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이동재 기자 | 한국두성(대표 박성현)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한국두성은 SF+AW 2021에서 화상처리 유닛 탑재형 표면결함검사 시스템을 전시한다. 화상처리 유닛 탑재형 표면결함검사 시스템은 고속 라인 센서 카메라를 사용한 시트 소재 연속검사 및 시트 검사장치로 차세대 표준 검사장치다. 고기능/고성능 화상처리유닛이 탑재돼 있으며, 검사제어부는 연속 24시간 생산에도 문제없는 안정검사, 안심설계로 되어 있다. 병렬처리능력으로 경이적인 처리속도를 발휘하고, 터치패널이 있어 직감적인 조작이 가능하며, 19인치 검사화면 표시용 디스플레이가 탑재되어 있어 실시간으로 검사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필름, 종이, 플라스틱, 유리, 부직포, 금소 소재, 그 외 시트 소재의 결함을 특징별, 사이즈별로 나눠서 MAP표시 및 결점화상을 표시한다. 한국두성은 일본 VESSEL社의 이오나이저(정전기 제거장치)와 핸드툴 및 비트, 일본 프런티어 시스템社의 광학 결점/이물 검사 장비, HARA
헬로티 이동재 기자 | KLT(대표 양윤종)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KLT은 SF+AW 2021에서 블루투스 자동 그리스 주유기, 기계식 자동그리스 주유기, IoT 그리스 시스템 등 제품을 선보인다. 블루투스 자동 그리스 주유기 Pulsarlube BT는 Bluetooth 통신 기술을 적용해 사용자가 설치 장소에 접근하지 않고 근거리(5~20m)에서 사용자 모바일기기(단말기)를 이용해 주유기의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한 제품이다. ▲모바일 APP을 이용한 간편한 주유기 동작 제어 가능 ▲근접거리 내 모든 주유기 작동 상태 모니터링(실시간 페어링)/설비 작동 중 모드 설정 변경 가능 ▲모바일 기기와 서버간의 DB 공유 ▲위험한 지역 또는 관리가 쉽지 않은 적용처의 원격 모니터링 관리 ▲높은 토출 압력으로 6미터 이내 원격 설치 가능 / 다양한 용량과 유종 적용이 가능 ▲FCC, KC, CE 등 다수 인증 확보 / 생활 방진 방수 주유기(IP65) 등 특징이 있다. PLC 연동형
헬로티 이동재 기자 | 링크제니시스(대표 정성우)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링크제니시스는 모니터링 솔루션, 딥러닝 기반 영상분석 솔루션, 테스팅 RPA 솔루션 등 서비스들을 선보인다. 모니터링 솔루션 ‘LOOKAZ’는 설비/센서/공정 데이터 수집, 분석 및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마트 공장 구축 기반이 되는 솔루션이다. 생산 설비 데이터 수작업 운영의 자동화, 데이터 분석 및 누적 관리가 필요한 제조기업에 기존 설비의 교체없이 도입이 가능하며, 현장 진단 컨설팅부터 사후 유지보수까지 고객의 환경에 맞게 적용 가능한 맞춤형 토탈 솔루션을 제공한다. 딥러닝 기반 영상분석 솔루션 ‘VLAD(Vision Learning for Advanced Detection)’는 딥러닝 기반의 인공지능 영상 분석용 소프트웨어 솔루션으로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는 반도체 공정, 각 부품마다 다른 생산공정을 거치는 자동차 부품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전자, 이차전지, 식품, 보안, 의약 분야 등 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정부가 국내 중소·중견기업이 개발한 혁신기술이 국제표준으로 제정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기업과 표준전문가를 일대일로 짝지어 컨설팅을 받게 하는 방식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2일, 4차 산업혁명 분야 혁신기술을 개발한 중소·중견기업 17개사와 국제표준 컨설턴트 17명을 매칭하는 ‘표준화 지원 매치업 사업’ 협약식을 개최했다. 표준화 지원 매치업 사업은 혁신기술을 개발한 기업에 해당 분야 국제표준화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를 연결하는 사업으로 한국표준협회가 주관기관으로 참여한다. 중소·중견 기업과 짝지어진 국제표준 컨설턴트는 국제표준화 과정에서 기업이 가장 어려움을 겪는 표준안 작성·검토, 관련 정보수집, 해외 전문가 네트워크 구축 등 제반 사항에 대한 지원과 자문을 제공한다. 본 사업은 2019년 수립한 ‘4차 산업혁명 시대 국제표준화 선점 전략’의 일환으로 지난해 시작됐으며 올해로 2회차다. 올해는 지난 5월 실시한 공모를 통해 국제표준화 필요성과 성공 가능성이 높은 17개 혁신기술 개발 기업을 지원대상으로 선정했다. 전기차 분야에서 ‘이차전지용 알루미늄 파우치 필름에 대한 반복하중 물성평가기술’을 개발한 탑앤씨, 디스플레이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크레켄(대표 박광남)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크레켄은 SF+AW 2021에서 방수커넥터, 로터리 엔코더 등 제품을 전시한다. 방수커넥터는 방수/방진 분야의 최적의 커넥터 솔루션 제품으로, 방수/방진 환경이 요구되는 공장자동화, 의료산업, 통신, 철도, 에너지, 선박 등의 분야에 사용된다. 고온, 저온, 내화학성이 요구되는 특수 환경에 적합한 방수/방진 등급 IP67~IP69K 제품이다. 주요 제품군으로는 M시리즈 원형커넥터 / 푸시풀(Push-Pull) 커넥터 / 케이블그랜드 등이 있다. 독일에서 제조되는 크레켄 로터리 엔코더 제품은 EnDra 기술을 활용해 전원 차단 시에도 위치 정보가 유지되며, 별도의 배터리나 기어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콤팩트한 제품이다. 특히 절대형 엔코더의 경우 CANopen, SSI, Profinet, EtherCAT 등 다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자동화 장비, 식음료 장비, 엘리베이터, 로봇, 크레인 등 여러 산업에
헬로티 이동재 기자 | 건솔루션(대표 김삼성)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건솔루션은 SF+AW 2021에서 스마트공장시스템 FACON Series, 머신텐딩 솔루션, 기상측정시스템 등 각종 솔루션을 전시한다. 먼저 건솔루션의 스마트공장시스템 FACON Series는 Gx-MES, G-CAP, OMV+, Machine Tending, G-DFM, Renishaw Probe 솔루션으로 구성되어 설계 단계에서 제조-출하까지의 전 과정에서 생성되는 모든 정보를 디지털화해 저장하고 실시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솔루션이다. 머신텐딩 솔루션은 금속 가공 기계, 플라스틱 사출 기계 등의 기계에 소재 및 가공물을 투입하고 가공된 반제품과 완성품을 꺼내어 다음 공정으로 이동하는 자동화 공정이다. 머신텐딩을 위한 로봇은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해주는 협동로봇과 일반 산업용로봇으로 구성되어 있다. 건솔루션은 그동안 유니버설로봇(UR), ABB 로봇, 두산 협동로봇, 뉴로메카 협동로봇 등을 활용해 비전기상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지지엠(대표 이영식)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지지엠은 SF+AW 2021에서 각종 기어드모터 제품을 전시한다. BLDC SPEED CONTROL UNIT은 안정된 속도 제어 ( 속도 리플 0.5% )설정 속도와 모터의 속도 피드백 신호를 항상 비교해 벡터 제어에 의한 모터의 인가 전류를 조정, 부하가 변해도 저속에서 고속까지 안정된 속도로 회전한다. 100~4000r/min의 넓은 속도 제어 범위를 자랑한다. 가동, 정지 제어가 전면 판넬의 운전 스위치로 간단하게 구동되고, 회전 방향 스위치로 모터 회전방향 전환하는 등 사용이 간단하고, 속도 제어 버튼으로 간편하게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외부 I/O에 의해 Start/Stop, 회전 방향 변경, 다단 속도 운전 등이 가능하다. 중공축 GEARHEAD는 출력축측이 Motor의 축과 직각으로 구성되어 있어 공간절약이 가능하다. 감속비가 1/3~1/180까지 20종류로 다양한 제품이 완비되어 있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수주(대표 박유영)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수주는 SF+AW 2021에서 EATON사의 EATON FAZ 시리즈, EATON EMS2시리즈 등을 전시한다. 수주테크는 EATON ELECTRICAL KOREA의 공식 파트너사다. EATON FAZ 시리즈는 UL 및 CE, CCC, KC 등 글로벌 인증에 광범위하게 대응 가능한 소형회로차단기다. 다양한 특성보호를 제공하고 있다. FAZ 시리즈는 다양한 인증획득으로 세계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다. RoHS기준 준수로 환경친화적인제품으로 보조접점을 포함한 다양한 보조장치와 트리핑모듈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 친화적 제품이다. EMS2 전자식 모터 스타터는 매우 컴팩트한 디자인으로 기존 모터스타터의 기능을 구현한다. 22.5mm의 사이즈는 모터가있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나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최대 3kW까지 지원한다. ESM2 전자식 모터스타터는 DOL, 리버싱 스타터 및 광범위한 과부하 보호기능, 비상 정지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엔셀(대표 임용일)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엔셀은 SF+AW 2021에서 아톰뉴런스, ScQMS, 엔셀 MES 제품 등을 전시한다. 아톰뉴런스 AI에 탑재된 OCR기능은 자사의 딥러닝 기술로 개발된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인쇄체, 필기체, 문서의 종류에 관계없이 문자를 추출, 고객의 요청에 맞게 수집, 가공 및 저장이 가능하다. 스캐너, 바코드 리더기 등 고객사가 보유중인 기존 시스템과 데이터를 함께 결합해 확장이 가능하다. 수작업에 의한 오류방지, 투명성, 안정성, 신속성, 정확성을 높여 업무의 효율성 향상을 제공한다. AtomNeurons AI Vision은 이미지 촬영부터 Defect 검출, 불량판별 등 자동화가 가능한 AI 머신비전 솔루션으로 Classification, Object Detection, Segmentation등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Wafer, PCB의 패턴검사를 바탕으로 개발된 AtomNeurons AI Vision은 적용 범위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제네시스가 2일 온라인 채널을 통해 영상 ‘퓨처링 제네시스(Futuring Genesis)’를 공개하고 전동화 브랜드 비전을 발표했다. 제네시스는 영상을 통해 연료전지 기반의 전기차와 배터리 기반의 전기차 두 모델을 중심으로 한 듀얼 전동화 전략을 공개했다. 오는 2025년부터는 제네시스가 출시하는 모든 신차들을 수소 및 배터리 전기차로 출시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제네시스는 이를 위해 ▲고출력·고성능의 신규 연료 전지 시스템 ▲고효율·고성능의 차세대 리튬이온배터리 등을 개발하는 데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특히, 제네시스는 듀얼 전동화 전략과 기술 개발을 바탕으로 그룹사 최초로 2035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제네시스는 오는 2030년까지 총 8개의 모델로 구성된 수소 전기차와 배터리 전기차 라인업을 완성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연간 40만 대까지 판매를 확대할 계획이다. 제네시스는 전동화 라인업으로의 전환과 함께 원자재와 부품은 물론, 생산 공정을 포함한 브랜드의 모든 가치 사슬에 혁신을 도모해 탄소 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구체화했다. 발표자로 나선 제네시스 장재훈 사장은 “제네시스는 럭셔리를 넘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한국광기술원이 AI 기술을 활용해 야간 카메라 영상을 주간 카메라 영상처럼 실시간 처리하는 야간환경 저조도 영상변환 기술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현재 자율주행기술은 라이다 센서를 이용하는 그룹과 카메라 영상을 이용하는 그룹으로 나뉜다. 라이다센서는 자율주행 기술에 많이 시도되고 있으나, 고가이면서 광학적 안정성 확보가 어려워 자율주행차 대중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카메라를 통한 자율주행의 경우, 적외선 카메라 기반의 야간 영상기술은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흑백 영상 위주의 낮은 객체 인식성능을 보이는 제약이 있고, 저가의 일반 카메라와 영상분석을 이용한 자율주행 기술은 가격 측면에서는 상용화에 유리하지만, 야간 환경에서 차량 주변 객체 인식성능이 떨어지는 등 해결해야 할 숙제가 남아 있다. 한국광기술원 지능형광IoT연구센터 박안진 박사팀이 이번에 개발한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저조도 야간-주간 영상변환 기술’은 야간 환경에서 보행자/차량 인식, 경로 예측, 도로표지판 같은 고정 객체 인식, 도로 상황 인식 등 자율주행에서 요구되는 난제를 해결한 기술로 평가된다. 이 기술은 인공지능 기술의 한 분야인 ‘CycleGAN’에 독창적인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철강·에너지소재대학원 홍대근 교수와 임창희 교수 공동연구팀이 인공지능을 활용한 출강 자동화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시스템은 현재 포스코 광양제철소 2제강 2전로에 적용되고 있다. 컵 안에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컵을 천천히 기울여 불순물만 걸러내듯이, 출강은 전로 안에 떠 있는 슬래그(불순물)를 천천히 걸러내는 작업이다. 지금까지 출강 방식은 작업자가 고온, 고열의 작업 환경에서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이 작업을 매일 수십 차례 수동으로 작업해야 했다. 그렇다 보니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제품 성분이나 미세한 품질의 편차가 발생하고, 데이터를 정량화하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고열 작업 특성상 안전사고에 노출될 수밖에 없었다. 연구팀은 전로 출강자동화를 위해 포스코 기술연구원, 광양제철소 제강부와 협업해 영상분석 연구를 수행했다. CCTV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다트(내화물) 투입 영상과 SDS(Slag Detection System) 영상을 이용해 딥러닝 기반 다트 투입 적중 여부 자동 판정 기술을 각각 개발했다. 먼저, 작업을 단계별로 세분화하고 조건별 데이터를 수집, 표준화한 다음 출강 패턴을 도출했다. 이렇게 도출된 출강
헬로티 이동재 기자 | 광주과학기술원(GIST)이 CJ올리브네트웍스와 손잡고 광주광역시에 인공지능 산업발전을 위한 연구소를 개소한다. 연구소는 CJ올리브네트웍스의 본사에 위치한 DT연구소에 이은 제2연구소로, GIST 내 산학협력관에 입주한다. 연구소 이름은 ‘CJ 루키두스 AI Lab’다. 이날 제2연구소 개소식을 시작으로 GIST는 CJ올리브네트웍스와 AI기술 연구분야를 강화해 사업경쟁력을 다지고, 공동으로 인공지능 산업발전을 위한 AI 원천기술 관련 연구에 본격적으로 돌입한다. 또한 지역 일자리 창출을 위해 ▲K-디지털 훈련 과정 협력 ▲우수 교육생 대상으로 인턴십 기회 제공 ▲광주지역 인재 AI R&D 분야 우선 채용 등도 진행한다. 앞서 지난 4월 GIST는 광주시, CJ올리브네트웍스와 함께 인공지능 산업육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번 제2연구소 개소도 3자 간 업무협약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현재 디지털 신기술 분야 인력 양성을 위한 고용노동부 주관 사업인 ‘K-디지털훈련’에도 공동 참여하는 등 지역 AI 산업 발전에 협력하고 있다. GIST는 대외 컴퓨팅자원 개방용 시스템 및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CJ올리브네트웍스의 데이터셋 및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휴맥스모빌리티가 서울특별시의회와 함께 친환경 모빌리티 서비스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를 통해 휴맥스모빌리티는 친환경 업무용 차량 공유 서비스 '카플랫 비즈'를 광역의회 최초로 서울시의회에 제공하고, 업무용 전기차 사용 확대 및 공유 경제 활성화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서울시의회는 지난 4월 '2050 탄소중립과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특별위원회'를 설립해 지구온난화 기후 위기를 극복하고 탄소중립을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인 친환경 정책을 추진해왔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서울시의회는 자동차 배기 오염을 감소시키기 위한 친환경 모빌리티 생태계 구축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자 '카플랫 비즈'의 업무용 전기차 공유 및 차량관리 시스템을 도입했다. 휴맥스모빌리티의 친환경 기업 카셰어링 '카플랫 비즈'는 공공기관이나 기업 임직원을 대상으로 하는 전기차 기반의 업무용 차량 공유 서비스로 기업의 임직원들이 필요한 시점에 원하는 만큼만 이용할 수 있어 비용 효율적이며, 모바일 앱 및 스마트 키를 지원해 손쉬운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기업의 차량 담당자는 차량 운행 현황과 운행 일지 자동화 등을 지원하는 스마트 관리 시스템을 통해 효율적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삼익HDS(대표 진영래)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삼익HDS는 SF+AW 2021에서 하모닉드라이브, 메카트로닉스, 하모닉유성감속기 등 제품을 전시한다. 하모닉드라이브은 단지 3개의 기본부품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형·경량화가 가능하면서도 동시에 맞물리는 잇수가 많기 때문에, 보다 큰 토크를 낼 수 있고 정확한 위치결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품의 특성을 살려, 보다 소형화·경량화라는 테마를 기본으로 삼익HDS는 하모닉드라이브의 컴팩트화를 추진해 왔다. 현재 31종류의 형상, 토크용량으로 0.5Nm에서 9180Nm까지 풍부한 타입의 제품을 고객의 용도에 맞추어 준비하고 있다. 하모닉드라이브 시스템즈의 메카트로닉스 제품은 정밀제어용 감속기인 HarmonicDrive와 각종 서보 모터를 최적으로 조합한 고성능, 고출력의 액츄에이터다. 초고분해능으로 고정도 위치결정이 가능한 고성능 모터를 부착한 로터리 액츄에이터와 초미세량의 고정도 위치결정이 가능한 리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