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25Gbps급 통신 지원하는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기술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무선백홀 기술 개요
기지국과 전화국을 초고속 무선 연결할 수 있는 무선 백홀 기술은 70~80GHz 밀리미터파 대역을 활용한다. 이 기술을 적용하면 코어망에 허브(Hub)를, 기지국에 터미널(Terminal)를 설치해 1km 범위 내에서 최대 25Gpbs급 통신이 가능하다.
백홀은 주로 광케이블, 구리선을 이용해 유선으로 구현해왔다. 하지만 유선 방식은 환경에 따라 구축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 이에 무선으로 백홀을 구현하는 방식이 대체 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기존 무선 백홀 기술의 무선구간 통신 전송속도는 최대 10Gbps급 성능이었으나 이번 기술은 5G 이동통신 기지국의 최대 전송량(20Gbps)을 상회한다.
신규 포설 대비 가격도 20%내외로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다. 또한, 유선 네트워크와 보완해 이중화를 이루면 화재 발생 등 장애가 발생해도 안정적인 통신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ETRI는 ▲위성잡음 제거 기술 ▲편파간섭 최소화 기술 ▲이중편파통합모뎀기술 ▲상용 25Gbps 광 트랜시버 지원기술을 집약한 성과를 낼 수 있었다고 밝혔다.
또한, 이더넷 표준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에 기존 기지국 제품과 호환 적용도 가능해 상용화에도 유리하다. 5G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지국 인프라 구축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본 기술은 5G 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현장 실증을 거쳤으며, 연구진은 무선통신장비 기업 등에 이전해 5G 통신국사, 스몰셀에 활용할 예정이다.
ETRI 이훈 초고속무선백홀연구실 책임연구원은 "본 기술을 활용해 5G+ 버티컬 및 융합서비스를 연계하는 미래 통신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