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한국전력 상반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적자를 기록했다. 무려 8,147억 원의 적자다.
한전은 13일, 올 상반기 결산 결과를 발표하며 1분기 1,276억 원에 이어 2분기에는 6,871억 원 영업적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번 영업 실적은 지난해 상반기 영업이익 2조 3,097억 원에 비해 3조 1,244억 원 줄어든 수치다.
상반기 연결기준 당기순손실은 1조 1,690억 원(잠정)으로 작년 상반기 순이익 1조 2,590억 원 대비 2조 4,280억 원 감소했다.
한전의 상반기 영업이익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2013년 4,363억 적자를 보인 이후 5년 만이다.
한전은 2012년 2분기에 2조 602억 원, 2013년 2분기에는 1조 941억 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한 바 있다.
올 상반기 실적 악화는 영업비용 상승 탓이 크다. 한전은 올해 전기 판매 수익이 1조 5천억 원 증가했지만, 연료비 상승 등 영업비용도 크게 늘어나 적자를 기록할 수 밖에 없었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상반기 대비 유가가 33% 이상 급등하고 유연탄 가격도 28% 동반 상승하는 등으로 인해 영업비용의 32.5%를 차지하는 발전자회사의 연료비 부담이 2조원(26.7%) 증가했다.
민간발전사로부터 구입한 전력비용도 전년 동기대비 2조 1천억 원(29.8%) 늘어났다. 국제 연료가격 상승으로 민간발전사 연료비 단가도 올라간데 이어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봄철 4개월간 노후석탄발전소 5기를 가동 정지함에 따라 민간발전소 구입 전력이 늘어난 것이다.
여기에다 콘크리트 공극이 발견되는 등 과거 건설된 원자력발전소의 부실시공에 따른 정비일수 증가도 비용 증가에 한몫했다.
또 신규 발전소 준공과 송전선로 신·증설 등 전력 안정 공급을 위한 전력설비 투자로 감가상각비가 4천억 원 증가한 것도 영향을 주었다.
한전은 계절별 손익구조상 2분기 수익이 가장 낮고 3분기 수익이 높은 점 등을 감안하면 하반기 실적은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3분기 실적은 여름철 냉방수요로 인한 판매량 증가와 높은 판매단가가 적용되는 계절별 차등요금체계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가장 높다는 설명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