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정부는 내년도 연구개발(R&D) 예산을 올해 24.2조원보다 12.3% 증액한 27.2조원으로 편성했다.
연구개발 예산 증가율은 2020년 18.0%, 2021년 12.3%로 2년 연속 두 자릿수 증가세를 유지했다.
이는 최근 어려운 경제 여건에서도 연구개발이 미래세대를 위한 게임 체인저가 되어야 한다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확대된 연구개발 예산은 한국판 뉴딜, 감염병, 소부장, 빅3, 기초원천R&D, 인재양성의 6개 분야에 13.2조원 투자될 계획이다.
그 내용을 보면, 우선 한국판 뉴딜을 뒷받침하기 위해 1.9조원이 투자된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 5세대 이동통신 등 디지털 핵심기술 확보와 비대면 산업 기술개발 및 사회간접자본 디지털화 등을 지원하게 된다. 또한 녹색도시 기반 구축과 신재생 에너지 고효율화, 유망 녹색산업 육성 등에도 지원된다.
코로나19, 신·변종 감염병 대응에는 2000억 원이 편성되어, 코로나19 치료제, 백신 개발 투자를 강화하고 생물안전연구 시설 증설 등 감염병 연구를 위한 기반 구축을 지원하기로 했다.
소재·부품·장비 연구개발 예산에는 2.2조원을 편성하여, 코로나로 인한 글로벌 밸류체인 재편 등에 대응하여 대일 100대 품목을 대 세계 338개로 확대 및 관리할 방침이다.
그 외 △바이오헬스·미래차·시스템반도체 등 빅3에 2.3조원 △미래과학기술 역량강화를 위한 기초R&D에 7.3조원 △신기술 분야 핵심 고급인재 양성에 0.3조원 △다부처 공동융합 R&D에 1.2조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smartmap_2_21.png)
/smartmap_2_22.png)
/smartmap_2_23.png)
/smartmap_2_24.png)
/smartmap_2_25.png)
/smartmap_2_26.png)
/smartmap_2_27.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