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전세계 지역별 반도체 웨이퍼 생산 능력이 대만, 한국, 일본, 북미, 중국, 유럽 순으로 나타났다.
시장조사기관인 IC 인사이트는 2016년 12월의 지역별 웨이퍼 생산 점유 랭킹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대만이 전체의 21.3 %로 1위를 차지했다.
대만에 이어 한국이 20.9%의 점유율을 보이며 2위를 기록했다. 3위는 17.1%의 일본이 차지했고, 4위는 13.4%의 북미, 5위는 10.8 %의 중국이 각각 올랐다, 이번 조사 결과는 웨이퍼 생산 공장을 가진 기업의 본사 소재지가 아닌 공장이 있는 지역을 기반으로 집계됐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가 북미에서 가동하고 있는 팹은 북미의 생산 능력으로 계산됐다.
IC 인사이트에 따르면, 대만의 점유율은 2015년의 21.7 %에서 21.3%로 소폭 감소했다. TSMC와 UMC가 대만 전체의 73%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은 2015년 20.5%에서 20.9%로 점유율이 늘어났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한국 전체 생산 능력의 93%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은 가장 빠르게 웨이퍼 생산 능력이 증가하고 있으며, 점유율로 보면 2015년 9.7%에서 10.8%로 늘어났다.
한편, 2010년까지 선두였던 일본은 점유율 17.1%로 3 위를 차지했으며, 도시바와 르네사스 테크놀로지의 2 개사가 일본 전체의 64%를 차지하고 있다.
김진희 기자 (eled@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