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인간의 감각을 뛰어넘는 적외선 센서 개발은 새로운 세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열화상 카메라, 생의학 이미징, 야간 투시경, 정보통신, 군사시설 등 최신 다기능 시스템 개발에 활용될 수 있어 주목받는 분야다. 광주과학기술원(이하 지스트) 신소재공학부 김봉중 교수 연구팀이 전이 금속 산화물(전이금속에 산소원자가 결탁한 화합물)의 하나인 이산화바나듐(VO2의 화학식을 갖는 물질로, 섭씨 68도를 기준으로 그 이하에서는 절연체, 그 이상에서는 도체의 성질을 가짐) 단결정 나노 입자를 이용한 새로운 원리로 나노초만에 작동하는 고성능 적외선 센서를 개발했다. 현재까지 적외선 광 검출의 성능은 전자-정공 쌍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좁은 밴드 갭(반도체와 절연체에서, 가전자대와 전도대간의 에너지 영역)과 작동 메커니즘을 가지는 소재와 구조에 의해 결정되어왔다. 따라서 지금까지 개발된 물질과 작동 메커니즘으로는 적외선 광센서의 주요성능지수를 향상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 김봉중 교수 연구팀은 과다 수소 도핑(doping)된 준안정 상태의 단결정 HVO2 나노입자를 적외선 센서에 최초로 적용하였다. 일반적으로 이산화바나듐(VO2)이 수소 도핑이 되면 금속
[첨단 헬로티] 두산공작기계가 기존 PUMA 600/700/800 시리즈를 업그레이드 하여 대형 수평형 터닝센터 라인업을 새롭게 구축했다. PUMA 600/700/800 II 시리즈는 대형 복합 가공물에 최적화 되어 있으며, 경사 형 베드 구조로 칩 처리가 용이하며 최대 가공경 Ø900mm, 최대 가공 길이 5050mm로 동급 최대의 가공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두산공작기계 수평형 터닝센터 PUMA 700LM2 이번 시리즈는 2축부터 200mm(±100mm)의 직교형 Y축까지 기능을 제공하여 복잡한 형상의 대형 부품 가공이 가능하다. 심압대의 경우, 셋업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가공물 크기에 따라 쉽게 심압대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프로그래머블 타입을 표준 적용하여 생산성을 향상 시켰다. PUMA 600/700/800 II 시리즈는 동급 기준 최대 가공 영역을 제공한다. 2축/M 장비의 경우 최대 가공경 Ø900mm을, Y축 장비의 경우 최대 가공 길이 5050mm를 제공하여 대형 부품 가공에 적합하다. 더불어 여러 크기의 파이프 가공이 가능하도록 최대 Ø375mm(PUMA 800B II 기준) 범위 내
[첨단 헬로티] 마우저 일렉트로닉스(이하 마우저)가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의 STM32L5 초저 소비전력 마이크로컨트롤러를 공급한다. STM32L5 시리즈는 Arm TrustZone 하드웨어 기반의 보안 성능이 결합된 Arm Cortex-M33 코어를 기반으로 설계되어 일련의 보호 기능을 제공하며, 고속 메모리가 내장되었다. 고성능, 초저 소비전력의 특징도 갖췄다.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의 STM32L5 초저 소비전력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우저가 공급하는 STM32L5 마이크로컨트롤러의 부동 소수점 장치(FPU)가 있는 32비트 Cortex-M33 코어는 전체 DSP(디지털 신호 처리) 명령과 애플리케이션 보안을 개선하는 메모리 보호 장치(MPU)을 구현한다. 이 밖에 STM32L5 제품군은 Arm으로부터 PSA 레벨 1 및 레벨 2 인증서를 획득했다. STM32L5 소자에는 고속 메모리(플래시 메모리 최대 512KB, SRAM 256KB)가 내장되었으며, 유연한 정적 메모리용의 외부 메모리 컨트롤러(핀 100개 이상의 패키지를 갖춘 소자용)도 갖췄다. 그 외에도 Octo-SPI 플래시 메모리 인터페이스 및 확장된 I/O뿐만 아니라 APB 버스 2
[첨단 헬로티] NXP반도체(이하 NXP)가 신규 자동차용 디지털 키 솔루션을 발표했다. 이 솔루션은 스마트폰, 키 포브(key fob, 스마트키), 기타 모바일 장치가 자동차와 디지털 키를 안전하게 통신, 저장, 인증 및 공유할 수 있게 지원한다. 또한 키 공유, 멀티 카 액세스, 운전 권한 설정 등과 같은 새로운 기능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보안 기반을 제공한다. 이번 솔루션은 NXP의 자동차 등급 시큐어 엘리먼트(SE)와 NFC 칩세트를 기반으로 구축된 솔루션으로, CCC(Car Connectivity Consortium) 표준화 릴리스 2를 준수한다. CCC의 표준화 릴리스 2는 세계 유수 자동차 업체, 스마트폰 제조사 및 전자 장치 납품 업체로부터 승인을 받은 아키텍처다. 이번 디지털 키 솔루션을 통해 NFC가 지원되는 스마트폰, 키 포브, 또는 디지털 키가 들어간 NFC 스마트 카드로 자동차 문을 열고, 시동을 걸 수 있다. 또한, 다른 모바일 장치와 자동차 액세스를 안전하게 공유할 수 있는 첨단 기능으로 시큐어 카 액세스 생태계를 실현할 수 있으며 기존의 원격 또는 수동 개폐 시스템에 원활하게 추가할 수 있다. NXP의 시큐어 엘리먼트는 모바일과
[첨단 헬로티]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하 ETRI)은 2019년 한 해 동안 국제표준특허 43건을 확보하면서 총 누적 국제표준특허가 871건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 외에도 국제표준 제정 39건, ETRI 국제표준특허 반영 기고서 21건, 신규 국제 의장단 61석을 확보하며 국내 기관 중 최고 수준의 표준화 실적을 기록했다. R&D 과정에서 특허를 확보하고 이를 국제 표준으로 만드는 노력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새로운 표준과 기술을 한 번 사용하기 시작하면 다른 기술로 대체하기 어려워 잠금 효과가 발생하고 이에 따른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표준화 활동이 ‘총성 없는 전쟁’, 국제표준특허가 ‘황금알을 낳는 거위’에 비유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ETRI는 그간 이동통신, 방송통신, 사물인터넷(IoT) 분야 등 ICT 융합기술 분야에서 국내 시장 수요를 반영해 국가 차원의 표준화 대응을 착실히 수행해 왔다. 특히 연구원은 국내 기업 및 기술들이 신시장에 진출해 경쟁력을 갖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표준화 활동에 집중하고 있다. 이렇게 연구원이 확보한 국제표준특허에는 5G 이동통신 분야가 가장 많았으며 예년에
[첨단 헬로티]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국민 눈높이를 반영한 R&D 과제를 선정하기 위한 ‘중기부 R&D 국민평가단’(이하 국민평가단)을 3월 11일부터 모집한다. 중기부는 2019년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 100’ 최종 선정 시 국민평가단을 최초 운영한 바 있다. 당시 국민평가단은 최고의 전문성을 가진 선정심의위원과 유사한 수준의 평가결과를 보이는 등 국민을 대표해 고도의 집중력과 높은 전문성을 발휘했다는 평을 받았다. 이에 따라, 중기부는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 100 프로젝트’를 통해 효과가 입증된 국민평가단을 국민 생활에 밀접한 문제를 해결하고, 정책적 중요도가 높은 5개 R&D 사업에도 확대해 도입한다. 국민평가단은 각 사업별로 과제를 최종 선정하는 평가에 전문가 위주로 구성된 평가위원들과 협업해 평가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신청과제에 대한 의견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중기부는 평가과정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부 R&D가 국민의 눈높이에 맞게 선정돼 실생활에서 국민이
[첨단 헬로티] 공작기계 및 통신장비 제조 전문기업 스맥은 통영시의 해양재난 예방시스템에 공급한 CCTV 영상보안 암호화솔루션 ‘SABER-VS’ 장비가 준공 완료됐다고 3월 10일 밝혔다. SABER-VS 솔루션은 영상 정보 및 사생활 침해 방지를 목적으로 개발한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제품이다. 시스템 구축으로 인한 기존 네트워크의 설정 변경 및 서비스 중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인라인모드도 제공해 편의성을 더했다. SABER-VS 솔루션은 국정원 CC인증 제품으로 조달청과의 공급계약을 시작으로 공공분야 보안사업 진출을 확대해 가고 있다. 지난 2017년 구축된 통영시 해양재난 예방시스템은 2019년 확대 구축을 통해 영상정보의 보안을 강화하고 있다. 자연재해, 해양오염 및 도난 등과 같은 해양 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도서지역 17개소에 CCTV를 확대 설치했다. 해양 사고 및 재난 대처에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CCTV 영상정보를 암호화해 해킹을 통한 영상정보 유출,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도록 했다. 해양재난 예방시스템 CCTV의 영상정보는 유사시 국가재난통신망은 물론, 통영시 종합상황실과 통영경찰서, 해양경비안전, 군
[첨단 헬로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하 KISTI)의 국가과학기술연구망(이하 KREONET)이 3월 9일 미국 CENIC(미국 캘리포니아 연구교육망)의 ‘2020 CENIC 응용연구부문 네트워킹 혁신상’을 수상했다. 1988년부터 KREONET을 운영하고 있는 KISTI는 CENIC을 통해 지난 4년간 태평양연구플랫폼(Pacific Research Platform, 이하 PRP) 프로젝트에 참여하였으며, KISTI 연구진은 ScienceDMZ 기술을 통해 한-미간 100Gbps 대역폭 기반의 대륙 간 장거리 환경에서 99Gbps의 전송 성능을 달성할 수 있는 고성능 데이터 전송 환경을 구현하였다. 또한 국내에서 사이언스 슈퍼하이웨이(과학 빅데이터 전송) 플랫폼을 구축한 공로 등을 인정받아 상을 수상하게 되었다. 사이언스 슈퍼하이웨이 플랫폼은 과학 빅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연구기관을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국내에서는 입자물리 분야의 대형강입자충돌기(LHC, Large Hadron Collider) 연구, 천문분야의 전파망원경(SKA ,Square Kilometer Array) 연구, 한국형 초장거리전파간섭계 프로젝트인 e-VLBI 프로젝트
[첨단 헬로티]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하 철도연) 서승일 수석연구원이 ‘KRRI 최우수연구자상’을 수상했다. 철도연의 KRRI 최우수연구자상은 철도 과학기술인의 연구개발 의욕을 높이고, 연구원들의 철도기술문화에 대한 의식 향상을 위해 2011년부터 창립기념일에 수여하고 있다. ▲KRRI 최우수연구자상을 수상한 서승일 철도연 수석연구원 <사진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서승일 수석연구원은 급곡선, 급경사의 산악도로에서 폭설이나 결빙에도 운행할 수 있는 ‘세계 최초 무가선 산악트램 주행추진 및 궤도시스템 기술’을 비롯해 일반철도의 속도향상 기술, 철도와 해운을 연결하는 물류기술 등의 연구성과를 거두었다. 산악트램 주행추진 및 궤도시스템 기술은 지난해 교통신기술 인증 및 2019 대한민국발명특허대전 우수발명으로 선정됐고, 기업에 기술이전 등을 했다. 서승일 수석연구원은 이런 성과를 인정받아 2019년 은탑산업훈장도 수상했다. 서승일 수석연구원은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에서 박사학위(1994년)를 받고, 한진중공업을 거쳐 2002년부터 철도연에서 철도차량 및 기계 분야를 연구개발 중이다. 또한, 효율적 연구성과 확산을 통
[첨단 헬로티] 한국·스웨덴·그리스 등 6개국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미래 전자소자이자 양자컴퓨터 소재로 각광받는 위상절연체의 중요한 물리적 특성인 표면전자의 움직임을 밝혀냈다. 국제공동연구팀은 이를 위해 위상절연체의 원자 수준 구조를 초고분해능 수차보정 투과전자현미경, NMR(핵자기공명분광기) 등의 연구장비와 이론적 계산을 통해 분석했다. ▲KBSI 초고분해능 수차보정 투과전자현미경과 공동연구팀(연구장비운영부 장재혁 박사(왼쪽), 소재분석연구부 김해진 박사(오른쪽 앞), 연구장비개발부 이상철 박사(오른쪽 뒤)) <사진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위상절연체(Topological Insulator)는 내부가 절연체지만 표면에는 전기가 흐르는 특징을 가진 물질로, 2차원 상태에서 에너지 손실 없이 전기전도가 가능하여 미래 전자소자이자 양자컴퓨터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이하 KBSI) 소재분석연구부 김해진 박사 연구팀을 포함한 6개국 국제공동연구팀(한국, 스웨덴, 그리스, UAE, 슬로베니아, 폴란드)은 위상절연체인 비스무스-텔루라이드(Bi₂Te₃) 나노구조에서 소재 내부와 표면 전자에 의한 특성 변화를 다양한
[첨단 헬로티] 대우조선해양은 일본 MOL(Mitsui O.S.K. Lines)社와 ‘LNG-FSRU 디지털화를 위한 전략적 기술 공동 개발에 대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2월 26일 밝혔다. 이번 협력은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십 기술 개발이 한창인 가운데 세계적 수준의 선사와 조선업체가 손잡고 업계 최초 스마트 LNG-FSRU를 개발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소위 ‘떠다니는 LNG 터미널’로 불리는 LNG-FSRU(LNG Floating, Storage & Re-gasification Unit/부유식 LNG 저장 및 재기화 설비)는 육상터미널 건설 등 대규모 설비투자 없이도 천연가스를 공급할 수 있는 대표적인 고부가가치 선박이다. 양사는 선박 운항 효율과 편의성 그리고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스마트십 솔루션을 개발해 MOL의 LNG-FSRU에 이 기술을 탑재한다. 여기에는 각종 디지털화 기술이 접목된 대우조선해양의 자체 스마트십 솔루션이 적용돼 주요 장비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디지털 트윈을 기반으로 운전조건을 최적화 하는 등 스마트한 선박 운영 시스템을 구현한다. MOL은 현재 글로벌 최대 LNG운반선단을 포함, 총
[첨단 헬로티]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가 ‘1:1 현장코칭 숙련인력양성사업’에 참여할 중소기업과 구직자를 모집한다고 밝혔다. 중소기업은 신규인력의 빠른 현장 적응 및 기술숙련을 위한 내부 교육이 절실하나 교육시킬 인력과 시간이 모두 부족한 상황이다. 중기부는 이러한 현장의 어려움을 반영해 지난해 기술명장 등이 중소기업 현장을 직접 방문해 신규인력을 교육하는 ‘1:1 현장코칭 숙련인력 양성사업’을 신설했다. 올해도 지난해와 동일한 규모인 신규인력 총 350명에게 기술명장 등의 전문가가 1:1 현장 코칭을 지원할 계획이다. 사업에 선정되면 우선 기업과 구직자 매칭 지원을 받게 되고, 매칭 시 구직자는 최대 3개월간의 현장 실습기간 동안 명장 등 전문가 1:1 현장 코칭과 구직자 인건비를 지원받게 되며, 채용과 연계 시 우선 선정된다. 전문가 현장 직무코칭는 최대 12회, 회당 50만원을, 인건비지원은 최대 3개월, 월 60만원을 지원 받는다. 지난해 이 사업에 참여한 광주 소재 냉건업체 A사는 “예전에는 신규 직원을 냉동장비 유지보수 업무에 투입하기까지 3~5개월 정도 걸렸는데, 명장의 현장코칭(배관 손
[첨단 헬로티] 사이버보안 전문기업 포티넷코리아(이하 포티넷)가 자사의 7세대 네트워크 프로세서인 ‘NP7’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차세대 방화벽(NGFW) ‘포티게이트 1800F(FortiGate 1800F)’을 발표했다. 이 제품은 오늘날의 대규모 조직들이 전례 없이 큰 규모의 트래픽 처리 성능, 보안 위협 탐지, 제어 실행 능력을 확보하고, 진정한 내부 망 분리(internal segmentation)를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최근 기업들은 네트워크를 다시 제어하고 가시성과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내부 망 분리 기술’을 채택하고 있다. 하지만 네트워크를 효과적으로 분리하고자 하는 기업들은 새로운 과제를 안고 있다. 즉, 오늘날의 기업들은 기존 보안 솔루션으로는 해결이 어려운 인프라에 대한 높은 트래픽 처리 성능 요구에 직면해 있다. 대부분의 기업들이 구축한 전통적인 보안 어플라이언스는 보안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해 상용 CPU 및 하드웨어로 구축되었으며, 이는 인프라에 대한 병목현상을 일으켜 결국 사용자 및 애플리케이션 경험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낳게 된다. 포티넷의 포티게이
[첨단 헬로티] 금속-탄소 복합체는 얇고 선명한 화면을 만들 수 있는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나, 2차 전지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리튬 이온전지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금속-탄소 복합체는 제작 비용이 높았고 작은 금속을 얻기 위해 가스 형태의 위험한 전구체를 사용했다. 이에 한국해양대학교 강준 교수 연구팀은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안전한 방법을 개발하는 데 성공하였다. 연구팀은 금속 전구체와 물질을 유기용매에 첨가한 후 한 쌍의 금속와이어를 혼합된 유기용매에 배치하고 이 금속와이어 사이에 펄스화 된 바이폴라 직류전원을 인가하여 ‘플라즈마 방전’을 발생시킴으로써 금속-탄소 복합체를 제조했다. 이 제조법은 상온에서 액체 상태의 유기용매를 사용하기 때문에 안전하고, 탄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소재보다 성능이 우수하다. 강준 교수는 “플라즈마 방전을 통해 금속원자를 탄소지지체에 도핑하면, 금속 원자가 장시간 안정적으로 열화되지 않고 높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위험한 가스 형태의 물질을 사용하는 기존의 방법보다 안전하고, 매우 작은 금속을 계속적으로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며 “
[첨단 헬로티]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이하 지멘스)는 ‘심센터(Simcenter) STAR-CCM+’ 소프트웨어의 최신 버전을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심센터 STAR-CCM+는 심센터의 시뮬레이션 및 테스트 솔루션 포트폴리오의 일부로, 고객이 설계를 최적화하고 향상된 속도와 신뢰도를 바탕으로 혁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심센터 STAR-CCM+ 최신 버전은 주요 개선 사항을 통해 시뮬레이션 시간과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협업을 강화한다. 이를 통해 고객에게 종합적인 디지털 트윈을 제공해 예측성 높은 시뮬레이션을 구동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번 버전에서 지멘스는 업계 최초의 모델 기반 적응형 메시 세분화(AMR) 솔루션뿐만 아니라, 더욱 빠르고 효과적인 메싱을 위해 새로운 ‘평행 다면체 메셔’를 선보인다. 메시는 병렬 상태인 경우 직렬 상태일 때보다 최대 30배 더 빠르게 구축돼, 사용되는 코어에 관계없이 일관된 메시를 제공하며, 동일한 정확성과 견고성으로 더욱 효과적인 메시 분포를 제공한다. 새로운 적응형 메시 세분화 기술은 물리학을 기반으로 메시를 지능적으로 정제하는 업계 최초의 모델 기반 AMR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