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국내 유일 SiC 전력반도체 생산기업 ‘예스파워테크닉스’ 투자... 33.6% 지분 확보

▲전력반도체는 전력이 필요한 전자제품, 전기차, 수소차, 5G 통신망 등의 전류 방향을 조절하고 전력 변환을 제어하는 필수 반도체다. (출처 : SK)
SK가 전자기기, 전기차, 수소차 등의 필수 부품 실리콘카바이드(SiC·탄화규소) 전력 반도체 시장에 진출한다.
SK는 차세대 핵심 부품·소재인 SiC 전력반도체 분야의 국내 생태계를 육성한다는 목표 아래 예스파워테크닉스에 268억 원을 투자해 지분 33.6%를 인수했다고 28일 밝혔다.
전력반도체는 전력이 필요한 전자제품, 전기차, 수소차, 5G 통신망 등의 전류 방향을 조절하고 전력 변환을 제어하는 필수 반도체다.
특히 SiC 전력반도체는 전력이 필요한 전기차, 수소차 뿐만 아니라 신재생에너지발전 등 친환경 산업의 근간을 이루는 첨단 소재이자, 5G 통신 중계기 전원 등 디지털 기반의 4차산업을 이끄는 핵심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2017년 설립된 예스파워테크닉스는 SiC 전력반도체 생산 체제를 갖추고 있는 유일한 국내 기업이다. SiC 전력반도체는 소재 특성상 강도가 높아 고온 공정을 통한 생산이 필수적인데, 예스파워테크닉스가 국내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고온(高溫)공정이 적용된 생산라인 등 SiC 전력반도체 생산 체제를 구축했다.
예스파워테크닉스는 포항에 100mm 및 150mm 혼합 생산 기준, 전기차 약 14만 대 분량에 해당하는 연산 최대 1만4400장 규모의 SiC 전력반도체 생산라인을 갖추고 있다.
실제 SiC 전력반도체 시장은 첨단소재 분야 중에서도 기술 난이도와 진입장벽이 높은 영역으로 꼽힌다. 고객 맞춤형 소량생산 방식으로 형성된 시장 특성상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맞게 최적화된 칩을 설계할 수 있는 기술이 밑바탕되어야 하고, 고온 공정을 제어할 수 있는 생산 노하우도 필수적이다.
앞으로 SK는 연구개발 지원 및 설비 증설 투자 등 예스파워테크닉스 고유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한편, 그룹 내 반도체 및 웨이퍼 사업과의 시너지 창출 방안도 구체화해 나갈 계획이다.
SK 관계자는 “기존 1~2세대 반도체가 ‘산업의 쌀’이었다면, SiC 전력반도체는 전기차, 신재생에너지 등 친환경 산업의 근간을 이루는 ‘친환경 산업의 쌀’이라고 할 수 있다”며 “이번 투자를 통해 그룹 차원의 ESG 경영 실천을 가속화하는 한편, SiC 전력반도체의 해외 의존도를 낮추고 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