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이동재 기자 |

유명희 통상교섭본부장이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신청서 세계박람회기구(BIE) 제출을 위해 방문한 파리에서 23일 프랑크 리스테르(Franck Riester) 프랑스 통상장관과 면담하고, 對EU 통상현안, 공급망 협력, 디지털 협력, 탄소국경조정제도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프랑스는 독일과 함께 EU 핵심국으로 EU의 통상·산업 정책을 주도하고 있으며, EU 내 우리의 제4위 교역국이자 제5위 對韓 투자국(작년 기준)이다.
양측은 공급망 복원력의 중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공급망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한-불(프랑스) 산업협력위원회’ 등을 통해 수소, 반도체, 필수소재 등 핵심 분야의 협력사업을 확대해 가기로 했다.
또 오는 11월로 예정된 WTO 각료회의(MC-12)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긴밀히 공조하기로 합의하고, 불공정 무역 관행에 대한 대응을 강화한 최근 EU의 동향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다.
양측은 급변하는 통상 환경 하에서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기 위해 5G, 클라우드, AI 등을 중심으로 디지털 협력 및 기업간 교류 기회를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최근 글로벌 통상환경이 급변하고 미-EU간 통상협력 분위기가 고조되는 상황에서, 이번 유럽 방문을 통해 EU내 주요 회원국인 프랑스와 통상협력 범위를 공급망, 디지털 분야로 확대한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유 본부장은 마티아스 코만(Mathias Cormann) 신임 OECD 사무총장과도 면담하고, 코로나19로부터의 경제회복방안, 디지털세 등 디지털 통상현안, 탄소국경조정제도 등 무역과 환경 문제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양측은 그간 OECD의 정책제언이 한국의 제도 선진화에 큰 기여를 한 점을 높이 평가하고, OECD와 함께 공급망 관련 공동과제 수행 등 협력을 지속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유 본부장은 아울러 OECD 내 아태(아시아 태평양)지역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음을 환영하고, 사무국 직원 구성에 있어서도 다양성을 고려해 한국인 채용을 보다 확대해 줄 것을 OECD 측에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