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이동재 기자 | 엑센솔루션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제조현장 관리를 위한 제조실행시스템과 품질경영시스템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 전문 전시회다. 엑센솔루션이 이번에 선보인 제조실행시스템(MES) ‘Visual FACTORY’는 200개 이상 사업장에서 적용 및 검증된 제조현장 중심의 자동화 및 현장관리, 생산운영 지원 시스템이다. 주요 특징은 제조현장의 실시간 Data를 수집(Controller, Sensor 등), 주문제품의 투입에서 출하까지 생산활동 최적화 지원, 제조현장의 Loss에 대한 Fact Open 및 4M 최적 운영 정보 제공, 변화에 신속한 대응 및 사전관리 및 제조이력 추적 확보, 실시간 기업경영 지원 솔루션 등이 있다. 품질경영지원 시스템 ‘Visual Quality’는 자동차부품 업종, 전기전자 부품업종을 대상으로 협력사 중심의 품질심사 및 Audit 대응력 향상을 위한 실시간 품질관리 및 품질보증 업무를 지원하는 통합 시스템이다. 이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에이치엔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1)’에서 ‘SMART IoT 미들웨어’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 전문 전시회다. 에이치엔이 이번에 선보인 ‘SMART IoT 미들웨어’는 제조 설비로부터 발생되는 RAW 데이터를 수집 및 전처리하여 응용서비스로 데이터를 연계한 다음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환경 간에 원만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소프트웨어다. 이 솔루션은 공장 생산라인 및 설비정보 관제 서비스, 스마트빌딩 서비스, 차량정보 수집 및 관제서비스 등을 구축하는 데 활용된다. 내장형 웹 서버를 활용한 독립형 서비스와 모바일 플랫폼 환경에서 표준 HTML5 서비스를 지원하며 OSGi 기반으로 다양한 확장 서비스가 가능하다. 특히 2.0 버전에서는 양방향 통신, 멀티모드 장치 어댑터 등 다양한 기능 및 성능 개선이 이루어졌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위즈코어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제조 통합 모니터링 솔루션인 ‘넥스폼’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 전문 전시회다. 위즈코어가 이번에 선보인 넥스폼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해 언제 어디서나 공장의 운영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생산 현황과 시스템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스마트공장 통합관리 플랫폼이다. 모든 공장의 장비들을 연결하여 품질 데이터 수집, 표준화, 통합, 분석,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넥스폼 플랫폼에는 MES, 모니터링과 같은 제조시스템이 이미 모듈화 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한 모듈만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차후 시스템을 확장할 경우에도 넥스폼 하나로 통합 관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손쉽고 성공적인 스마트공장 구축이 가능하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uture of Digital New Deal)’라는 주제 하
헬로티 이동재 기자 | 글래스돔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생산공정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및 분석 클라우드 솔루션을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 전문 전시회다. 글래스돔코리아가 이번에 선보인 솔루션은 스마트 무선센서로, 무선 및 배터리 기반의 산업용 센서 모듈이다. PLC 데이터를 별도의 IT 인프라 구축 없이 실시간 수집 및 축적할 수 있게 도와준다. 또한 기존 MES 데이터를 수집해 설비데이터와 함께 AI 기반으로 분석할 수 있다. 하드웨어부터 AI 기반 소프트웨어까지 포함하는 예지보전 솔루션을 제공하며, 불량률 최소화 및 생산라인 스피드를 극대화하는 AI 기반 소프트웨어 솔루션이다. 이번 전시회에 참가한 글래스돔코리아는 산업현장 특히 제조업에서의 새로운 데이터 인프라를 만들기 위해 하드웨어에서부터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소프트웨어까지 기술을 만들고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한컴MDS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안면인식 열화상 카메라 ‘TSC-1000’과 ‘TSP-1000’을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 전문 전시회다. 한컴MDS가 이번에 선보인 TSC-1000은 출입자 열화상/실화상 자동 저장 기능과 열화상/실화상 모드를 지원하며 최대 6명까지 동시 측정할 수 있다. 주요 특징은 최소 인력으로 효과적인 발열 감지가 가능하며 열화상 카메라, PC, 모니터 등 다양한 키트 구성으로 초보자도 쉽게 설치 및 운영이 가능하다. 소상공인을 위한 저가형 안면인식 열화상 카메라 TSP-1000은 안면인식 복합센서 기술 적용으로 신뢰성 있는 발열 감지를 할 수 있으며 자동 알람/SMS 기능을 통해 무인 운용이 가능하다. 이 열화상 카메라는 한컴MDS의 발열 감지 소프트웨어 및 기술 지원을 포함한다. 이번 전시회에서 한컴MDS는 열화상과 실화상이 결합된 카메라 모듈, 공정 자동제어 및 모니터링 솔루션, 산업자동화 표준 프로토콜, AI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인스턴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스마트 자동적재창고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 전문 전시회다. 인스턴이 이번에 선보인 스마트 자동적재창고 로터리 타입의 컴팩트한 디자인은 최소한의 면적을 이용해 최대한의 저장 공간을 제공, 소형 다품종 부품 적재에 유리하게 제작됐다. 선반은 인체공학을 바탕으로 설계된 작업대를 통해 작업자가 원하는 부품의 빠른 입출고가 가능하다. 각 장치는 전체 소프트웨어 및 제어 장치와 호환되며 메뉴얼 모드로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Smart Factory와 연계해 부품의 재고와 입고 및 출고를 담당하고, BAR CODE 및 QR CODE를 적용해 MES, ERP SYSTEM과 연동 가능하도록 구성했다. 스마트 자동적재창고 엘리베이터 타입은 제품을 보관하고 지지하는 적재 팔레트를 이송하는 중앙 전동 승강기를 이용하여 구동하는 장비다. 다양한 크기와 하중의 물품을 선택적으로 팔레트 적재 높이를 설정하여 보관할 수 있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이루미소프트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스마트 작업지시 시스템 ES200, 스마트공장 통합시스템 CONex, 인공지능 생산스케줄링 시스템 APS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 전문 전시회다. 중소,중견기업 IT 전문 회사 이루미소프트가 이번에 선보인 스마트 작업지시 시스템 ES200은 전자라벨과 위치추적 기능을 활용한 실시간 재고관리는 물론 생산공정 과정에서 재공제품의 이동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MES, ERP, LMS, QMS, EIS, SSS, APS 기능을 포함한 스마트공장 통합시스템인 CONex는 스마트팩토리 기초 단계에서부터 고도2단계 및 시범공장까지 구축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APS는 인공지능 생산스케줄 시스템으로 시스템에서 수요변동에 따른 공정 부하율과 리소스를 기반으로 실시간 공정제어를 통한 공정 과부화 해소 및 설비가동률을 향상 시키는 최적의 스마트팩토리 생산스케줄 관리 시스템이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팩토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고성능 임베디드 컨트롤러인 RCX-1430F PEG를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 전문 전시회다. 팩토스가 이번에 선보인 슬롯 확장형 임베디드 컴퓨터인 RCX-1430F PEG는 기존에 사용됐던 16인치 4U 렉마운트 컴퓨터/월마운트 컴퓨터를 대체할 수 있는 제품으로 내구성이 높다. 또한 공간이 협소한 현장과 소형 장비에 적용해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고사양 그래픽 카드 장착이 가능해 주로 인공지능이나 딥러닝 등 고속, 다량 연산에 필요한 산업에 특화되어 있다. 이외에도 팩토스는 자율주행, AGV 등에 적용된 ECS-9000 PoE를 선보였다. 현재 다양한 업체의 자율주행 산업에 적용되고 있는 제품인 ECS-9000 PoE는 4개의 PoE 포트를 비롯하여 2개의 LAN 포트, 4개의 시리얼 포트, 7개의 USB 포트를 포함, 16개의 Isolation DIO 포트가 있다. 이는 각종 타입의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크레켄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방수커넥터와 푸시풀 커넥터, 로터리 엔코더 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 전문 전시회다. 크레켄이 이번에 선보인 방수커넥터는 산업에 주로 사용되는 통신용 IP67 등급으로 방수/방진 분야의 최적의 커넥터 솔루션 제품이다. 방수/방진 환경이 요구되는 공장자동화, 의료산업, 통신, 철도, 에너지, 선박 등의 분야에 사용된다. 고온, 저온, 내화학성이 요구되는 특수 환경에 적합한 방수/방진 등급 IP67~IP69K 제품이다. 주요 제품군으로는 M시리즈 원형커넥터 / 푸시풀(Push-Pull) 커넥터 / 케이블그랜드 등이 있다. 독일에서 제조되는 크레켄 로터리 엔코더 제품은 별도의 배터리나 기어가 필요하지 않은 콤팩트한 제품이며 EnDra 기술을 활용해 전원 차단 시에도 위치 정보가 유지된다. 특히 절대형 엔코더의 경우 CANopen, SSI, Profinet, EtherCAT 등 다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성우스마트랩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산업용 2D 라이다 센서와 자동차용 원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를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 전문 전시회다. 성우스마트랩이 이번에 선보인 산업용 2D 레이저스캐너(LiDAR)은 회전 미러를 이용한 레이저 송수신 장애물 감지 스캐너다. 이 제품은 로봇, AGV(LGV) 및 전동 지게차등에 설치하여 장비의 작업영역내 장애물 감지 안전, 보안 및 물류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사용된다. 고해상도 원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는 사물에서 방사되는 적외선 열에너지를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영상으로 출력하는 장치이다. 빛이 전혀 없는 야간이나 기상악조건에서도 사물 및 주변인식 가능한 센서이므로 살아있는 생명체 감지에 우수하다. 열화상 카메라는 산업안전센서, 스마트시티, 의료기기, 자동차 나이트비전/자율주행용 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사이로직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인라인 진동검사 시스템과 인라인 전달오차 측정시스템, 포터블 진동 모니터링 측정시스템(PDSA)을 소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 전문 전시회다. 사이로직이 이번에 선보인 인라인 진동검사 시스템 이니시스(iNisys–inline NVH inspection system)는 주파수분석(Frequency Analysis)과 오더분석(Order Analysis)을 기본으로 한 회전체 진동 분석용 어플리케이션이다. 이니시스는 엔진, 모터 등의 충격성 진동신호 검사와 변속기, 리어 액슬, 프론트 액슬, 유압펌프, 토크 컨버터, 토크 트랜스퍼 등의 기어 박스(Gearbox)류의 소음, 진동 품질 검사하는데 유용하다. TEMS(Transmission Error Measurement System)은 구동축과 종동축에서 발생하는 속도차를 측정해 전달오차를 연산하는 시스템이다. 포터블 진동 모니터링 측정시스템(PDSA)는 Dynamic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키슬러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차축 부하 및 총 중량을 자동으로 측정하는 ‘WIM(Weigh In Motion) System’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 전문 전시회다. 키슬러가 이번에 선보인 WIM System은 도로 및 교량 사용을 추적하는 해결책으로써 비교적 저비용으로 장시간 동안 도로 및 교량 위에서의 차량 번호와 등급, 차축 하중 및 총 중량 등의 교통 정보를 데이터로 제공한다. 고성능 고속축중기 패키지 ‘KiTraffic Statistics’로 ‘Lineas Compact 센서’와 ‘WIM Data Logger’ 등을 이용한 WIM System은 속도 및 중량 데이터를 포함해 차량 감지 및 분류를 자동으로 수행하며 측정 반경 역시 광범위하다. Lineas Compact 센서는 특수한 에폭시 그라우트(Epoxy Grout)에 덮여 노면 2cm 아래 지점으로 견고히 설치된다. WIM Data Logger는 4개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인텍플러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3D 센서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인텍플러스가 선보인 'i3D-800'은 고해상도 카메라와 HD LED 구조광을 이용한 비접촉식 3D 센서로서, GPU를 내장하고 있어 별도의 그래픽 프로세서 없이 고화질의 3D Point Cloud Data 를 출력한다. 빈피킹, 픽엔플레이스, 팔레타이징, 로봇 가이던스 등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인텍플러스는 ‘반도체 Mid-End 공정’, ‘Display’, ‘전기차용 2차전지’ 분야의 외관 검사 장비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스마트 팩토리 규현에 필수적인 모듈사업(3D 센서 솔루션)을 확대하고 있다. 인텍플러스는 세계 최고의 머신비전 기술력을 자랑하며, 이 분야에서 요구되는 ‘빠른 검사속도와, 점확한 검사품질’을 구현하기 위한 모든 핵심기술 (3D측정원천기술, 머신비전2D검사기술, 실시간 영상획득 및 처리기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캔탑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RFID 리더기와 Hybrid PIO 제품 등을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캔탑스가 이번에 선보인 제품은 134.2K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RFID Reader로 ISO11784 & ISO11785 규격의 Transponder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제작됐다. 다양한 노이즈 환경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최적화 되어, 반도체 라인의 물류 관리용으로 사용되는 제품으로 리더기 본체와 RFID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다. 캔탑스의 RFID 리더기는 국내외 주요 반도체 회사의 표준 제품으로 채택됐다. 반도체 물류 관리용 Tag(Transponder) 리더로서, HID, OHT 등의 전자파 노이즈 환경에서도 안정적이고, 통신 이상 시 Auto Tune 기능으로 최적화된 주파수 대역을 찾아 재통신 동작을 수행한다.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 옵션을 제공해 옴론 및 브룩스 등 제품과 호환 사용이 가능하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지비드에이에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산업용 3D 카메라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지비드에이에스가 이번에 선보인 지비드 투는 지비드에이에스의 최신 산업용 3D 컬러 카메라 센서로 초소형 폼 팩터에서 고객에게 뛴어난 3D 이미지 품질을 빠르게 제공한다. 다양하고 까다로운 물체와 장면을 처리할 수 있는 빠르고 안정적인 픽 앤 플레이스 로봇 셀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169mm x 56mm x 122mm, 940g의 초소형 폼팩터로 해상도는 230만 화소이고, 최소 획득 시간은 60ms다. 10기가 이더넷의 데이터 인터페이스로, 동작거리는 300mm~1500mm이다. 또 지비드에이에스는 이전 모델인 지비드 원플러스도 함께 전시했다. HD+컬러 230만 화소, 1920 x 1200 해상도, Native 3D RGB의 특징을 지녔고, 정확도 30µm 포인트의 정밀도와, 140µm 전역 평면도, > 99% D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