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tty images Bank
[헬로티]
해양수산부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부상한 빅데이터를 활용한 ‘해양수산 빅데이터 마스터플랜’을 마련했다고 8일 밝혔다.
해양수산 산업을 활성화하고 재난, 위험 등을 사전에 대비하기 위해 마련된 마스터플랜은 ‘빅데이터 기반의 글로벌 해양강국 실현’이라는 비전하에 추진전략 4개와 과제 15개로 구성됐다.
우선, 지난 60년간 축적한 해양정보를 이용하여 민간사업 모델을 개발할 수 있도록 ‘민·관 공동활용 플랫폼’을 구축하고, 기관별로 분산된 해양공간정보를 산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해양공간 활용모델’을 개발하는 등 빅데이터 인프라를 조성할 계획이다.
또한, 선박자동식별정보와 관제정보를 활용하여 현재는 수기로 작성하고 있는 항만시설 사용시간을 자동으로 산정하여 항만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는 등 단기적으로 달성 가능한 과제를 발굴, 추진할 방침이다.
뿐만 아니라 과거 연근해어업 생산량, 해양환경 변화에 따른 어황변동 등을 분석하여 수산자원과 어황을 예측하거나, 항만물류 빅데이터와 각종 거시경제지표를 활용하여 항만물동량 예측모형을 개발하고 항만시설 수급예측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중장기 과제를 통해 빅데이터 활용을 확산할 계획이다.
해양수산부는 계획을 실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추진상황을 정기적으로 점검할 예정이다.
권오정 해양수산부 정보화담당관은 “해양수산 산업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예측 가능한 과학적 행정을 구현하기 위해 빅데이터 종합계획을 차질 없이 추진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ueghqwe@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