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이동재 기자 | 네트워크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사물인터넷(loT) 스마트 콘센트를 전시해 관람객들의 이목을 끌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 전문 전시회다. 네트워크코리아가 이번에 선보인 사물인터넷 스마트 콘센트는 전자제품의 소비전력량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어 어떤 전자제품이 전력량을 얼마나 소비하는지 전력량과 패턴을 분석해준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일상생활에서 어떤 제품이 가장 많은 전기를 사용하는 지 등을 알 수 있다. 이 콘센트는 사람이 인위적으로 행동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절약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에너지나 전기를 낭비하는 습관을 자발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전원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전력보안 기술도 갖추고 있어 직장의 경우 전력 보안 서비스로 전원 공급을 통제할 수 있고, 가정에서는 아이들의 컴퓨터 이용 시간이나 게임 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헬로티 이동재 기자 | 랑데뷰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수확 자동화 솔루션 ‘파밀리’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랑데뷰가 전시한 ‘싹따줘, 따식이!’는 비닐하우스 내 가지열매를 자동으로 따주는 로봇이다. 파프리카, 토마토, 딸기 등 작물을 수확할 수 있고 수확 가능 열매를 원예작물 전반으로 확장 중이다. ▲가지의 작물을 찾는 3D 위치 인식 기술 ▲작물의 현재 사애를 분석하는 딥러닝 기술 ▲비닐하우스 내 자율 이동을 위한 노면 인식 기술 ▲작업자 감지 및 위험 상황 자동 정지 기능 ▲로봇 AS 서비스를 위한 원격 제어 기술 등을 보유하고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uture of Digital New Deal)’라는 주제 하에 약 50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참가하여 1,800개 부스에서 최신 스마트 제조 기술을 선보이고
헬로티 이동재 기자 | 바이렉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Teledyne의 카메라 시리즈 제품 등을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Teledyne DALSA의 Genie Nano CXP 시리즈는 Coaxpress 6Gbps 인터페이스를 기반의 고속, 고해상도 Area scan 카메라다. CMOS 이미지 센서를 탑재해 해상도 16메가픽셀 부터 67메가픽셀까지의 다양한 라인업을 갖췄다. Teledyne Lumenera의 Lt Camera 시리즈는 USB 3.1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해 사용이 용이하다. 저해상도 1.7MP부터 고해상도 31MP까지 다양한 해상도 라인업으로 여러가지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한 모델을 제공한다. USB3 Vision SDK는 물론 Teledyne Imaging의 Sapera LT SDK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u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씽크론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뷰웍스의 고해상도카메라와 고속카메라 제품, 광통신보드 등을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씽크론의 부스에 전시된 고속카메라 CCM 시리즈 중 The CrashCam mini 1520는 3.7메가/1.5메가 해상도의 고속카메라로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자동차 충돌 온보드 시험이 가능한 모델로 USB-C 타입의 인터페이스를 가졌다. AVAL DATA Giga Connection 보드 APX-7402는 Point to point 통신, 라인 또는 링 방식의 접속이 가능하다. 광 모듈 40 Gbps를 2ch 탑재하여, 고속 데이터 통신을 실현했다. 최대 31대까지 접속이 가능하며 노드간 거리가 최대 100m까지 연장된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uture of Digital New Deal)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제일엠아이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FLIR의 열화상카메라 제품과 테스토의 온습도 모니터링 시스템 제품을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제일엠아이가 전시한 FLIR의 열화상 카메라는 상태 모니터링, 전기/기계 검사, 건축물 검사에 주로 사용되며 고정밀 온도 측정과 부가적인 디테일, 원근감 등으로 선명한 이미지를 제공해 준다. FLIR Exx 시리즈에 내장된 FLIR Inspection Route 기능은 사전에 계획된 검사 경로를 따라 검사를 할 수 있게 도와주기 때문에 규모가 크거나, 검사 대상이 분산된 시설을 검사할 때 보다 체계적인 검사를 지원한다. 현장에 전시된 테스토의 무선 온습도 측정 시스템 testo Saveris 2는 현장의 모든 온도와 습도 값은 테스토 무선(WiFi) 데이터 로거에 의해 측정되고, 기록되며, 테스토 클라우드로 자동 전송된다. 테스토 클라우드로 전송된 측정값은 모두 온라인 상에 안전하게 저장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큐인탑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방진구, 캐스터, 조절좌 등 제품을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방진구는 기기의 진동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부품이고, AGV캐스터는 충격 방지와 회전 폭을 최소화해, 물류 이송을 보다 편리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전시된 조절좌는 장비의 무게를 지탱하는 역할을 하는 부품이다. 큐인탑은 89년도에 창립 된 이례로, 현장, 산업, 생활 장비에 설치하는 방진구, AGV 캐스터, 바퀴, 조절좌 등을 공급하고 있으며. 편리하고 안정적인 제품을 생산하는 데 힘쓰고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uture of Digital New Deal)’라는 주제 하에 약 50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참가하여 1,800개 부스에서 최신 스마트 제조 기술을 선보이고 있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마이크로포어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다공성 세라믹 진공척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기존의 금속 흡착판을 미세 기공을 갖는 다공성 세라믹으로 대체한 진공척 제품으로, 투과율이 매우 높으며 균일한 부착력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마이크로포어는 550 x 550 이상의 대면적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열충격 진공척 등 특수 진공척도 제작되고 있다고 밝혔다. 마이크로포어는 다공성 세라믹 진공척 제품뿐 아니라 부상 유닛과 무분진 단열재 제품도 전시했다. 다공성 세라믹을 이용한 에어 부상 유닛은 피부상물의 무게에 맞춰 기공 구조를 제어함으로써 내부 공기압, 유량, 부상 거리 등을 조정한다. 소결 세라믹 소재를 베이스로 하기 때문에 카본 소재 등을 사용해 제작하는 기존 제품보다 비산 미세 입자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세라믹폼 무분진 단열재의 기공률은 최대 90%이며, 3HS의 경우 열전도율은 200℃~800 ℃ 범위
헬로티 이동재 기자 | 라이브테크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OPT사의 머신비전 렌즈 제품군을 전시한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OPT사의 2MP, 5MP Series는 라이브테크의 주력 상품이다. 라이브테크는 전시회 현장에서 저렴한 가격과 재고 운영을 바탕으로 한 정확한 납기가 장점이라고 전했다. 설사 한국에 재고가 없어도 중국 공장에서 들여오는 데 2주 이내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라이브테크는 신제품인 OPT-M6050-151M도 선보였다. 패널, LCD 등을 다루는 공정에서 큰 사이즈의 사물을 검출할 때 사용하기 때문에 구경도 크고 무게도 무겁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uture of Digital New Deal)’라는 주제 하에 약 50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참가하여 1,800개 부스에서 최신 스마트 제조 기술을 선보이고 있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에임시스템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자동화 솔루션 에임스마트코어를 선보여 눈길을 끌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 전문 전시회다. 에임시스템이 이번에 선보인 에임스마트코어(AimSmartCore)는 Web 및 최신 Mobile환경을 지원하는 최신기술을 적용해 개발된 제품으로, 일반제조의 다양한 업종에 적용가능한 MES기반의 공장자동화 솔루션이다. 또한, 하이테크의 자동화 기술력을 바탕으로 신규 업종에 구축이 용이한 Flexible한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이다. 첨단소재, 전자조립, PCB, 소재화학, 반도체가공 등의 업종에 즉시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uture of Digital New Deal)’라는 주제 하에 약 50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참가하여 1,800개 부스에서 최신 스마트 제조 기술을 선보이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투테크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레이저 라벨 프린터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투테크의 레이저 라벨 프린터는 데이터가 절대 지워지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자체 기술로 라벨 중간층에 인쇄를 하기 때문이다. 초소형 레이저 라벨 프린터 제품은 고해상도로 2000dpi까지 구현 가능해 기존 열전사 프린터의 한계를 극복했으며, 윈도우 드라이버 베이스(32,64비트)로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하다. 2003년 설립된 투테크는 기존 열전사 프린터의 표면 인쇄 방식이 아닌, 레이저를 이용한 라벨 중간층 인쇄 기법을 개발해 국내외 특허 및 레이저 라벨의 UL 인증을 취득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uture of Digital New Deal)’라는 주제 하에 약 50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참가하여 1,800개 부
헬로티 이동재 기자 | 루트텍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UV LED 경화시스템, 검사용 조명 등 제품을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루트텍이 전시한 UV LED 경화시스템은 고출력, 고균일 면/라인 타입의 경화 시스템이다. 인쇄, 코팅 반도체 등 다양한 경화환경에 사용된다. UV LAMP를 대체할 수 있고, 낮은 소비전력이 특징이다. 요청사양에 맞춰 주문제작이 가능하다. 루트텍의 Flat Ring LIGHT는 검사 대상물 전체에 고르게 조사해 균일하고 부드러운 이미지를 획득하게 한다. Low Angle 조명, Ring type 조명을 사용하는 application에 적용할 수 있다. 이 제품 역시 고객의 요청에 따라 주문 제작이 가능하고 사용 환경을 고려해 최적화된 조명을 설계할 수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uture of Digital New Dea
헬로티 이동재 기자 | 바투잼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MAPS’를 선보였다. MAPS는 바투잼이 독자 기술로 만든 세계 최초의 다축 광엔코더 제품이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MAPS는 3차원 공간에서 목표물의 절대위치와 각도를 동시에 측정하는 다축 절대위치/자세 센서다. MAPS-Q 시리즈는 반도체/디스플레이 같은 공정 중 평면작업을 위한 센서로 Q3와 Q6, 두 가지 모델이 있다. MAPS-Q3는 3축 광엔코더로 기존 광엔코더가 못하는 실시간 오차, 실시간 변형을 측정할 수있고 실시간 변형 감시 기능을 스테이지와 결합하면 스마트 스테이지가 된다. 스케일을 이동물체에 부착하고 센서를 고정하여 측정하면, 스케일의 위치와 회전각도를 구한다. 이동물체의 특정부위가 어떤 궤적을 그리면서 이동하는지 알 수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uture of Dig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아이엔지글로벌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2D,3D Vision Bin picking System과 설비통합관리시스템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 전문 전시회다. 아이엔지글로벌이 이번에 선보인 2D,3D Vision Bin picking System은 딥러닝 기반의 AI 스마트 비전 시스템이다. 주요 특징은 원스톱 토탈 솔루션 서비스로 Bin picking 현실화 구축을 도우며 인력 문제, 공간 문제를 해결해준다. 또한 복잡한 (언)로딩 장치를 간편하게 해결한다. iCMMS(설비통합관리시스템)은 빅데이터를 통해 다양한 제조 데이터를 통합 분석 모니터링 하는 플랫폼이다. 디지털 인터페이스 기반의 생산, 품질, 에너지, 설비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분석을 제공한다. 이 시스템은 기업내 데이터의 통합분석을 통해 기업 맞춤형 알고리즘 개발 및 적용할 수 있으며, 장비별 원하는 요소의 그래프를 합쳐서 비교분석 가능하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
헬로티 이동재 기자 | 건솔루션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머신텐딩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 전문 전시회다. 건솔루션이 이번에 선보인 머신텐딩 솔루션은 금속 가공 기계, 플라스틱 사출 기계 등에 소재 및 가공물을 투입하고 가공된 반제품과 완성품을 꺼내어 다음 공정으로 이동하는 자동화 공정이다. 머신텐딩을 위한 로봇은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해주는 협동로봇과 일반 산업용로봇으로 구성되어 있다. 건솔루션의 머신텐딩 자동화 프로젝트는 로봇을 이용한 로딩/언로딩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으로 머신텐딩 시스템에 프로브(Probe)와 Gr박스를 접목해 다품종 소량생산에도 자동화가 가능하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uture of Digital New Deal)’라는 주제 하에 약 50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참가하여 1,800개 부스에서 최신 스마트 제조 기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유라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IT솔루션인 유라솔루션, CADvizor, FabePLM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 전문 전시회다. 유라가 이번에 선보인 유라솔루션은 다년간 제조업 지원 및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부품 제조기업 맞춤형 솔루션이다. CADvizor는 설계부터 제조까지 가장 빠르게, 쉽게, 정확하게 설계할 수 있도록 개발한 솔루션으로규모에 상관없이 가장 효율적이면서도 합리적인 ECAD 솔루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FabePLM은 기업의 업무 특성과 표준화된 프로세스 반영을 통해 낭비요소를 제거하고 업무처리 능력을 향상시켜 R&D업무 개선과 개발환경의 변화와 혁신을 주는 한국형 PLM 패키지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uture of Digital New Deal)’라는 주제 하에 약 50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