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우리나라의 자동차 산업 수출입이 전년동월에 비해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11월 국내 자동차산업은 전년동월 대비 생산 11.3%, 내수 1.3%, 수출 8.6% 각각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했다고 13일 밝혔다.
최근 2년간 월 단위 최고 실적을 기록한 전년도 11월(390,562대) 기저효과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11.3% 감소한 34만6379대를 생산하였으나, 월평균 생산량(32만8462대, 5.5%↑) 보다는 1만7917대 더 많이 생산했다.
올해 11월 생산 감소는 기아 신차 주기 도래, 한국지엠 트랙스 물량 감소와 유럽수출 중단, 르노삼성 닛산로그 위탁물량 감소 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내수부분에서 국산차는 전년 동월 대비 3.1% 감소, 수입차는 8.9% 증가하여 전체 내수는 1.3% 감소한 16만586대를 판매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일본 브랜드의 약세에도 불구하고, 폭스바겐 티구안(9월), 아우디 Q7(7월), A6(10월) 등 신차효과에 따라 전년동월 대비 8.9% 증가한 2만6273대가 판매됐다.
수출 부분에서는 친환경차 수출 호조세의 지속으로 고부가가치 제품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나, 작년 월단위 최고 실적을 달성한 ‘18.11월 기저효과와 위탁생산 물량 감소 등으로 전년동월 대비 8.6% 감소한 21만7498대 수출에 그쳤다.
다만, 대수기준(△8.6%)에 비해 금액기준으로 소폭 감소(△1.4%), 이는 상대적으로 고가인 SUV와 친환경차 수출 확대에 기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역별로는 현대·기아의 북미실적 회복과 사우디 수요 확대로 중동 등에서 증가, 아시아․중남미 등은 경제회복 지연으로 이 지역에서는 감소 추세를 보였다.
올해 11월 자동차부품의 수출은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 중국 등 해외생산 감소, 유로존 경기둔화 등으로 전년동월 대비 9.4% 감소한 17.7억달러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