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B-B&R, 통합된 기계 중심의 로봇 솔루션 출시

2020.03.13 18:44:35

[첨단 헬로티]


ABB의 로보틱스 및 이산 자동화 사업의 한 유닛인 B&R은 ABB 로봇을 자사의 자동화 포트폴리오에 통합한다고 발표했다.


전례 없는 수준의 기계 유연성과 정밀성을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통해 기계 제어와 로보틱스를 하나의 단일 아키텍처로 통합함으로써, 제조업체는 대량 맞춤 제작 트렌드를 수용한 ‘lot size one’ (개별화된 맞춤 생산) 프로세스를 최적화할 수 있다.



ABB의 로봇을 자동화 시스템으로 완전히 통합한다는 것은 B&R이 기계 자동화 및 로보틱스를 기계제작자에게 단일소스로서 공급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계제작자는 B&R에서 모든 제어, I/O 및 드라이브 컴포넌트와 함께 로봇까지 구매할 수 있게 됐다.


ABB의 로보틱스 및 이산 자동화 사업부 사장인 사미 아티야는 “ABB의 로봇 제품군을 B&R 포트폴리오에 통합함으로써 우리는 진정한 원스톱 샵이 되었다”며, “이는 제조업체에 기계를 포함한 모든 레벨에서 유연성을 높이고, 제품 주기를 단축해 매우 다양한 제품을 더 작은 로트로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기계 제작자들은 다양한 크기와 다양한 페이로드의 관절형 암, SCARA, 델타 및 팔레타이저 로봇을 포함한 광범위한 ABB 로봇 제품군 중에서 선택할 수 있게 됐다. 이는 특히 피킹 솔루션과 같은 다른 컴포넌트들과 높은 수준의 동기화가 필요한 기계 애플리케이션에서 중요하다.


ABB 로봇을 기계 자동화 시스템으로 통합하면 고객은 로보틱스와 기계 제어에서 전례 없는 수준의 동기화를 통해 혜택을 누릴 수 있다. 로봇은 더 이상 전용 컨트롤러가 필요 없기 때문에 기계와 로봇 사이의 모든 인터페이스가 제거되고, 이제 모든 축과 센서가 공통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게 된다는 사실은 이전에는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마이크로초(μs) 범위로 정밀도를 높인다.


로보틱스와 자동화를 통합하면, 개발, 진단 및 유지보수에 하나의 컨트롤러와 하나의 엔지니어링 시스템으로 충분하다. 이제 더 이상 추가적인 로봇 전용의 제어반이 필요 없어져 작업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보다 사용자 친화적인 프로그래밍은 로보틱스와 기계 제어의 결합을 통해 얻는 또 다른 결정적인 이점이다. 한 개발환경에서 로봇 애플리케이션을 프로그래밍하고 또 다른 개발환경에서 기계 애플리케이션을 프로그래밍하는 대신에, 단 하나의 애플리케이션과 하나의 개발 환경만 존재한다. 이를 통해 개발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개발자들은 mapp Technology의 기성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통해 로봇 언어에 대한 특별한 지식 없이도 로보틱스를 포함한 기계 애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설정하고 구성할 수 있다.



B&R 매니징 디렉터인 한스 위머는 “새롭게 개발된 통합 솔루션은 기계 제작자를 지원하여,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미래의 자동화 투자에 대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ABB 로봇을 하나의 단순 아키텍처로 통합함으로써 우리는 완전히 통합된 자동화 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며, “기계 개발자들은 이제 단일 모션 제어 축을 통합해야 할 것인지, 아니면 전체 로봇을 기계에 통합해야 할 것인지를 구별할 필요가 없다”고 덧붙였다.


센서와 로봇 모션의 동기화도 통합으로 인해 더욱 쉬워진다. B&R 비전 카메라로 실시한 품질 검사 결과를 1밀리초(ms) 이내에 ABB 로봇의 제어 명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에 수동 개입이나 제조 공정의 속도 저하 없이 결함이 있는 공작물을 라인에서 제거할 수 있다.


기계 제작자 또한 더 이상 하드웨어, 통신 네트워크 및 애플리케이션을 각각 별도로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로봇과 다른 기계 컴포넌트 간의 동기화를 훨씬 더 밀접하게 실행시킬 수 있다.


그 외에도 로봇의 움직임과 모든 기계 모션 제어 축을 전례 없는 마이크로초(μs) 정밀도로 조정할 수 있어 기계의 생산성과 프로세스 출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로봇은 다른 모든 자동화 컴포넌트와 같이 B&R의 범용 엔지니어링 환경에서 프로그래밍 된다. 디지털 트윈을 사용하면 기계가 제작되기 전에 로보틱스를 포함한 모든 기계의 모션 시퀀스를 시뮬레이션하고 최적화할 수 있다. 이는 보다 빠르고 저렴한 엔지니어링과 개발을 가능하게 하며, 생산설비에 로보틱스를 구현하고자 하는 기계 제작자들에게 문턱을 낮추고 투자 수익(ROI)을 증가시킨다. 

임근난 기자 fa@hellot.net
Copyright ⓒ 첨단 & automationasia.net



상호명(명칭) : ㈜첨단 | 등록번호 : 서울,아54000 | 등록일자 : 2021년 11월 1일 | 제호 : 오토메이션월드 | 발행인 : 이종춘 | 편집인 : 임근난 | 본점 :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 127, 3층, 지점 : 경기도 파주시 심학산로 10, 3층 | 발행일자 : 2021년 00월00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유활 | 대표이사 : 이준원 | 사업자등록번호 : 118-81-03520 | 전화 : 02-3142-4151 | 팩스 : 02-338-3453 | 통신판매번호 : 제 2013-서울마포-1032호 copyright(c)오토메이션월드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