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3D 융합산업 발전과 일자리 창출, 투자 유치 등 ICT 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 인정받아 AI 의료영상 분석 및 의료용 3D프린팅 전문기업 메디컬아이피㈜가 지난 16일 '2019 3D융합산업인의 밤' 행사에서 장관상을, 18일에는 ‘2019년 ICT인의 밤’에서 시장상을 수상했다고 19일 밝혔다. ▲ICT인의 밤에서 수상한 박상준 대표이사(왼쪽에서 두 번째)와 메디컬아이피 임직원 메디컬아이피는 3D융합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과기부 장관상을 수상했고, 일자리 창출과 투자 유치 등 지역 ICT 기업 발전에 이바지한 공로로 춘천시장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이는 최근 국내 최초로 의료 인공지능(AI) 분야 FDA 허가를 받은 의료영상 분석 플랫폼 ‘메딥(MEDIP)’과 3D모델링 기반 의료용 3D프린팅 솔루션 ‘아낫델(ANATDEL)’ 등 주력 사업의 성과를 본격화한 덕이다. '메딥' 플랫폼은 지난달 FDA Class Ⅱ 인증을 획득하며 국내 3D 의료영상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했고, 메디컬아이피는 국내외 사업 확장에 따른 다수의 우수 인력 영입과
[첨단 헬로티] 암 정복, 우주원리 규명 등 과학난제 도전 융합연구 신규 추진 연구자의 집단지성을 통해 과학난제를 발굴·정의하고, 기존에 상상할 수 없던 접근과 기초과학과 공학 간 융합을 통해 그 해결 가능성을 제시하는 선도적이고 도전적인 융합연구가 본격 추진된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과학난제 도전 융합연구개발, 인간증강 융합기술 개발, 현안 해결을 위한 융합기술개발 등에 총321억원을 투자하는 ‘2020년도 과기정통부 융합기술개발사업 시행계획’을 확정하고,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시행계획을 통해 세계적 수준의 과학난제 도전연구 신규사업에 투자를 강화하는 한편, 기존 융합기술개발 사업들은 실제적인 성과창출 확산에 초점을 맞춰 추진할 계획으로, 주요 사업별 지원내용은 다음과 같다. 기존 융합연구의 한계를 넘어, 새로운 미개척 분야에 도전하는 ‘과학난제 도전 융합연구개발사업’이 신규 추진(’20~’25년, 480억 원)된다. 분야별 최고 석학과 역량 있는 젊은 연구자들의 집단지성을 활용해 과학난제를 발굴, 정의하
[첨단 헬로티] '친환경선박법' 시행령 제정안 국무회의 통과, 오는 2020년 1월 1일 법 시행 정부는 지난 17일(화) 국무회의에서 '환경친화적 선박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이하 친환경선박법)' 시행령 제정안이 통과됐다고 밝혔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최근 미세먼지 저감, 온실가스 감축 등을 위해 선박에 대한 환경규제가 국제뿐 아니라 국가·지역단위로도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환경친화적 선박의 개발·보급 촉진을 위한친환경선박법이 2020년 1월 1일 시행을 앞두고 있다. 이번에 국무회의를 통과한 친환경선박법 시행령은 친환경 선박의 개발·보급촉진을 위한 계획의 수립·변경, 친환경선박의 구매자 등에 대한 지원기준과 방법 등 친환경선박법에서 위임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했다. 또한, 현재 외항화물선에 집중돼 있는 친환경선박 전환정책 대상을 내항선, 여객선, 어선, 유도선, 예선 등 여러 선종으로 확대해 폭넓은 지원정책이 마련되도록 했고, 이를 통해 친환경선박 전환의 효과가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친환경선박의 개념을 특정방식에 한정하고 않고 LNG(액화천연가스), LPG
[첨단 헬로티] (사)한국강소기업협회가 주최한 '제2회 대한민국 강소기업 대상' 시상식이 지난 17일 언론사 및 전문가 집단의 엄격한 심사를 거쳐, 혁신상품 부문 16개사, 상생협력 부문 6개사, 해외수출 부문 3개 사 등 총 25개 기업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한국강소기업협회 ‘2019 제2회 대한민국 강소기업 대상’ 수상자 혁신상품 부문 수상기업은 다음과 같다. 혁신상품 스마트팩토리 부문 수상기업인 유일시스템은 국내 1위 최우수 정밀도를 갖춘 산업로봇 기술을 보유해 세계 최초 IoT 융복합 로봇 기술과 세계 최초 카메라 장착기술을 개발한 기업이다. 에너지설비 부문 수상기업인 지투파워는 혁신적인 IoT 융복합 에너지 저장장치 생산기술을 바탕으로, 전력감시진단 토탈솔루션 및 친환경 고효율 태양광 발전 시스템 기업이다. 선박설비 부문의 에이치엘비파워는 탈황설비용 부품인 SOX 댐퍼 세계시장점유율 1위 기업으로 알려졌다. 국내 및 세계최초 기술력으로 혁신상품 부문 강소기업 대상을 수상한 기업들도 눈에 띈다. 태방파텍은 국내최초 찜팩 포장 특허기술을 개발하고, 일본, 베트남, 유럽 등 해외진출에 성공한 케이스다. 또한, 모바일 기반으로 IoT
[첨단 헬로티] 슈퍼카 브랜드 람보르기니 차량의 정확한 트래킹 및 인증 역량 확보 CRM 기업 세일즈포스는 이탈리아 슈퍼카 브랜드이자 슈퍼 SUV 제조기업인 람보르기니가 세일즈포스 블록체인을 통해 자사 차량을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인증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세일즈포스 블록체인 1963년 창립 이후 세계적인 자동차 브랜드이자 혁신의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한 람보르기니는 이번 세일즈포스 블록체인 플랫폼 도입 또한 ‘고객 경험 향상과 자사 차량의 가치 유지를 위한 혁신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람보르기니는 중고차량 매매시 차량의 정품 인증을 위해 이탈리아 산타가타 볼로냐스(Sant’Agata Bolognese)에 있는 람보르기니 본사에서 약 800에서 1,000회에 걸친 인증 절차를 실시하고 있다. 기존에는 각 차량 부품에 대한 정품 인증은 물론, 서비스 내역 점검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 리소스 활용 및 관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됐다. 이에 람보르기니는 세일즈포스 블록체인 플랫폼을 도입했다. 다양하고 복잡한 파트너들을 하나의 분산 네트워크에 모아 차량 인증 프로세스를 더욱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함이다. 특히,
[첨단 헬로티] SK텔레콤, 롯데 e커머스, 두산, LG U+ 등의 현업 RPA 전문가 300여명 양성 RPA 기업 유아이패스코리아(UiPath Korea)가 지난 17일부터 양일간 주요 고객사 현업들과 함께 ‘아카데미 라이브(Academy Live)’를 열고, RPA를 전혀 사용해보지 않은 비개발자가 자신의 업무를 자동화해 볼 수 있는 체험형 교육세션을 진행했다. ▲유아이패스코리아 아카데미 라이브 현장 유아이패스는 2020년부터 1인 1로봇 시대를 여는 주체인 현업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보다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카데미 라이브는 조직의 구성원 누구든 직접 자동화 프로세스를 설계해 로봇을 사용하도록 하는 입문용 RPA 교육 및 실습 프로그램이다. 기존에 RPA 개발 경험이 없는 현업들도 단 3시간의 강의를 통해 기본적인 RPA 활용법을 습득해 간단한 업무를 직접 자동화해볼 수 있다. 아카데미 라이브는에서는 현업들이 사용하면 유용한 업무를 주제로 교육을 진행한다. 문서를 분석한 후 특정 정보만을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크롤링(Crawling) 및 스크레이핑(Scraping) 등의 간단한 자동화를 RPA로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유아
[첨단 헬로티] 해외 의존하던 선천성심장병 3D 모형, 자체기술로 3D 프린팅뿐 아니라 VR까지 상용화 애니메디솔루션은 지난 14일 '제8회 서울아산병원 선천성심장병센터 심포지엄'에서 ‘환자 맞춤형 심장병 3D 프린팅 시뮬레이터와 VR’ 기술을 선보였다고 밝혔다. ▲애니메디솔루션이 제작한 3D프린팅 심장 모형 이번 심포지엄은 ‘Simulation with 3D-printed models of cc-TGA’라는 주제 아래 ▲Anatomical repair of cc-TGA ▲Surgical outcomes after anatomical repair in cc-TGA ▲ Simulation surgical training course using 3D-printed model ▲ Isolated cc-TGA ▲Pro and Con session 총 5개의 세션으로 구성됐다. 심포지엄에서는 한국, 일본, 중국, 북미 소아심장 전문의들이 'cc-TGA(수정 대혈관 전위)'에 관한 광범위한 지식과 의견을 교환했다. 특강은 수정 대혈관 전위 치료의 세계적 대가인 위스콘신 소아병원(Children's Hospital of Wisc
[첨단 헬로티]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 장관은 지난 16일(월)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를 찾아 전국 19개 창조경제혁신센터(이하 센터)장 및 파트너 대기업 관계자와 그동안의 성과를 돌아보고, 대기업을 비롯해 다양한 지역 혁신주체들과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한 간담회를 가졌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이날 간담회에는 전국 센터장과 파트너 대기업 관계자들이 모두 참석했으며, 상생협력과 스타트업 육성을 통해 혁신성장의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놓고 열띤 토의가 진행됐다. 특히, 그동안 센터와 협업해 스타트업을 지원해온 사례와 대기업의 오픈이노베이션 활동 등을 공유하고, 센터를 상생협력 플랫폼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센터와 대기업이 협업해 시너지를 제고한 사례인 광주 센터와 현대자동차의 수소 스타트업 발굴, 충남센터와 한화의 태양광 소재 스타트업 지원, 대전센터와 KT·경기센터와 SK의 AI와 반도체 스타트업 육성, 울산센터와 현대중공업의 조선·해양 분야 오픈 이노베이션 사례 등을 공유하며, 대기업의 인프라를 활용한 센터의 특성화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또한, GS·롯데&middo
[첨단 헬로티] 국내 및 OECD 연구진 모여 디지털 경제 등에 대해 심도깊은 논의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지난 13일(금) 프랑스 파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본부에서 OECD, 산업연구원과 함께 '디지털 전환과 글로벌 경제 : 포용성 확보를 위한 정부의 역할'을 주제로 산업부-OECD 공동포럼을 개최했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산업부-OECD 공동포럼은 지난해 11월 서울에서 '4차 산업혁명과 기업혁신'을 주제로 열린 제1회 포럼에 이어 두 번째로 개최됐다. 금번 포럼에서는 디지털 전환과 고용없는 성장과 같은 새로운 산업·통상 환경의 변화 속에서 바람직한 정부 역할에 대해 논의했다. 김승호 신통상질서전략실장은 기조연설을 통해 OECD 가입 이후 한국의 변화상을 설명하면서 한국의 도전과제로 경제 회복, 포용적 성장 등을 제시했다. 또한, OECD도 민간 연구기관과의 경쟁 심화, 중국·인도 등 주요 경제권이 참여하지 않는 멤버십 대표성 문제에 직면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거버넌스 개혁, 의제설정 기능 강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1세션 발표에서는 디지털 기업들이 글로벌가치사슬에서의 산업생태계를 재편하는 상
[첨단 헬로티] 스카이스톤社가 세우는 세계 최고층 모듈러 호텔인 AC 메리어트에 오토데스크 솔루션 적용 소프트웨어 기업 오토데스크가 미국 뉴욕 건설사 스카이스톤(Skystone)이 세우는 세계 최고층 모듈러 공법 기반 호텔 ‘AC 메리어트 뉴욕 호텔(AC Marriott New York Hotel, 이하 AC 메리어트)’에 오토데스크의 주요 건축∙엔지니어링∙건설 솔루션이 활용된다고 발표했다. ▲완성된 용적형 모듈식 호텔 객실을 쌓아올리는 모습 미국 뉴욕 맨해튼에 자리 잡을 AC 메리어트는 총 26층, 168개 객실 규모를 자랑한다. 스카이스톤은 마감재, 가구 등이 완비된 모듈식 객실을 폴란드 생산시설에서 제작한 후 뉴욕으로 운송해 설치한다. 스카이스톤은 AC 메리어트에 오토데스크의 2D/3D CAD 소프트웨어인 AutoCAD(오토캐드)와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빌딩정보모델링) 소프트웨어인 Revit(레빗)을 설계에 적용하고, 프리컨스트럭션(Preconstruction) 솔루션인 오토데스크 Assemble(어셈블)을 도입했다. 이를 통해 자재 운송으로 인한 교통 혼잡이나 건축 폐
[첨단 헬로티] 와이어와 튜브 산업을 동시에 다루는 독일의 ‘와이어 튜브 2020(wire/Tube)’이 오는 3월 30일부터 4월 3일까지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개최된다. ▲우리나라에서는 튜브 2020의 경우 일진제강, 세아그룹, 성원 등 20개사가 참가할 예정이다. 2년에 한 번 개최되는 와이어 튜브는 누적 참가사 2만5천여 개사와 누적 방문객 90만 명을 기록하는 와이어 튜브 산업 최대 전시회다. 115,000㎡ 규모로 개최되는 와이어 튜브 2020은 전세계 2,600여 개사가 참가해 와이어/튜브 제조기계, 원자재, 특수전선/케이블, 유리섬유, 공정기술, 보조가공기술, 측정/제어기술, 테스트 엔지니어링 등 광범위한 제품군을 선보인다. 특히 2020년부터는 파스너 및 스프링 완제품이 전격적으로 추가된다. 130개국 74,000여 명의 방문객 규모를 자랑하는 와이어 튜브는 이로써 원자재부터 생산기계, 완제품까지 산업 전반을 두루 다루는 원스탑 종합 플랫폼으로서 확실히 자리매김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에서는 현재까지 50개사 이상이 참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와이어 2020에는 한화케미칼, 효동기계, 고려제강 등 24개사가 개별로 참가할 예정
[첨단 헬로티] 美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 에어택시 선도기업 오버에어에 대한 2500만 달러 투자 최종 승인 한화시스템은 6일(한국시간) 미국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가 에어택시 선도기업인 오버에어(Overair, Inc.)(기존 K4 에어로노틱스)에 대한 2500만 달러(한화 약 298억 원) 투자 계약을 최종 승인했다고 밝혔다. ▲버터플라이 기체 이미지 한화시스템은 지난 7월 미래 새로운 교통수단으로 주목 받는 에어택시 시장 진출을 위해 오버에어와 지분 투자를 통한 협력을 진행한다고 밝힌 바 있다. 오버에어는 에어택시 사업을 위해 수직이착륙기 전문업체 카렘 에어크래프트(Karem Aircraft)에서 분사한 기업으로, 세계적 승차공유서비스 기업 우버가 추진 중인 ‘우버 엘리베이트’의 핵심 파트너사 중 하나다. 이번 투자 승인 완료로 오버에어는 개인항공기(PAV, Personal Air Vehicle) 버터플라이(Butterfly)의 개발을 본격화한다. 한화시스템은 버터플라이 개발과정에 참여해 기술 및 사업 협력 시너지를 극대화할 예정이다. 버터플라이는 전기식 수직이착륙기(eVTOL) 타입으로 저소음 고효율의 최적속도
[첨단 헬로티] 지난 11일, 서울에서 열린 ‘Ultimate Public Chain SERO 개발자 컨퍼런스’가 성공적으로 끝을 마쳤다. 이번 행사는 SERO 펀드, Hero Global, LD 캐피탈 그리고 Tokencan이 공동 주최하였으며, 또한 MagNet, Coinin, DooriDoori, Gravitera, Coinvoice, Aliansi Koin, TVCC News, Hash.kr, Tokenpost, Blockchain Today, CoinNess, Block Media, BCNMEDIA, Icnews, Websmedia, Digital Insight, Hkbnews 그리고 쓰롄차이징(世链财经) 등의 업체가 협조했다. ▲SERO 개발자 콘퍼런스가 성황리에 마무리 됐다. 현장에는 세계 각지에서 모여든 블록체인 관련 인사와 정부 관계자, 유명 기업 관계자, 다양한 업계 거물들이 대거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더 많은 사용자에게 SERO를 알리기 위해 LD 캐피탈과 Hero Global의 회장직 및 SERO 투자자를 맡은 Jack.Yi와 LD캐피탈과 Hero Global의 한국 대표직을
[첨단 헬로티]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 R&D 센터 설립 한국이구스가 13일 인천시 송도 국제도시 내 위치한 신공장에서 준공식을 마쳤다. 인천 경제 자유구역청장과 KOTRA 옴부즈만 등 약 50명이 참석해 송도에서의 새로운 출발을 기념했다. ▲한국이구스 송도 신사옥 준공식 전경 준공식 행사는 인천 경제 자유구역 청장과 시공사, 취재진을 포함해 약 50여명이 참석했으며, 본격적 업무는 12월 23일부터 재개된다. 지난 3월 착공을 시작한 연면적 6941.97㎡(2,080평) 규모의 본 건물은 독일 igus 쾰른 본사의 특징을 그대로 재현하기 위해 사무실의 모든 벽을 없애고 내부에는 통유리 창을 달았다. 전체 동을 두 개의 섹션으로 나눠 좌측 2, 3 층에 사무실을 배치하고, 우측을 1, 2층으로 나눠 공장으로 운영한다. 사무실과 공장은 서로 전면 유리를 통해 모두 보일 수 있게 했다. 부서 간 원활한 소통을 돕고 업무의 투명성을 높이겠다는 취지다. 각 건물 블록을 지지하면서 하늘을 향해 서 있는 노란 철탑은 이구스의 솔라 시스템을 반영하고 있다. 김종언 대표 이사는 준공식 기념사에서 “smart plastics 제품 라인과 iSense 시
[첨단 헬로티] 산업, 과학기술·ICT, 보건의료, 건설인프라 등 분야 협력확대 추진 산업통상자원부는 현지시각 12일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장관과 버르거 미하이(Varga Mihaly) 헝가리 재무부 장관을 수석대표로 하는 제3차 한-헝가리 경제공동위원회를 개최하고 소재부품 등 양국간 경제협력 확대방안을 논의했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금번 회의를 통해 양측은 헝가리가 전기차 등 신산업과 관련된 소재·부품의 생산 거점으로 전환되고 있는 점을 주목하고 소재·부품 분야의 기술협력을 강화해가기로 합의했다. 양측은 유레카(Eureka) 사업을 기반으로 한 공동 R&D 협력을 소재·부품 중심으로 점차 확대하고 헝가리의 자율차, 레이저 등 테스트베드 인프라를 활용해 시험인증 분야 기술 협력도 추진키로 했다. 이에,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과 헝가리 국가연구개발혁신청(NRDI)은 양측 장관 임석 하에 ‘한-헝가리 산업기술 협력 MOU’를 체결했다. 또한, 양측은 2014년 초미세 그래핀 나노리본의 세계 최초 개발처럼 양국 과학기술 공동연구사업이 재료, 바이오, 5G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