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양자암호통신 기술, 노키아 통신 장비에 탑재된다

2017.02.28 09:05:18

[헬로티]

SK텔레콤이 개발한 양자암호통신 기술이 글로벌 네트워크 기업인 노키아의 차세대 전송 장비에 탑재돼 전세계로 확산된다.


SK텔레콤은 27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2017)’에서 노키아와 양자암호통신 사업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SK텔레콤과 노키아는 올해 하반기까지 SK텔레콤 양자암호기술 기반 ‘퀀텀 전송 시스템’을 공동 개발하고, 이를 노키아의 차세대 광전송 장비에 탑재해 상용화하기로 했다.


SK텔레콤에 따르면 양자암호통신은 분자보다 더 작은 단위인 ‘양자’를 활용한 암호화 기술로, 현존 어떤 해킹 기술로도 뚫을 수 없는 가장 완벽한 통신 보안 체계로 알려져 있다. 이 기술은 국방∙금융∙데이터센터∙자율주행차∙사물인터넷(IoT) 등 데이터 해킹이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영역에서 적용 가능하다.


SK텔레콤은2011년부터 양자기술연구소(Quantum Tech. Lab)를 종합기술원 산하에 설립하는 등 양자암호 원천기술과 상용시스템 개발을 진행해왔다.


SK텔레콤은 ‘MWC 2017’에서 자사 양자암호통신 기술과 노키아 네트워크 기술을 결합한 ‘퀀텀 전송 시스템’을 시연하는 데 성공함에 따라 한국은 미국 · 중국 대비 개발 시작이 늦었음에도 불구하고 양자 암호 기술을 세계에 수출할 수 있는 ‘기술종주국’ 반열에 올라섰다고 강조했다.


노키아의 라지브 수리(Rajeev Suri) CEO는 “SK텔레콤의 양자통신 기술로 현존하는 가장 강력한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초석을 마련했다”며, “이를 기반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사이버 보안 시장 수요에 발 빠르게 대응해 갈 것”이라고 밝혔다.


SK 텔레콤은 유럽 도이치텔레콤과도 자사 양자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글로벌 생태계 구축 추진을 위한 상호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SK텔레콤은 이번에 공개한 ‘퀀텀 전송 시스템’ 외에도 양자암호기술을 사물인터넷 (IoT) 기기에 적용하기 위한 기술 개발에도 나서고 있다.


SK텔레콤은 초소형(5mm*5mm) 비메모리 반도체인 ‘양자난수생성기(Quantum Random Number Generator ; 이하 QRNG)’를 올해 상반기 안에 개발을 완료하고, 연내 상용화할 계획이다.


‘QRNG’는 양자암호를 생성하는 핵심 기술로, 추정 불가능한 난수를 생성한다. 현재 ‘QRNG’는 신용카드 크기라 스마트폰 등에 탑재할 수 없다. 하지만 초소형 칩이 개발되면 스마트폰, 사물인터넷 기기, 자율자동차 등에 탑재할 수 있다. 이는 취약하다고 알려진 IoT보안을 크게 강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황치규 기자(delight@hellot.net)



Copyright ⓒ 첨단 & automationasia.net



상호명(명칭) : ㈜첨단 | 등록번호 : 서울,아54000 | 등록일자 : 2021년 11월 1일 | 제호 : 오토메이션월드 | 발행인 : 이종춘 | 편집인 : 임근난 | 본점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 127, 3층, 지점 : 경기도 파주시 심학산로 10, 3층 | 발행일자 : 2021년 00월00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유활 | 대표이사 : 이준원 | 사업자등록번호 : 118-81-03520 | 전화 : 02-3142-4151 | 팩스 : 02-338-3453 | 통신판매번호 : 제 2013-서울마포-1032호 copyright(c)오토메이션월드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