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산업통상자원부는 1월 3일, 재생에너지 산업계 간담회를 개최해 현재 마련 중인 ‘재생에너지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초안 주요 내용을 설명하고 업계 의견을 청취했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에는 정부의 입장을 대표해 주영준 에너지자원실장과 이상훈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센터소장이 태양광 업계 대표로 한화큐셀, 현대중공업, LG전자, 신성ENG, OCI, 웅진에너지 등이 참석했다,
간담회에서는 재생에너지 확대와 국민의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국토의 효율적 이용과 친환경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태양광 업계가 노력해야 한다는 데 정부와 업계가 의견을 같이했다. 또, 이를 위한 구체적 방안에 대해 집중적인 논의가 있었다.
정부는 고효율 제품을 정부 보급사업의 지원 대상으로 우선 지원해 태양광 발전소 설치에 따른 토지의 사용 면적을 감축시켜야 한다고 보고 있다. 태양광 패널 효율이 1% 상향되면 설치부지가 4~6%가량 축소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시중에서 유통되는 태양광 제품의 품질을 보장하고, 고효율 제품 개발의 동력을 부여하기 위해 태양광 패널에 대한 최저효율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정부는 향후 국가기술표준원과 KS 인증기준 개정을 검토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최저효율제가 적용되는 제품은 정부 보급·대여사업과 RPS(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제도) 설비에 사용되는 제품으로 우선 한정한다.
이와 함께 납 성분이 없는(Pb-free) 태양광 패널을 생산·유통하도록 KS인증에 납 미함유 기준을 반영하는 방안도 논의됐다. 친환경성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은 수상태양광, 영농형태양광 사업에 적용을 검토한다.
간담회에 참석한 기업들은 재생에너지를 확대하고 국민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국토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친환경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노력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주영준 산업부 에너지자원실장은 “지난 2018년은 국내 태양광 시장이 전년(1.3GW)대비 50% 이상 성장한 2GW 수준이었다”며 “작년이 태양광 보급 확대에 중점을 둔 한해였다면, 기해년 올해는 태양광 업계가 대국민 수용성 확보와 함께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