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유기나노소재 기반 생체모방형 인공신경 기술’, ‘3D Full-color 홀로그램 제조 플랫폼 기술’ 등 2019년도 10대 나노융합 신기술이 선정되었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2019 나노융합성과전」을 2019년 11월 21일 서울역 밀레니엄 힐튼에서 개최하였다.
이번 성과전은 올해 8회째로 산업부 강경성 소재부품산업정책관, 과기정통부 용홍택 연구개발정책실장, 나노기술인 200여명이 참석하여, 2019년도 10대 나노융합 신기술 우수성과를 선정 발표하였다.
이날 강경성 산업부 소재부품산업정책관은 “이번에 선정된 10대 나노융합 신기술이 우리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소재·부품·장비 분야 기술력의 원천이 되는 나노융합 신기술을 통한 신소재·부품을 개발하여 미래 신산업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용홍택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은 “나노융합 신기술은 산업 전반에 적용이 가능한 기반기술로서, 특히 소재·부품·장비의 중장기 경쟁력 확보의 핵심기술”이라며, 정부의 전략적 투자계획에 산학연 관계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하였다.
2019년도 10대 나노융합 신기술
1 |
색과 소리를 동시에 조절 할 수 있는 유연 포토닉 나노 소자 (서울대 선정윤 교수) • 유전탄성체를 통해 소리를, 소자 격자 간격 변화를 통해 색을 동시에 조절하는 ‘포토닉 크리스탈’ 기술 |
2 |
유기나노소재를 이용한 생체모방형 인공신경기술 (서울대 이태우 교수) • 나노 센서 촉각 수용체로 전달된 압력 정보를 인공 뉴런을 거쳐 인공 시냅스로 전달시키는 생체모방 신경기술 |
3 |
전기없이 작동하는 플렉서블 색채 냉각복사 나노소재 개발 (광주과기원 송영민 교수) • 절연체인 질화규소와 이산화규소를 순차적으로 쌓아 효과적으로 열을 냉각시키고, 이산화규소층의 두께 조절을 통해 색을 나타내는 나노 소재 기술 |
4 |
양자점/비정질 나노복합 반도체를 이용한 다진법 트랜지스터 (한양대 성명모 교수) • 초격자 구조로 적층된 나노복합 산화아연층을 구성하고, 전기장 크기에 따라 계단식으로 전류를 제어하여 정보를 저장하는 방식으로 구동되는 다진법 트렌지스터 기술 |
5 |
나노입자/나노섬유기반 유해환경 및 호흡가스 분석 센서 기술 (KAIST 김일두 교수) • 3 nm 이하의 고성능 촉매를 나노섬유 표면에 균일하게 결착시킨 초소형, 초저전력 나노센서를 통해 “1 ppm 이하의 극미량 기체도 감지”하는 기술 |
6 |
20초 이내 고속 코팅 가능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대면적 코팅기술 (성균관대 박남규 교수) • 페로브스카이트 클러스터 나노분말을 포함하는 코팅용액을 제조하여 단시간 박막 코팅시킨 대면적 태양전지 제조 기술 |
7 |
3D Full-color 홀로그램 대면적 회절광학소자 설계·제조기술 (한국기계연 정준호 본부장) • 넓은 시야각의 3차원 컬러 홀로그램 구현이 가능한 필름 및 소자 제품의 대면적, 저가 제조 플랫폼 기술 |
8 |
고굴절 나노 복합체 프리즘 코팅액 및 고휘도 프리즘 필름 개발 (에스엠에스 손호석 상무) • 친수성 나노입자 표면에 소수성 화합물을 결합시켜 분산성이 개선된 고굴절·고휘도 프리즘 코팅액을 제조하고 이를 필름화시킨 유・무기 나노 복합체 기술 |
9 |
3차원 자율곡면 다이렉트 미세 패터닝 공정 기술 (에이티아이 최병찬 부장) • 세계 최초로 대상의 형상과 재료에 상관없이 원하는 패턴을 ‘3차원 자율곡면’ 위에 나노크기로 빠르게 형성시킬 수 있는 대면적 대량생산 공정 기술 |
10 |
초고속 구동형 CNT 기반 전계방출 디지털 엑스선소스 기술 (브이에스아이 김대준 연구소장) • 필라멘트를 사용하는 기존 아날로그 방식 대신 탄소나노튜브를 활용하여 엑스선을 정확한 펄스 형태로 고속제어 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100% 디지털화된 소형화, 경량화 가능한 ‘저피폭, 고내구성 엑스선 소스’ 기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