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은 제조산업 시장에서 선택사항이 아닌 필수사항이 된지 오래다. 로보틱스 시스템에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접목하면 확장성과 유연성 확보는 물론, 로보틱스 장비 성능 향상, 시행착오 감소. 작업 흐름 병렬화를 통해 로보틱스 장비 개발 비용을 감축하고 시장 출시 기간을 단축하는 등 효과가 있다. 지난 2월 8일 열린 ‘지능형 로보틱스 컨퍼런스’에서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박윤국 매니저가 디지털 기술을 접목해 유연성과 확장성을 제공하는 로보틱스 연계 솔루션 제안에 대해 발표한 내용을 정리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시장 요구에 맞춰, 단순한 리니어 모터 단축 로봇부터 직교 좌표 로봇·수평 다관절 로봇·델타로봇·협동로봇·차세대 운송형 솔루션 등 연계 로보틱스 메카트로닉스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로보틱스 솔루션의 특징은 ‘팩드라이브’라는 표준화된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제어된다는 것이다. 팩드라이브는 로보틱스 제어를 위한 시스템 아키텍처다. 해당 기술의 핵심은 LMC 로보틱스 컨트롤러다. 이 컨트롤러는 통신을 통해 서보 드라이브로 연결되고, 이를 통해 여러 로봇을 제어한다. 하나의 LMC 컨트롤러는 최대 10개의 로봇을 제어한다. 타사 산업용 로봇과 연
우리나라 안전관리 통계에서는 약 3만 건의 불안전한 작업환경, 약 3000건의 안전사고가 누적되면 1건의 사망사고로 이어진다고 말한다. 중대재해처벌법(이하 중대법) 시행 후 1년이 지났다. 정부의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에는 지난해 산업 현장 사망자가 전년 대비 다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지만, 여전히 산업 현장에는 안전사고가 항상 상존해 있다. 이에 대해 중대법 실효성 논란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중대법 확대 시행은 앞으로 1년이 남았다. 조규오 엠볼트 대표이사는 “중소·중견기업 입장에서 안전사고 발생은 기업 운영에 치명적이다. 많은 부분에서 피해를 야기하지만, 특히 사업장 관계자의 사기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기업 관리자는 항상 현장 안전관리에 총력을 다한다. 산업안전은 백 번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라고 역설했다. 산업 현장 핵심 공구인 그라인더는 안전보건공단이 발표한 안전사고 유발 공구 통계에서 39.78%로 압도적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라인더 가이드를 자사 대표 현장 안전 솔루션으로 소개한 조규오 엠볼트 대표이사를 만나 이야기를 나눴다. Q. 엠볼트(前 미래LNS)가 출범한지 올해로 16년이 됐다. 엠볼트는 그동안 어떻게 사업을 그려왔는
오토닉스와 모빌린트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제조업 분야 자동화 및 산업 고도화를 실현하기로 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MOU 체결식 서울 마곡 소재 오토닉스 R&D 센터 진행됐다. 양사는 박용진 오토닉스 대표이사와 신동주 모빌린트 대표이사가 참석해 ‘AI NPU 기반 제품 개발’을 목표로 손잡게 됐다. 오토닉스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산업용 제품 및 소프트웨어 핵심 기술에 AI를 접목한 인공지능 기반 자동화 제품을 단계적으로 개발한다. 이를 통해 생산 공정 자동화을 토대로 생산성 향상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양사는 다양한 정부 지원 사업에 참여해 산업 고도화를 이끄는 데 기여할 계획이다. 오토닉스 관계자는 “최근 AI 기술의 적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 업무협약은 AI 기술 내재화 및 고도화로 오토닉스의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좋은 기회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도 전자 기반, ICT 등에서 다양한 기술 기업과 협업해 자동화 산업의 변화를 이끌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오토메이션월드 최재규 기자 |
디케이지앤씨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3, 이하 AW 2023)’에 참가해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와 AI가 결합된 ‘RPAI(현장 및 사무실 업무 자동화)’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소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사흘간 코엑스 A,B,C,D홀 전관에서 개최되며, ‘We connect your factory’를 테마로 스마트제조부터 탄소중립까지 지속가능한 디지털 혁신을 선보인다. 디케이지앤씨는 자동화 산업이 지속 요구되고 있는 상황에서 업무 자동화 혁신을 위한 기술 및 솔루션을 개발하는 소프트웨어 회사다. 업무 자동화 솔루션인 RPA의 개발·구축·운영 서비스를 제공한다. 디케이지앤씨는 로봇을 활용해 작업 현장뿐만 아니라 사무실 환경에서까지 고객에게 업무 혁신을 가져다주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디케이지앤씨가 이번 전시회 부스에서 소개하는 제품 및 솔루션은 ‘하이퍼 오토메이션’ 플랫폼이다. 하이퍼 오토메이션은 현장 및 사무실 등 모든 환경의 업무를 자동화하
에스디티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3, 이하 AW 2023)’에 참가해 산업용 에지 컴퓨팅 기술을 소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사흘간 코엑스 A,B,C,D홀 전관에서 개최되며, ‘We connect your factory’를 테마로 스마트제조부터 탄소중립까지 지속가능한 디지털 혁신을 선보인다. 에스디티는 산업 DX 솔루션 및 양자표준기술을 다루는 기업으로, 산업용 에지 컴퓨팅 솔루션을 통해 디지털 혁신을 도모하고 있다. 에스디티는 HW/SW, 프라이빗 클라우드, 보안 솔루션 등 에지 컴퓨팅에 필요한 요소를 제공한다. 에스디티가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솔루션은 에지 컴퓨팅 노드(Edge Computing Node) 시리즈다. 해당 시리즈는 컴퓨팅 및 분산 컴퓨팅에 최적화된 HW/SW로 구성돼 있다. 데이터 수집 및 분석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사용자 체감을 높인다. 중앙 집중화된 데이터센터나 클라우드로 연동 시 대역폭을 최적화해 분산 컴퓨팅을 제공한다. 전시회 부스에는 ‘ECN-B
위즈코어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3, 이하 AW 2023)’에 참가해 데이터를 활용해 제조안전생산을 관장하는 플랫폼을 들고 나와 디지털 전환 대응을 준비하는 참관객에게 맞춤 솔루션을 소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사흘간 코엑스 A,B,C,D홀 전관에서 개최되며, ‘We connect your factory’를 테마로 스마트제조부터 탄소중립까지 지속가능한 디지털 혁신을 선보인다. 위즈코어는 빅데이터·스마트 팩토리 산업에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 제조 데이터 분석 솔루션을 개발해 저변 확대를 이어가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해 5월 위즈코어를 글로벌 ICT 미래 유니콘 기업으로 선정했다. 이는 위즈코어의 스마트 팩토리 분야 기술 및 경험 수준의 단면을 보여준다. 위즈코어는 이번 전시회에서 제조통합 모니터링 플랫폼 ‘NEXPOM’, 생산관리 솔루션 ‘WINO’,안전문서 관리 플랫폼 ‘SAFELY’를 선보였다. NEXPOM은 MES, SPC, EM
인텍플러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3, 이하 AW 2023)’에 참가해 제품 품질관리를 위한 하드웨어 제품군을 전시해 참관객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사흘간 코엑스 A,B,C,D홀 전관에서 개최되며, ‘We connect your factory’를 테마로 스마트제조부터 탄소중립까지 지속가능한 디지털 혁신을 선보인다. 인텍플러스는 반도체 Mid-End 공정, Display, 전기자동차용 2차전지 분야 외관 검사 장비를 다루는 기업이다. 최근에는 스마트 펙토리 규현에 필수적인 모듈사업(3D 센서 솔루션)으로 사업을 확장했다. 인텍플러스는 빠른 검사속도, 정확한 검사품질‘을 모토로 사업을 진행 중이다. 인텍플러스가 전시회에서 집중 조명받은 제품은 ’i3D-800’ 3D 비전 센서, ‘iSAF-200’ 오토포커스 모듈 인디케이터, ‘Frame Grabber’ 비전 시스템 등을 소개했다. 특히 타사 다관절 로봇에 i3D-800을 부착한 시연 모델을 통해 참관객의 이해를
삼정오토메이션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3, 이하 AW 2023)’에 참가해 다관절 로봇에 특화된 Flameless 모터, EtherCAT 모션 컨트롤러 등 산업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사흘간 코엑스 A,B,C,D홀 전관에서 개최되며, ‘We connect your factory’를 테마로 스마트제조부터 탄소중립까지 지속가능한 디지털 혁신을 선보인다. 삼정오토메이션은 축적된 Motion 솔루션 레퍼런스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3sTs(Motion,Vision,기구 Module) 솔루션을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반도체, 모바일 산업용 장비에 기초가 되는 삼정의 Motion Controller, Aligner Vision S/W 기술력은 산업 솔루션 구현 및 최적의 기술을 고객에게 제공한다. 삼정오토메이션은 전시회 부스에서 ‘SYT Flameless Motor’, ‘SJDD 시리즈’ 제어용 모터와 XMC-PCIe/EtherCAT 모션 컨트롤러 등을 소개했다. SYT F
마크베이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3, 이하 AW 2023)’에 참가해 현장의 공정 정보처리 인터페이스 구축에 필요한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사흘간 코엑스 A,B,C,D홀 전관에서 개최되며, ‘We connect your factory’를 테마로 스마트제조부터 탄소중립까지 지속가능한 디지털 혁신을 선보인다. 마크베이스는 산업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데이터 관리 및 분석 시계열 데이터베이스를 개발하는 기업이다. 자사 데이터베이스로 고객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겠다는 목표로 사업을 진행 중이다. 마크베이스는 전시회에서 시계열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한 ‘인공지능 솔루션’, ‘엣지마스터’, ‘시계열 데이터베이스 관리 소프트웨어’ 등 세 가지 솔루션을 들고 나왔다. 특히 부스에서 센서 업체 ‘터크’와 협력해 정보처리 인터페이스 구축용 솔루션 데모 제품을 소개했다. 마크베이스 관계자는 정보처리 인터페이스를 10분 내로 구축하는 것이 해당 솔루션
클로봇&로아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3, 이하 AW 2023)’에 참가해 자동화 물류 SW, 물류로봇, 로봇물류센터 등의 솔루션을 이번 전시회에서 공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사흘간 코엑스 A,B,C,D홀 전관에서 개최되며, ‘We connect your factory’를 테마로 스마트제조부터 탄소중립까지 지속가능한 디지털 혁신을 선보인다. 클로봇은 로아스의 모회사로, 자율주행 및 통합 AI 소프트웨어 전문 기업이다. 로아스는 산업용 로봇 및 ROS기반 연구개발용 로봇 솔루션 기업이다. 양사는 이번 전시회에서 로봇물류자동화를 주제로 제품 및 솔루션을 소개했다. 클로봇&로아스는 물류 AGV(Automated Guided Vehicles) ‘RT-30’을 선보였다. RT-30은 최대 30kg까지의 토트박스를 나르는 물류 로봇이다. 사용자는 QR코드를 활용해 로봇의 경로를 설정한다. 옵션 추가 시 작업자 보호 기능 등을 발현하는 센서를 탑재할 수 있다. 클로봇&a
한국전자기술연구원(이하 KETI)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3, 이하 AW 2023)’에 참가해 자체 개발한 자동화 생산설비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사흘간 코엑스 A,B,C,D홀 전관에서 개최되며, ‘We connect your factory’를 테마로 스마트제조부터 탄소중립까지 지속가능한 디지털 혁신을 선보였다. KETI는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전자·IT분야 전문생산연구기관으로, 중소중견기업에 기술, 역량, 인프라 등을 제공해 기업 성장에 플랫폼 역할을 한다. KETI 신희동 원장은 최근 글로벌 산업 전환 요구는 KETI에게 위기이자 기회이기에 맞춤 연구 및 기업지원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KETI가 이번 전시회에서 공개한 제품은 KETI가 자체적으로 개발한 자동화 생산설비 솔루션이다. 해당 솔루션은 낱알 및 액체 제품 생산 시 활용하는 설비다. 대시보드에 주문을 입력하면, 병이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면서 내용물이 채워지고 뚜껑이 닫힌 후 상자에 담기는 과정을
물류로봇 구독 서비스(RaaS) 생태계 구축 도모 물류로봇 도입 비용 및 운용 효율성 확보 기대 티라로보틱스와 SK쉴더스가 물류로봇 구독 서비스(RaaS)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양사의 이번 업무협약은 MOU 체결은 RaaS 구현을 목표로 한다. 기업이 물류로봇을 도입할 때 비용 및 운용 효율성을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기업은 계약기간 동안 월 또는 연 단위로 구독료를 지불해 양사의 RaaS를 이용한다. RaaS는 로봇 제공 서비스와 더불어 SW 업데이트, 유지관리 등 관리 서비스도 함께 제공한다. 김윤호 SK쉴더스 성장추진실 실장은 “SK쉴더스의 인프라망과 티라로보틱스의 자율주행 물류로봇 기술의 이번 결합으로 다양한 현장의 물류로봇 보급 확대가 기대된다”고 전했다. 티라로보틱스는 이번 MOU 체결을 통해 자율주행 물류로봇 전반에 관한 부분을 관장한다. 이를 바탕으로 기업에 제공하는 로봇 서비스 범위를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정하 티라로보틱스 공동대표이사는 “양사가 보유한 전문지식과 노하우는 RaaS 구현을 위한 시너지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번 MOU 체결이 물류 자동화 분야에 특화된 로봇 서비스 모델을 발굴할
공장 자동화 로봇 솔루션 제시 클로봇이 자회사 로아스와 ‘2023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에 참가해 물류 로봇 자동화 서비스를 소개한다고 28일 밝혔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은 스마트팩토리 및 자동화 전시회다. 올해 전시회는 내달 8일부터 10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한다. 전시회에서는 스마트팩토리·빅데이터·인공지능(AI)·클라우드 컴퓨팅·산업용 로봇 등 최신 솔루션과 기술을 공유할 예정이다. 클로봇과 로아스는 지난 1월 제조물류로봇시장에 대응하기 위해 공동으로 물류로봇조직을 신설했다. 양사의 노하우와 강점을 통해 공장 및 물류센터에 활용하는 로봇 기술을 공급해 올해 약 50개 이상의 고객 확보를 목표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클로봇-로아스는 전시회에서 무인운반차(AGV), AI 3D 비전 등을 중점으로 가상 자동화센터를 구현해, 공장 자동화를 위한 로봇 솔루션을 참관객에게 소개한다. 양사가 구성한 오픈형 물류로봇 전문 플랫폼을 기반으로, 이기종 물류로봇 관리 소프트웨어 ’크롬스 로지‘, 범용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카멜레온‘ 등도 함께 선보일 예정이다. 구성희 물류로봇사업본부장은 “물류분야 신사업 착수 이후, 수 개월 간의 준비를 통해 클로봇이 제
자사 자율이동로봇 ‘모비(Moby)’에 우선 적용 뉴로메카가 산업기기 화재 시 활용 가능한 화재 대응 솔루션을 개발했다고 지난 2월 27일 밝혔다. 뉴로메카는 최근 잦은 이슈가 되는 배터리 및 전자기기 화재 등에 대해 대응 가능한 솔루션을 개발했다. 해당 솔루션은 ‘씨텍 주식회사’가 개발한 소화약제를 적용했고, 전기차·생산 및 운송 현장·전기 장치 화재 등 비전도 소화가 요구되는 현장에 활용될 예정이다. 솔루션은 절연 성능을 활용한 피해 최소화, 액체형 약제로 질식 등 인명 피해 최소화, 부식 방지 피해 최소화, 겨울철 성능 저하 방지, 전자 이동 방해 소재로 화재 확산 방지, 뛰어난 침투력으로 빠른 소화 등의 특징이 있다. 뉴로메카는 해당 솔루션을 자사 자율이동로봇인 ‘모비(Moby)’에 우선 적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를 기반으로 앞으로 해당 솔루션이 적용된 로봇 및 시스템을 지속 출시할 계획이다. 오토메이션월드 최재규 기자 |
3월 8일(수) 코엑스 컨퍼런스룸 203호에서 진행 자동화 시대 현안과 대응 방안 논의할 예정 우리나라 로봇 정책과 다양한 산업에서의 로봇 활용 사례, 앞으로 로봇의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는 '제6회 로보틱스 컨퍼런스'가 개최한다. 로보틱스 컨퍼런스는 오는 3월 8일(수) 오전 10시부터 코엑스 컨퍼런스룸 203호에서 진행된다. 스마트팩토리, 무인기기, 자율주행기술 등 자동화 시대가 도래한 지금, 산업 및 생산 현장부터 우리의 일상까지 로봇의 필요는 날로 증가하고 있다. 비로소 로보틱스 4.0 시대가 개막한 것이다. 로보틱스 4.0 시대에는 사이버물리시스템(CPS) 상의 PDCA(Plan-Do-Check-Action)/ISM과 가치(V)라는 관점이 결합한 모델이 산업 전반의 방향을 전환할 전망이다. 특히, 로봇은 공급망 운영 개선과 기존 공급력 한계를 해소할 잠재력이 있다고 평가된다. 로봇은 고객 요구 부응, 생산성 증대, 위험 감소, 비용 절감, 데이터 수집 개선 등 기존과 다른 새로운 이점을 제공한다. 전문가들은 로봇이 저부가가치·잠재위험·고위험 작업을 수행하는 공급망 운영에서 앞으로 5년간 강력한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우리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