하고 있다. SKT는 ‘누구 에브리웨어’를 목
헬로티 함수미 기자 | PTC코리아와 엠아이티는 6일 산업 설비의 원격진단과 제어, 안전관리, 설비유지보수를 위한 XR 기반 통합 플랫폼 솔루션 개발을 위한 전략적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엠아이티는 조선, 석유, 화학, 플랜트, 건설기계 분야에 다양한 고객군에 스마트 제조 혁신을 위한 지능화 솔루션을 공급하는 전문기업이다. 엠아이티는 이번 협력을 통해 PTC의 IIoT 플랫폼 ‘씽웍스(ThingWorx)’와 AR 솔루션 ‘뷰포리아(Vuforia)’를 기반으로 산업별 제조 특성에 맞춤화 된 XR 플랫폼을 개발하고, 신규 사용 사례 발굴을 위한 공동 영업, 마케팅에 협력할 계획이다. 양사의 전문 기술이 통합된 XR 기반 통합 솔루션은 ▲스마트팩토리를 위한 제조성과관리, 제조자산관리, MES+ThingWorx ▲디지털 작업관리를 위한 원격전문가 기술지원, 디지털지식 캡쳐 및 배포, 디지털 작업 지침 및 가이드 ▲스마트 제품 솔루션을 통한 원격제품 상태 모니터링 및 기술지원, 원격진단 및 예지정비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프로세스 및 오퍼레이션 개선 및 서비스 트윈, 디지털스레드 구축을 지원한다. PTC의 ‘씽웍스(Thingworx)’는 전사적인 규모의 산업용 IoT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스트라타시스가 3D프린팅 솔루션 기업 XAAR 3D의 잔여 지분을 모두 인수하며 양산용 3D프린팅의 성장을 가속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스트라타시스는 지난 4월, XAAR 3D의 파우더 기반 SAF 기술을 활용한 첫 시스템 스트라타시스 H350 3D 프린터를 출시했다. SAF 기반 3D프린터는 수십만 단위 규모의 양산급 처리량으로 가격 경쟁력까지 갖춘 부품을 생산하며 10년 이상에 걸친 연구 개발 노력을 여실히 드러낸다. H350 발표 이후 스트라타시스 다이렉트 메뉴팩처링과 유럽·미국 전역의 다양한 베타 고객사가 H350을 성공적으로 도입했으며, 올해 연말까지 더 많은 지역에서 H350이 제공될 예정이다. 요아브 자이프(Yoav Zeif) 스트라타시스 CEO는 “적층 제조가 전 세계 산업을 계속해서 변화시키고 있다. H350 프린터와 SAF 기술은 이런 노력의 핵심이 되는 요소이며, 특히 스트라타시스의 선두적인 솔루션 포트폴리오에 더해 상업 제품, 자동차, 소비재, 전자제품 등과 같은 다양한 업계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는 강력한 플랫폼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덧붙여 “고객들 역시 대규모 생산에 필요한 일관성을 제공하는 SAF
헬로티 함수미 기자 | 국내 최대 대규모 메타버스 이벤트 ‘메타콘 2021(Metacon 2021)’에서 엔비디아가 메타버스 연결 플랫폼 '옴니버스'를 소개했다. 10월 6일부터 7일까지 진행되는 메타콘 2021은 메타버스 산업에 대한 아이디어와 인사이트를 살펴보고 메타버스 관계자가 바라보는 메타버스 산업의 전망과 미래 트렌드를 공유하는 행사다. 엔비디아는 ‘메타버스의 시작 : NVIDIA 옴니버스와 공유된 세상의 미래’라는 주제로 포문을 열었다. 발표연사로는 리차드 케리스 엔비디아 옴니버스 개발 플랫폼 담당 부사장이 나섰다. 리차드 케리스 부사장은 “메타버스는 가상세계의 집합체다. 이 가상세계가 여러 분야에서 구현되고, 이를 연결하는 것이 옴니버스의 핵심”이라고 말하며 메타버스의 정의와 엔비디아의 옴니버스의 핵심에 대해 발표했다. 리차드 케리스는 "메타버스는 인터넷보다 높은 몰입감과 연결성을 기반으로 현실세계를 보다 넓은 정보화 가상세계로 이끌어준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메타버스의 근간과 플랫폼을 갖추기 위한 것이 엔비디아의 옴니버스라고 설명했다. 20여년간 축적된 기술로 구축된 엔비디아의 옴니버스는 실제와 같은 환경을 3D 세계로 완벽하게 구현하며, 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