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개발한 에너지 거래 핵심기술은 ▲에너지 정보 교환 프로토콜 기술 ▲개인과 개인이 직접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는 P2P(Peer to Peer)기반 에너지 거래기술 ▲분산자원 에너지 통합관리 및 거래기술 등이다. 그동안 규모가 작아 시장 입찰을 하지 못했던 에너지 잉여자원들을 거래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태양광, 연료전지, 에너지 저장장치 등을 보유한 소비자들을 연결하는 일종의 에너지 중개시장 기반기술이자, 에너지를 팔고 사고 할 수 있는 거래 프로토콜 기술을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가 개발했다고 11월 30일 밝혔다.
이를 통해 거래 대상이 되는 각종 분산자원의 발전량이나 가격, 스케줄 등 정보를 중개시장 서버에 등록하고 온라인 전력 거래를 중재하며, 계약된 분산자원의 발전 또는 수요 감축 이행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독해 에너지 판매자와 구매자 간 직접 거래가 가능케 된다.
이 기술들은 정보 표준화관련 국제표준기구의 표준 정보모델을 기반으로 구현됐으며, 전북 진안군 소재 홍삼스파‧홍삼빌 건물과 대전 유성구 소재 ETRI 12연구동에 적용해 완성도를 높였다. ETRI는 이 기술이 현재 정부에서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소규모 분산자원 전력거래 중개사업의 기반 기술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사업의 총괄책임자인 ETRI 이일우 에너지IT기술연구실장은 “본 기술은 전력 피크 대응을 위한 소비자 영역에서의 에너지 절감은 물론, 에너지 거래·공유 기반 기술의 확보를 통해 다가올 에너지 공유 경제 체계로의 전환에 대한 선도기술 확보 및 기술적 선점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이번 개발기술은 미래창조과학부(IT·SW융합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에서 지원하는 ‘빌딩/단지의 에너지 통합관리 서비스 및 에너지 거래 기술 개발’의 결과물이며, 이 사업에는 주관기관인 ETRI 외에도 (주)KT, (주)에이치투, ㈜씨씨앤비, KAIST 등이 참여하고 있다.
추경미 기자(ckm@hellot.net)