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1년까지 6,890억 달러 규모 성장 전망 물류기술 3대 트렌드는 자동화·IoT·AI 분석 스마트 물류 시장이 4차 산업혁명 기술과 함께 급성장하고 있다.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분석, 자동화 기술 등의 도입이 물류 및 공급망 부문의 혁신을 주도하며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 절감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 특히, 실시간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이 가능해지면서 전자상거래의 확산과 맞물려 시장 성장세가 가속화되고 있다. 스마트 물류 시장 전망과 성장 동력 스마트 물류 시장은 빠른 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2023년 시장 규모는 약 2,884억 5천만 달러로 평가됐으며, 2031년까지 약 6,890억 8천만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연평균 성장률(CAGR) 11.5%에 해당하는 수치다. 또한, 디지털 물류 시장의 경우 2023년 약 281억 3천만 달러에서 2032년에는 1,203억 3천만 달러로 성장하여 연평균 17.8%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성장은 △전자상거래의 확대 △물류 자동화 및 AI 기반 최적화 △실시간 물류 데이터 분석 기술의 발전 등에 기인한다. 온라인 쇼핑이 활성화되면서 더 빠르고 정확한
머신비전, 2032년까지 연평균 8.7% 성장 전망 제조·의료·물류·자동차 산업에서 도입 가속화 글로벌 머신비전 시장이 인공지능(AI) 기반 이미지 인식, 3D 비전 카메라, 로봇 비전 기술의 발전과 자동화 수요 증가에 힘입어 2032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 8.7%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Fortune Business Insights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제조, 의료, 물류,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머신비전 솔루션의 도입이 확대되면서 시장 성장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AI 및 3D 비전 기술 발전이 시장 확대 견인 머신비전 시장의 주요 성장 동인은 AI 기반 이미지 인식 기술의 발전과 3D 비전 카메라의 도입이다. 머신러닝과 딥러닝 알고리즘이 발전하면서 이미지 인식의 정확성과 효율성이 높아졌으며, 이는 머신비전 시스템의 성능 개선으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3D 비전 기술은 복잡한 구조의 물체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측정할 수 있어 정밀한 검사와 조립이 필요한 산업에서 그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로봇 비전 기술의 발전도 머신비전 시장 확대의 핵심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로봇과 머신비전 기술이 결합되면서 자동화된 생산 라인의
루첸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EASY CLAMP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EASY CLAMP는 Contact가 바디 내부에 들어가 있는 구조로 전기적으로 안전한 것은 물론, 폭넓은 적합 전선의 적용으로 샌서, I/O신호에 적합한 3mm 피치의 e-con준거 커넥터를 제공한다. 별도의 전처리 작업이나 전용공구 없이 전선만 산입하여 플라이어로 압착하면 접속된다. 루첸코리아는 30년 이상의 커넥터와 서보모터 등의 전문지식을 보유한 커넥터 제조업체인 Denk Electronics에 의해 설립되었다. 중국의 서보 모터및 전자장비 회사인 이노반스테크놀로지, 액셀링크, HCFA테크놀로지, 덕신테크놀로지에 공급하는 등 전세계 기업을 대상으로 서비스한다. 또한 개발, 가공, 조립, 생산 및 포장에 이르는 노하우와 중국에서 제조되는 와이어링
지경솔루텍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JK-PLM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JK-PLM은 제품의 기획 수주에서 설계, 생산, 판매, A/S에 이르는 제품 개발 과정의 모든 데이터(도면, 기술문서, BOM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한다. 전체 제품 개발 과정이 Process(프로젝트, 도면 작성, 설계 변경)를 최적화하여 개발 기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절감하며, 품질 향상으로 경쟁력을 강화한다. 지경솔루텍은 2005년 CAD/CAM/CAE/PLM 분야에 있어 최고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설립된 엔지니어 중심의 기업이며, 이를 기반으로 CAD/CAM/CAE/PLM 도입에 있어 안정적인 성공을 보장한다. 또한, SIEMENS Industry Software의 제품을 여러분께 공급할 수 있는 공식 총판으로 Solid Edge를 기반으로 국내 기업
코니웰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CTA 시리즈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Carlo Gavazzi의 CTA 시리즈는 정확성, 컴팩트한 디자인, 내구성, 호환성 등 다양한 장점을 갖춘 전류 변환기다. 에너지 관리, 산업 자동화, 상업용 전력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신뢰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또한 WM15는 모든 스위치보드에 설치하여 에너지 소비, 주요 전기 변수 및 고조파 왜곡을 제어할 수 있다. 코니웰은 20여년 동안 모션관련 디바이스, 스테이지, 차단기, 센서, HMI, PLC 등 전장/계장 관련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으며 국내 유수 반도체, 물류 장비업체와 협력하고 있다. 20여년의 노하우를 기반으로 공장자동화 관련 부품 공급 및 소(재)부(품)장(비) 국산화에 발맞춰 국내의 우수한 아이템과 고객 필요에 맞는 기술을
쾨르버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PAS-X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PAS-X는 대규모 다국적 기업과 지역 및 중간 규모 기업을 위해서 소프트웨어, 종합 서비스 및 사전 구성된 콘텐츠가 포함된 완전한 MES 솔루션을 제공한다. 제약 및 바이오의약품 산업의 모든 응용 분야에서 즉시 사용 가능한 표준 기능 소프트웨어가 포함된다. 또한, 사전 구성된 MES 콘텐츠 패키지를 제공하여 PAS-X 구축을 신속하게 시작할 수 있도록 돕는다. 쾨르버는 전 세계적으로 200개 이상의 지점을 보유하고 디지털, 제약, 공급망, 조직 및 담배 사업 영업에서 제품 솔루션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 쾨르버 제약 사업 영역에서는 제약 가치 사슬 전반에서 독자적으로 연동된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이용해 차별화된 서비스를 선보인다. 한편, AW 2025은 국제공장
마이링크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Link PMS UX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Link PMS UX는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과 기능을 Dashboard에 직접 배치할 수 있으며, 직관적인 UX를 제공함으로써 쉽고 편리하게 프로젝트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재무관리, 생산관리, 구매관리, 인사관리, 영업관리 등 업무와 연동된 일정관리와 협업을 통한 자원배분으로 효율적인 프로젝트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마이링크는 대한민국 중소 중견 제조업체들의 특성에 맞는 프로세스 디지털화와 이를 활용한 융합의 중심을 만들고자 앞장선다. 제조업을 위한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사스(SaaS) 서비스, 세분화된 기업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구축 서비스, 제조 및 협업 서비스의 필요 기능한 사용할 수 있는 워크플로우 서비스 등 다양한 가치를 중
제이씨테크놀로지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참가해 물리적 위치 정보 측정이 가능한 POSITAL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Encoder는 공장자동화로부터 운송기계 제어에 이르기까지 기계장치의 정확한 물리적 위치 정보 측정을 위하여 필요한 필수 센서로, POSITAL 로터리 엔코더는 전원 차단 시에도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며,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고 자가 발전 시스템이 적용된다. 이외에도 실시간 모션제어 시스템 구성 및 유지보수가 불필요한 경제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Kit-Encoder 등을 함께 전시했다. 제이씨테크놀로지는 국외 센서 중 최상의 품질 제품을 공급한다. 고객 맞춤 서비스로 해외 본사와 협의하여 CUSTOM PRODUCTS를 공급하며, 공급된 PRODUCTS의 기술지원 서비스 및 설치용역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BINDER
현대오토에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소프트웨어 정의 공장(SDF, Software Defined Factory)’ 솔루션 ‘네오팩토리(NNNEO Factory)’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현대오토에버가 공개한 네오팩토리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생산, 품질, 데이터 관리 등 모든 제조 시스템을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통합하고 제어하는 SDF 솔루션이다. 네오팩토리는 'NEO'의 ‘3N’이 의미하듯 새로운 기술(NEO Technology), 새로운 생활(NEO Life), 새로운 경험(NEO Experience)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SDF는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는 핵심 기술로 기존의 물리적 장비 중심 공장을 소프트웨어 중심의 유연한 생산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개념이다. 현대오토에버는 네오팩토리를 통해 4M(Man,
현대글로비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자사의 스마트물류솔루션 사업 역량과 물류 자동화 기술력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현대글로비스는 이번 전시에서 ‘스마트물류 특별관’에 부스를 마련하고, 물류 자동화 기술과 디지털 전환(DX)을 통한 스마트물류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물류솔루션은 물류 전 과정에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로보틱스 등 다양한 첨단 기술을 적용해 물류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시스템이다. 현대글로비스는 최적화된 시뮬레이션 알고리즘, 로봇기술, AI, 디지털 트윈(가상모형) 등의 소프트웨어 기술을 기반으로 고객사의 물류 환경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현대글로비스는 2023년 물류 자동화 소프트웨어 기업 알티올(Altiol)의 지분 70%를 인수하며 스마트물류 기술력을 강화했다. 이를 바탕으로 유통, 소비재,
IoT 기반 물류 인텔리전스 솔루션 기업 윌로그가 대전광역시에서 추진하는 의료용 드론 배송 실증사업에 참여한다. 이번 사업은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2025 드론실증도시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드론을 활용한 도심 내 실시간 의료물자 배송 체계를 검증하는 프로젝트다. 이번 사업은 혈액, 검체, 응급약품 등을 신속하게 수송하여 교통 체증이나 긴급 상황에서도 의료물자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대전시를 중심으로 국군대전병원, 태경전자 등과 협력하여 추진하는 전국 최초의 의료용 드론 실증사업으로 향후 의료 분야에서 드론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는 중요한 사례가 될 전망이다. 윌로그는 의료용 드론의 안정적인 운영을 지원하고 혈액·검체·의약품 등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모니터링 및 최적화 시스템을 개발할 예정이다. 윌로그의 센서 디바이스를 통해 운송 중인 의료물자의 온도, 습도, 충격 등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이상 징후 발생 시 관계자에게 즉각 알람을 제공하는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혈액 및 의약품이 최적의 상태로 안전하게 운송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윌로그는 지난 2021년 설립된 이후 IoT 기술을 활용한 물류 데
글로벌 풀필먼트 솔루션 기업 오토스토어가 AI 기반 자동화 기술을 적용한 차세대 물류 솔루션을 발표했다. 이번 솔루션은 주문 피킹 자동화, 운영 효율성 향상, 유지보수 간소화를 목표로 캐러셀AI™, 베르사포트, 에센셜 소프트웨어 패키지, 확장된 피오 제품군, 서비스타워 등 총 5가지 기술로 구성된 점이 특징이다. 캐러셀AI™는 오토스토어가 처음 선보이는 AI 기반 로봇 피스 피킹 솔루션으로 로보틱스 기술 선도기업 버크셔 그레이(Berkshire Grey)와 협력하여 개발되었다. 이 솔루션은 주문 피킹 프로세스를 자동화해 연중무휴 24시간 운영이 가능하며 다양한 SKU를 효율적으로 처리해 풀필먼트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기존 오토스토어 고객은 대규모 인프라 변경 없이 캐러셀AI™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으며 올해 여름부터 글로벌 시장에 출시될 예정이다. 베르사포트(VersaPort™)는 물류창고 운영의 유연성과 안전성을 극대화하는 차세대 워크스테이션 솔루션이다. 다양한 워크플로우와 고객의 운영 요구 사항에 맞춰 쉽게 조정할 수 있으며 창고 관리 소프트웨어(WMS)와 직접 연동해 인바운드·아웃바운드 작업을 원활하게 전환할 수 있다. 2025년 여름 유럽 및 북미 시장
포스로직(FOURTHLOGIC)은 오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스마트공장 자동화산업전(AW2025)’에 참가해 고성능 컴퓨터 비전 솔루션을 선보인다. 포스로직은 2D, 3D, AI 기반의 최첨단 비전 알고리즘을 통합한 단일 컴퓨터 비전 라이브러리 에프엘이미징®(FLImaging®)과, 노드 기반의 자동화 프로그래밍 솔루션 SNAP®을 출품한다. 이 두 가지 솔루션은 빠르고 정밀한 비전 데이터 처리, 직관적인 개발 환경, 고성능 AI 연산 기능을 제공해 산업 자동화의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에프엘이미징®(FLImaging®)은 Rule-Based 및 딥러닝 비전 프로세싱을 통합한 고성능 컴퓨터 비전 라이브러리로, 1,300개 이상의 고성능 비전 알고리즘을 포함하고 있다. 100% 독자적인 원천 기술을 기반으로 글로벌 최고 수준의 처리 속도, 정확도 및 안정성을 보장하며, CPU & GPU 최적화를 통해 초고속 연산을 지원하고 대용량 이미지 데이터를 무손실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서브픽셀(Sub-pixel) 정밀도를 지원해 초정밀 분석이 가능하며,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도 강력한 이미지 처리 신뢰성을 제공한다. 직관적인
뉴로클은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AW2025)’에 참가해 AI 기반의 오토딥러닝 비전검사 솔루션을 선보인다. 뉴로클은 반도체, 배터리, 자동차 등 다양한 제조업 분야에서 활용되는 AI 비전검사 기술을 제공하며,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오토딥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비전검사의 정확도를 높이고 공정 자동화를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번 전시에서 뉴로클은 Neuro-T(뉴로티)와 Neuro-R(뉴로알)을 출품한다. 뉴로티는 딥러닝 모델을 생성하는 소프트웨어로, 오토딥러닝 알고리즘을 탑재해 모델 구조와 학습 파라미터를 자동으로 최적화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이미지 데이터 전처리, 레이블링, 모델 생성 및 성능 평가를 쉽고 빠르게 진행할 수 있으며, 높은 정확도의 검사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뉴로알은 뉴로티에서 생성한 모델을 실제 검사 라인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런타임 라이브러리로, 다양한 프로세서와 플랫폼에서 원활하게 작동한다. 뉴로클은 최근 Neuro-T 및 Neuro-R의 4.3 버전을 출시하며, OCR 텍스트 규칙 기능을 새롭게 추가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특정 레이아웃이나 조건에
LUCID Vision Labs, Inc.는 오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5(AW2025)’에 참가해 최신 머신 비전 카메라 및 센싱 기술을 선보인다. AW2025는 머신 비전 부품 및 솔루션을 위한 한국 최대 규모의 산업 전시회로, LUCID는 이번 행사에서 고속 데이터 전송, 이벤트 기반 감지, 3D Time-of-Flight(ToF) 기술을 갖춘 최첨단 카메라 제품군을 시연할 예정이다. 이번 전시에서 LUCID는 Triton®10 10GigE IP67 카메라를 새롭게 공개한다. 이 제품은 좁은 공간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콤팩트한 디자인을 갖추었으며, 방진 및 방수(IP67 보호) 기능과 17핀 M12 GPIO를 제공한다. 44 x 44 x 82mm 크기로 설계된 Triton®10은 이더넷을 통한 전원 공급(PoE)과 원격 직접 메모리 액세스(RDMA) 기술을 지원해 CPU와 OS를 거치지 않고 메인 메모리로 직접 이미지 데이터를 스트리밍할 수 있어 더욱 안정적인 고성능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또 LUCID는 Triton®2 EVS 이벤트 기반 2.5GigE 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