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이동재 기자 | 엠아이큐브솔루션(대표 박문원·심효준)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엠아이큐브솔루션은 SF+AW 2021에서 제조현장에서 쓰이는 소프트웨어 제품들을 전시한다. SmartFactory는 수주부터 납품까지의 생산 활동을 관리하고 수집한 제조 데이터(정보) 분석을 통해 생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MES 솔루션이다. ▲생산 활동 전반에 대한 정보 제공 및 의사결정 지원 ▲생산 라인, 공정 간 상호 연계를 통한 시스템 통합 운영/관리 ▲생산 실적 정보 자동 집계, 자재 흐름 실시간 파악 등 Lot-Tracking ▲실시간 정보 공유를 통한 신속한 의사 전달 ▲생산/품질/자재/설비 이력 및 Lot/Order별 생산 이력 추적 관리 강화 ▲표준화된 업무 Process/UI/OI 적용 등 특징이 있다. SmartEES는 설비 효율 극대화를 위한 설비 엔지니어링 솔루션이다. RMS(Recipe Management System), EPT(Equipment Performan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여의시스템(대표 성명기)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여의시스템은 SF+AW 2021에서 산업용 컴퓨터 YOI-D720A를 전시한다. YOI-D720A Series는 컴팩트한 디자인의 인텔 10세대 산업용 컴퓨터다. 고객 맞춤형 산업용 컴퓨터에서 끝나지 않고 현장 관리자의 불편함을 해소해주는 퍼포먼스를 갖춘 컴퓨터로 생산성 향상 및 관리시간 감소로 FA현장에서 효율성을 증대시킨다. 4 x PCI Slot 또는 3 x PCIe (x8,x4,x4) 중 선택가능하며, 추후에도 Riser Card 변경만으로 손쉽게 구성 변경이 가능해 생산성 향상 및 원가절감이 가능하다. 탈부착 구조의 Storage(NVMe, SATA HDD)를 통해 프로그램 변경, 업그레이드, 복구 및 용량 확장시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다. 탈부착 구조의 먼지 필터 적용으로 손쉽게 수시로 먼지제거가 가능하다. 컴팩트한 디자인, 세워서 사용가능, 접이식 이동용 손잡이로 협소한 공간에서도 활용이 가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토마스케이블(대표 성호준)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토마스케이블은 SF+AW 2021에서 슬립링, 와우플렉스 등 제품을 전시한다. 슬립링(Slip RING)은 회전체의 전원, 신호를 공급하는 장치로, 회전체와 고정부간 전원, 전기적신호, 통신, 유공압, 고주파, 광 통신 등을 전송하는데 필수적인 제품이다. 톰스링은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슬립링의 핵심 부품인 Ring과 Brush의 품질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다양한 제품 테스트를 통해 최고 품질의 슬립링을 제공하고 있다. 핵심부품 품질관리 시스템으로 슬립링의 핵심 부품인 Ring은 4단계 재질강도, 정밀도, 표면상태, 도금상태, Brush는 5단계 재질강도, 선형성, 표면상태, 도금상태, 도금두께의 테스트를 통과한 자재만을 사용한다. ThomS-RING은 제품의 디자인, 가공, 생산 조립까지 전 과정을 함께하며, 반도체, 디스플레이의 도금, 코팅, 연마, Bonding, Packaging 등의
헬로티 이동재 기자 드림텍LMS(대표 이중무)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드림텍LMS는 SF+AW 2021에서 FSL40 리니어 모듈, 리니어 스테핑 모터 등 제품을 전시한다. FSL40 리니어 모듈은 FSL40 시리즈 리니어 모듈 제품이다. 개방형, 밀폐형, 반밀폐형 모듈로 구성돼 행정길이 1000mm까지 제작 가능하다. 정밀, 고성능, 체계적인 모듈시스템으로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작동이 가능하다. FSL40은 비용 대비 효율적인 스크류 선형 모듈이다. 개방형 구조로 가이드 레일 1개와 슬라이더 1개가 장착되어 있으며 스크류 로드의 양단은 베어링으로 고정되어 안정성을 높였다. 중간 및 저부하 및 중간 속도 요구 사항에 적합하며 사용 환경이 안정적이다. (모듈은 방진 및 방수없이 개방된다.) 리니어 스테핑 모터는 정밀, 고성능, 체계적인 모듈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1.8° 스텝각, 스텝 당 0.0006"(0.0015mm)에서 0.00157"(0.04mm)까지 다양한 범위의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한국IBM(이하 IBM)이 두산 디지털 이노베이션에 글로벌 보안 관제 센터 운영과 보안 컨설팅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략적 보안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IBM은 두산이 나날이 복잡해지는 위협 환경에 능동적으로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응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기술, 프로세스, 보안 인텔리전스, 자원, 평가 지표 및 보고를 아우르는 글로벌 통합 보안 솔루션 및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 계약으로 IBM은 두산 디지털 이노베이션의 글로벌 보안 관제 센터를 구축하고, 확장하기 위해 IBM 엑스포스 위협 관리(IBM X-Force Threat Management, XFTM) 프로그램을 전문 인력과 프로세스, 거버넌스 등이 포함된 운영기술 역량과 함께 제공한다. 또한 클라우드 팩 포 시큐리티를 도입함으로써 관제 센터의 프로세스를 선진화하고 자동화해 보안 관제 센터를 현대화하게 된다. 이를 통해 다양한 하이브리드 멀티 클라우드 기업 환경에 대한 통합 보안 역량을 제공하고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함께 수반되는 클라우드 전환에 대한 보안 가시성도 확보할 전망이다. IBM은 또 사이버 보안 설계자들과 함께 두산의 글로벌 산업 환경과 보안에 필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인텔의 자회사 모빌아이(Mobileye)가 지리홀딩그룹(Geely Holding Group)의 글로벌 프리미엄 전기 모빌리티 기술 브랜드 지커(ZEEKR)와 새로운 파트너십을 맺었다. 모빌아이와 지커는 ADAS(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 산업에서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하고, 첨단 지능형 차량 시장에 세계 최고 수준의 안전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모빌아이는 지커와 협력해 다양한 지커 모델을 위한 정교한 기능을 갖춘 고급 ADAS 시스템을 제작한다. 이번 협력은 올 4분기 모빌아이 슈퍼비전 (Mobileye SuperVision)을 탑재한 지커 자동차 출시와 함께 시작된다. 모빌아이 슈퍼비전은 11대의 카메라에서 들어오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두 개의 아이큐5(EyeQ5) 시스템온칩(SoC) 장치로 구동되는 풀 스택 ADAS 시스템이다. 아울러, 양사는 6개의 아이큐5 시스템온칩을 탑재한 차세대 시스템 분야에서 협력해 포괄적인 ADAS 경험을 위한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계획으로, 이르면 2023년 글로벌 시장에 첫 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암논 샤슈아(Amnon Shashua) 모빌아이 CEO 겸 인텔 부사장은 “자율주행의 미래에 대한 강력한
헬로티 이동재 기자 | 도요타의 미라이 2세대 신모델 판매량이 급증하면서 글로벌 수소차 시장에서 현대자동차를 뒤쫓았다. 현대자동차는 올해 1월 출시한 넥소 2021년형 모델 판매에 힘입어 43.9% 성장률을 기록했지만, 도요타에게 맹추격 당하는 처지에 놓였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7월까지 전세계 수소연료전지차 판매량이 2배 이상 급증해 1만 대를 웃돌면서 작년 연간 실적을 넘어섰다. 작년 수소차 연간 판매량은 1만대에 미치지 못했다. 글로벌 수소차 시장 성장세를 이끈 것은 도요타다. 도요타는 미라이 2세대 신모델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8.7배 가까이 급증하면서 시장 성장세를 이끌었다. 시장 점유율도 작년 9%에서 40%로 수직상승했다. 현대차는 올해 1분기 도요타에게 내주었던 1위 자리를 탈환한 후 계속 유지했지만, 점유율은 74%에서 51%로 떨어졌다. 이에 비해 혼다는 판매량이 소폭 반등한 데에 그쳐 점유율 하락세가 지속됐다. 현대차와 도요타 양강 구도가 고착화되는 가운데, 향후 혼다의 시장 입지가 더욱 급속도로 축소될 전망이다. SNE리서치는 “2020년 글로벌 수소차 시장의 왕자 현대차가 2021년 들어서도 1위를 달리고 있지만 압도적이었던
헬로티 이동재 기자 | 7월 판매된 글로벌 전기차 탑재 배터리 사용량 순위에서 CATL이 계속 선두를 유지한 가운데, LG에너지솔루션이 2위로 뒤따랐다. SK이노베이션은 지난 상반기에 이어 5위에 올랐다. SNE리서치가 글로벌 전기차 탑재 배터리 사용량 순위를 발표했다. 국내 3사는 7월에도 꾸준한 성장세를 기록했지만, 중국계 업체들의 공세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모습이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7월까지 세계 각국에 차량 등록된 전기차의 배터리 에너지 총량은 137.1GWh로 전년 동기 대비 2.4배 늘어났다. 2020년 3분기부터 시작된 전기차 판매 회복세가 이제는 완연한 성장세로 넘어가는 양상으로, 이러한 추이는 앞으로도 연말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1위 CATL과 4위 BYD를 비롯한 상당수 중국계 업체들이 견조한 추이로 시장 성장세를 견인했다. 중국 시장의 지속적인 팽창에 힘입어 중국계 업체들 대부분의 점유율이 상승했다. 반면, 3위 파나소닉을 비롯한 일본계 업체들은 시장 평균을 크게 밑도는 성장률에 그쳐 대부분 점유율이 하락했다. 국내 3사는 각 사의 성장률이 시장 평균 대비로는 일부 혼조세를 보인 가운데, 전체적으로는 점유율이 약간 내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열을 전기로 바꾸는 열전 발전기를 손톱보다 더 작게 만드는 기술이 개발됐다. UNIST 신소재공학부의 손재성·채한기 교수팀이 열전 발전기내의 열전 모듈을 수백 마이크로미터 크기로 작게 만드는 데 성공했다. 개발된 열전 발전 모듈을 초소형 전자기기에 적용하면, 독립적 구동이 가능해 사물인터넷이나 무선 센서, 착용하는 전자기기의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릴 수 있다. 열전 발전 모듈은 평편한 필름 형태 보다는 폭은 좁고 길이는 긴 필라멘트 형태가 더 좋다. 발전기 최대 출력이 모듈 내부의 온도차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존에는 3D 구조인 필라멘트 형태를 마이크로미터 단위로 작게 제작할 기술이 없었다. 연구팀은 3D 직접 잉크 쓰기(3D direct ink writing) 기술에 주목했다. 3D 직접 잉크 쓰기 기술은 손 글씨를 써내듯 정교한 동시에 미세한 입체 구조를 만들 수 있는 기술이다. 3D 직접 잉크 쓰기에 적합한 열전 소재 잉크 개발이 관건이었는데, 열전 소재 입자 크기와 그 분포를 조절해 고점도의 잉크를 만들 수 있었다. 또 입자 표면 전하 조절로 바인더를 첨가한 이후에도 점도 감소가 없었다. 강도 강화를 위해 넣는 바인더는
헬로티 이동재 기자 | 뉴로클(대표 이홍석)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뉴로클은 SF+AW 2021에서 AI 오토 딥러닝 비전 소프트웨어 제품을 전시한다. 뉴로클은 손쉽게 딥러닝 기반의 비전 검사 프로세스를 구축할 수 있는 오토 딥러닝 비전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있다. 뉴로클의 Auto Deep Learning Vision Software인 뉴로티&뉴로알(Neuro-T&Neuro-R)은 ▲오토 딥러닝 알고리즘(클릭과 드래그만으로 딥러닝 모델 자동생성) ▲데이터 관리 시스템(체계적인 학습 데이터 관리 구조) 등의 장점을 바탕으로, 전기/전자/반도체/PCB/배터리/자동차부품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기술 지식에 관계없이 손쉽게 기술을 도입할 수 있는 제품이다. 뉴로클은 인공지능 딥러닝 비전 기술을 바탕으로, 기술 사용이 어려웠던 일반 사용자까지 자유롭게 인공지능 딥러닝 기술의 효용을 누릴 수 있도록 GUI 기반의 딥러닝 비전 학습 소프트웨어(Neuro-T & Ne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오즈레이(대표 백홍기)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오즈레이는 SF+AW 2021에서 머신비전용 CMOS 카메라와 단파장 적외선 카메라(SWIR) 제품을 전시한다. 오즈레이의 산업용 카메라는 CMOS 이미지 센서와 고속의 영상 획득으로 정밀한 영상처리 솔루션에 최고의 성능을 제공한다. 탄탄한 내구성과 합리적인 비용을 자랑하며 고품질의 이미지를 수집해 각종 검사에서 높은 효율을 보여준다. 오즈레이의 단파장 적외선 카메라는 옅은 안개, 스모그, 반도체 웨이퍼 등 일부 매질을 투과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인간의 시력으로는 보이지 않는 영역대의 영상을 획득해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할 수 있다. 1984년에 앤아이피로 시작한 오즈레이는 MATROX Frame Grabber를 비롯해 산업용 카메라를 국내 시장에 공급해오고 있으며, 급변하는 국내 머신비전 시장에서 한발 빠른 기술 지원과 고객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산업용 단파장 적외
헬로티 이동재 기자 | 마크베이스(대표 김성진)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마크베이스는 SF+AW 2021에서 시계열 데이터베이스 관리 소프트웨어, 엣지마스터, 인공지능솔루션 등 제품을 전시한다. 마크베이스의 시계열 데이터베이스 관리 소프트웨어는 급증하는 IIoT기기의 데이터를 실시간 분석 및 모니터링 하기 위한 최적의 솔루션이다. 대용량의 데이터를 유용한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저장능력뿐만 아니라 분석과 통계가 가능한 새로운 관리방법이 대두되는 시점에 매우 적절한 제품이다. 엣지마스터는 마크베이스의 초고속 데이터 프로세싱 기술과 다년간 축적된 엣지 노하우가 결합된 솔루션으로 엣지를 단순히 게이트웨이로 활용하는 타 솔루션들과 달리 시계열데이터베이스를 내장해 로컬 기반의 압도적인 데이터 입력 속도와 실시간 추출 성능을 구현하는 제품이다. 인공지능 솔루션 AIoT Suite은 산업용 IoT에 최선의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결합해, 설비의 상태를 단순 모니터링하는 수준에서는 불가능했던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지엠아이티(대표 한양희)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지엠아이티는 SF+AW 2021에서 무선 IoT 모니터링 시스템을 전시한다. 지엠아이티는 무선 IoT 기반의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무선 IoT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해 고객사에 적용,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에 기여하려 하고 있다. 기존에 수천개의 감지기를 유선으로 연결하기 위해 대규모의 통신케이블 공사가 필요했으며, 대부분의 케이블 공사는 높은 곳 작업과 환기구 작업이 요구되어 작업자의 추락, 전도, 감전과 같은 위험 요소가 상존했다. 또 케이블 생산할 때 이산화탄소가 발생하고 사용 후 폐기할 때 환경 오염을 야기하는 문제도 있다. 지엠아이티가 개발한 무선 IoT 모니터링 시스템은 통신케이블이 필요 없어 작업자의 안전과 환경을 지키는 ESG 경영의 모범 사례로 주목을 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구축 비용을 30% 이상 절감하는 효과도 있다. 현재 시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세인플렉스(대표 한창수)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세인플렉스는 SF+AW 2021에서 자기식 인코더 제품을 전시한다. 세인플렉스는 지난 20년간 축적한 다극착자 기술을 바탕으로 IC-Haus에 적용되는 MU시리즈의 인코더 마그넷 다극자석 라인업을 완성했다. 세인플렉스의 인코더용 마그넷 라인업 종류는 IC-Haus Chip의 MU, MU150, MU200 총 3종이며 현재, 3가지 라인업이 모두 양산 중이다. 세인플렉스는 기존 외산 수입 제품으로 의존하고 있던 인코더 마그넷을 국내 최초로 국산화했으며, 국산화를 통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되는 부품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코로나19 상황 속에서도 작년 대비 상반기 인코더 매출이 향상됐으며, 2020년 한 해 성장이 고무되고 있다. 또한 중간정지에 의한 장비 안전성 확보 및 다점 위치결정이 가능하며 반복 위치정도의 정밀도가 높고(±20μm) 다양한 MOTOR(Servo, Step, BLD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엠티에스이(대표 이봉호)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엠티에스이는 SF+AW 2021에서 스마트 엑추에이터, 티엠로봇 등 제품을 전시한다. 엠티에스이의 스마트 엑추에이터는 공압 Cylinder 대비, Co2 배출량이 70% 격감되며, 소비전력도 70% 절감효과가 있다. 유공압 시스템 등과 같이 힘이 필요한 경우에도 대체할 수 있는 고추력용 Actuator로서 기능도 가능하다. 또한 중간정지에 의한 장비 안전성 확보 및 다점 위치결정이 가능하며 반복 위치정도의 정밀도가 높고(±20μm) 다양한 MOTOR(Servo, Step, BLDC)의 취부로 속도변동 등 가감속 구현이 용이하며 다축의 동기 운전도 가능하다. 티엠로봇은 인간과 기계의 협업에 높은 호환성과 유연성을 제공하는 고성능 생산 도구다. 엄격한 작업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더 많은 인력이 필요한 기존 산업용 로봇에 비해 비교적 번거로움 없이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엠티에스이는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