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출처 : 중소벤처기업부)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 전기차 충전서비스 특구‘의 전기차 충전인프라 고도화와 전기차 성능·상태 진단서비스의 사전준비가 순조롭게 진행됨에 따라 21일 본격적인 실증착수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중기부는 이번 실증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전기차 보급률로 전기차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제주가 규제자유특구를 통해 전기차 충전에 따른 불편을 해소하고, 전기차 중고 거래 활성화에도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먼저 충전인프라 고도화 실증은 이미 설치되어 있는 50kw 급속충전기에 50kw 용량의 에너지저장장치(ESS)를 병합해 기존의 50kw 급속충전기를 그대로 활용하면서도 100kw 급속충전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기존 50kw 급속충전기로는 전기차를 80% 수준까지 충전하는데 40분 정도 소요됐지만 에너지저장장치(ESS)를 병합해 100kw로 상향 시 20분이면 충전이 가능하게 되어 50% 가량 충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급속충전기 교체 없이도 성능 고도화가 가능해 비용절감 효과도 노릴 수 있다.
현재 에너지저장장치(ESS)를 병합한 충전기에 대한 인증기준이 마련돼 있지 않아 사업화에 어려움이 있었다. 제주 규제자유특구는 기존 급속충전기에 에너지저장장치(ESS)를 병합해 인증기준을 마련할 수 있도록 실증특례를 부여했으며, 실증을 통해 마련된 인증기준은 향후 국내 표준에 채택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실증 추진에 앞서 양측이 가장 주안점을 둔 것은 안전성 확보였다. 이에 소관부처인 산업부와 안전대책 방안을 지난 9월 협의 완료하고, 에너지저장장치(ESS)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국가통합인증마크(KC)인증 제품을 사용했으며 배터리 충전율도 70%~20%로 제한했다.
실증착수 시에도 인구가 밀집하지 않은 지역의 실내장소에서 실증 전용 전기차를 대상으로 먼저 실증이 이뤄지고, 안전성이 확보되면 실외 실증을 진행하며, 대상 차량도 관용차까지 확대한다.
중기부는 화재나 정전 등의 돌발상황에도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실시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을 4월 중 구축해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기차 성능·상태 진단서비스는 중고 전기차 거래 활성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고객이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해 중고 전기차의 배터리 충·방전 횟수나 성능 등을 진단하고 차량의 현재 가치를 산정해 중고차 거래 시 참조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형 성능점검 차량을 운행한다.
이번 실증은 이동형 성능점검 차량을 통해서도 자동차 점검이 가능하게 했으며, 내연기관과 달리 구조가 단순한 전기차의 특성을 감안해 전기차 성능·상태 점검에 불필요한 내연기관 시설 장비 등은 갖추지 않아도 되도록 특례를 부여했다.
중기부는 제주도의 경우 2011년 전기차 선도도시로 지정된 이후 10여 년이 흘러 배터리 보증기간이 도래하거나 지났기에 중고 전기차 거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관련 시장 활성화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김희천 중기부 규제자유특구기획단장은 “이번 실증을 통해 높은 전기차 보급률을 보이고 있는 제주가 전국 최고 수준의 충전 인프라로 주민들의 편의를 제고하고 전기차 충전시장을 선도해 나갈 수 있게 됐다”며 “실증의 성과가 제도개선과 사업화로 이어지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